$\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직무만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n Nursing Performance in General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10, 2019년, pp.28 - 38  

유재연 (동의병원) ,  이연희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  하이경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직무만족, 간호업무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7년 10월 19일~11월 2일까지 B시 종합병원 간호사 25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셀프리더십(${\beta}=.43$, p<.001), 총 임상경력(${\beta}=.26$, p<.001), 직무만족(${\beta}=.14$, p=.010), 연간 자기계발 활동횟수(${\beta}=.10$, p=.049)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의 간호업무성과에 대한 설명력은 38.5%이었다(F=40.145, p<.001). 따라서 간호업무성과 향상을 위해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을 향상하는 다각적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The participants were 251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in B city. SPSS/WIN 23.0 was used for analysis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acute{e}}$ t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직무만족 및 간호업무성과를 파악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효율적인 간호조직관리와 간호업무성과 향상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직무 만족 및 간호업무성과의 정도와 관련성을 파악하고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업무성과 향상을 위해서 간호사가 자신의 직무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직무만족은 개인이 자신의 직무에 대한 업무를 즐겁게 경험하고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태도로[1], 간호사의 직무 만족은 간호사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환자에게 최선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게 하므로 환자 만족과 나아가 환자 결과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질적 간호를 제공하고 환자의 만족도가 증가하며 소속된 기관에 대한 사명감이 높아지고 개인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여 병원의 생산성 및 목표 도달에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12]. 그러므로 간호업무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사가 자신의 직무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셀프리더십은 무엇인가? 전통적인 리더십은 한 사람의 리더가 구성원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었으나 새로운 패러다임의 리더십은 구성원의 동기부여에 초점을 두고 개인이 자발적으로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하여 자신과 조직의 변화를 변화와 성과를 끌어내는 셀프리더십이다[7]. 셀프리더십은 스스로 자신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도록 함으로써 인간 내부의 기본적인 성향인 자율성을 강조한 개념으로[8] 개인이나 조직의 업무성과와 목표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9]. 간호사 자신이 능동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향상해 적극적으로 변화에 대처하고 숙련된 간호를 제공하는 전문직 간호사로서 필수적인 요건을 갖추도록 해야 하므로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은 효율적 간호업무수행의 원동력이라 할 수 있다[7].
간호업무성과는 어떻게 관리되어야 하는가? 따라서 의료기관 인력의 약 45%에 달하는 간호조직[1]의 간호수행의 질을 관리하는 것은 의료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에 중요한 문제이다[2,3]. 간호업무성과는 간호사가 전문성을 바탕으로 간호실무를 제공하여 간호조직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수행한 결과 환자 치료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고 환자에게 안전한 실무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관리되어야 한다[4]. 또한, 환자뿐만 아니라 관련부서와 업무를 조정하고 환자안전에 부적절한 환경을 개선하는 업무를 수행하면서 간호사의 직급에 무관한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태도가 필요하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7). Medical personnel status. August, 1, 2019, Retrieved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0&tblIdTX_35003_A003&checkFlagN 

  2. G. A. Seomun, S. O. Chang, K. H. Cho, I. A. Kim & S. J. Lee. (2006). The 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outcome of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12(1), 151-8. 

  3. J. L. Cho. (2019).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communication barriers on nursing Performance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5(2), 239-246. DOI : 10.17703/JCCT.2019.5.2.239 

  4. L. T. Kohn, J. M. Corrigan & M. S. Donaldson. (2000). To Err Is Human :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5. S. H. Lee & E. J. Lee. (2018). Influence of nur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leadership on clinical competency in 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4(3), 336-346. 

  6. H. J. Won & S. H. Cho. (2013). A review of research on self-leadership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1), 151-158. 

  7. M. J. Shin, J. O. Cheong & T, Kim. (2017). Self-leadership of nurses,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and job commitment: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Journal of Government and Policy, 9(2), 67-95. 

  8. C. C. Manz & H. P. Sims Jr. (2001). The new superleadership, leading others to lead themselves. San Francisco, CA: Berrett-Koehler Publishers, Inc. 

  9. K. N. Park & M. K. Park. (2008).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4(1), 63-71. 

  10. Y. Cho & M. Choi. (2016). Effect of clinical nurses' basic psychological need, self-leadership and job stress on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8), 343-353. DOI :10.14400/JDC.2016.14.8.343 

  11. E. A. Loke. (1976).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 R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Co. 

  12. S. Kim, & M. Lee. (2006). A study of the reward and the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nurse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12(1), 122-130. 

  13. S. Y. Kim, E. Kim, B. Kim & E. Lee. (2016). Influence of nurses' self-leadership on individual and team members' work role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6(3), 338-348. DOI : 10.4040/jkan.2016.46.3.338 

  14. S. Choi, I. Jang, S. Park, & H. Lee. (2014).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self-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2), 206-214. DOI :10.11111/jkana.2014.20.2.206 

  15. K. Yu, H. Park & K. Jang. (2018). Factors related to self-leadership of Korean clinical nur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4(5), 410-422. DOI :10.11111/jkana.2018.24.5.410 

  16. Y. H. Kim & Y. M. Lee. (2009).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among nurses in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1(4), 1939-1951. 

  17. S. Yang & E. Jeong. (2017). Convergenc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leadership in clinical nurses on job satisfa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6), 329-337. DOI : 10.14400/JDC.2017.15.6.329 

  18. C. C. Manz. (1983). The art of self-leadership ;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1st ed.: NJ: Prentice Hall Inc. 

  19. H. S. Kim.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lf-leadership and the job satisfaction at secondary sch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20. K. H. Cho. (2003).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about job-satisfaction and outcome of nursing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1. D. B. Slavitt, P. L. Stamps, E. B. Piedmont, & A. M. Haase. (1978).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ituation. Nursing Research. 27(2), 114-120. 

  22. O. H. Koo. (2000). Clinical nurses ' s perception of empowerment structural model in nursing organiz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on. 

  23. S. A. Park. (1990).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 and performance in Korean nursing units. Seoul Journal of Nursing, 4(1), 45-61. 

  24. A. Han, S. Zon. (2016).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on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 Nursing. 18(1), 12-21. DOI : 10.17079/jkgn.2016.18.1.12 

  25. Y. Kim. (2005). The 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individual learning of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Wonju. 

  26. M. Jang & H. Kim. (2018).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self-esteem on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51-59. DOI : 10.15207/JKCS.2018.9.2.051 

  27. S. I. Im, J. Park & H. S. Kim. (2012). The effects of nurse's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on nursing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3), 274-282. DOI : 10.5807/kjohn.2012.21.3.274 

  28. M. Sung & O, B. Eum. (2009).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15(1), 26-36. 

  29. M. H. Sung & M. Y. Lee. (2017). Effects of self-leadership, clinical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on nurses' job involvemen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3(1), 1-8. 

  30. A. Ravari, M. Bazargan, Z. Vanaki & T. Mirzaei. (2012). Job satisfaction among Iranian hospitalbased practicing nurses: examining the influence of self-expectation, social interaction and organisational situation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4), 522-5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