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판 프리셉터 교육행동 평가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linical Teaching Behavior Inventory (CTBI) for Nurse Preceptors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9 no.5, 2019년, pp.526 - 537  

정면숙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  김은경 (충북대학교 간호학과) ,  김세영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  김종경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  유선주 (목포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linical Teaching Behavior Inventory (CTBI). Methods: The English CTBI-23 was translated into Korean with forward and backward translation.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80 nurses' precepto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Lee-Hsieh 등[21]이 개발한 프리셉터 교육행동 평가도 구(CTBI)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어판 CTBI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병원에 첫 발을 내딛는 신입간호사의 업무수행과 조직 잔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프리셉터의 바람직한 교육행동에 대해 최근 개발된 ‘프리셉터 교육행동 평가도구(CTBI-23)’ [21]의 한국어판 CTBI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영문 도구를 다른 언어와 문화에서 적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 번역 및 적용 가이드라인[24]의 과정에 따라 도구 번역절차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즉 CTBI 번역 절차는 일차 번역, 전문가 패널 검토, 역번역, 예비조사와 인지적 인터뷰의 과정을 거쳐 최종 도구의 문항을 완성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프리셉터의 교육행동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평가도구(CTBI)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해서 한국어판 도구를 개발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프리셉터의 교육행동을 평가하는 23개 영문 문항의 비교적 간결한 도구로 개발되어 그 신뢰성과 타당성이 입증된 프리셉터 교육행동 평가도구(Clinical Teaching Behavior Inventory [CTBI]) [21]를 한국 간호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국어판 CTBI를 위한 번역과 역번역 과정을 거친 후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고, 도구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 한국어판 CTBI의 판별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두 가지 조건을 확 인하였다. 즉 첫 번째 조건 ‘평균분산추출(AVE)값>상관계수(ρ)2 ’과두 번째 조건 ‘상관계수(ρ)±2×표준오차의 값이 1을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리셉터십(preceptor-ship)이란 무엇인가? 오늘날 신입간호사의 이직률이 높은 병원의 임상현장에서 신입간호사의 직무와 조직 적응을 돕는 과정에서 교육과정의 완성도를 높이는 프리셉터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프리셉터십(preceptor-ship)은 신입간호사의 현장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고, 역할 습득과 성공적인 사회화를 돕고자 유능한 경력간호사가 역할 모델이 되어 교육자, 상담자, 촉진자의 역할을 맡아 일대일(1:1)로 교육하는 방법이다[8]. 신입간호사는 프리셉터를 통해 병원의 조직 환경에서 요구하고 기대하는 간호사로서의 업무수행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습득할 수 있고, 새로운 상황에서 겪는 갈등을 해소하고 적응해 나간다[9].
한국어판 CTBI가 만족하는 수렴 타당도의 세 가지 조건은 무엇인가? 한국어판 CTBI의 수렴타당도를 3가지 조건으로 검증한 결과는 Table 3와 같다. 첫째, 모든 문항의 표준화 요인부하량(β)은 .52~.94로 .50 이상을 만족하였다. 둘째, 평균분산추출지수(AVE) 값은 .59~.80으로 .50 이상을 만족하였다. 셋째, 개념신뢰도(CR) 값은 ‘적절한 교수법 활용(.59)’을 제외하고 .70 이상을 만족하였다. 따라서 한국어판 CTBI는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하여, 프리셉터 교육행동을 평가하고자 하는 문항의 수렴타당도가 확인되었다[25].
신입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저하는 어떤 경험으로 인해 발생하는가? 신입간호사는 대학 졸업 후 간호전문직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병원에 입사하게 되지만 기대와 실제 임상현장의 업무 차이로 현실충격(reality shock), 업무 미숙, 무력감 등을 경험하면서 자아존중감이 낮아진다[1]. 또한 신입간호사가 실무교육을 받는데 어려움이 있을 경우 간호교육과정에서 습득한 지식의 직접적인 임상적용이 어렵고,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Sin KM, Kwon JO, Kim EY. Factors associated with new graduate nurses' reality shoc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3):292-301.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3.292 

  2. National Council of State Boards of Nursing (NCSBN). NCSBN's transition to $practice^{(R)}$ study: Implications for boards of nursing [Internet]. Chicago (IL): NCSBN; c2014 [cited 2018 Sep 10]. Available from: https://www.ncsbn.org/TTP_ImplicationsPaper_Dec2014.pdf. 

  3. Hospital Nurses Associatio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work report: Hospital nurses staffing state survey [Internet].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c2017 [cited 2018 Sep 2]. Available from: http://www.khna.or.kr/bbs/bbs/board.php?bo_tablenews&wr_id11486&page5. 

  4.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 survey of business workforce: Statistics for employment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2019 [cited 2019 July 3].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8&tblIdDT_118N_MONA31&conn_pathI2. 

  5. NSI Nursing Solutions, Inc. 2018 national health care retention & RN staffing report [Internet]. Petersburg (PA): NSI Nursing Solutions, Inc.; c2018 [cited 2018 Sep 10]. Available from: https://bishopkingdom.com/wp-content/uploads/2019/02/Nuj30XwlNRFGf8Gk7v3U.pdf. 

  6. Lee TY, Tzeng WC, Lin CH, Yeh ML. Effects of a preceptorship programme on turnover rate, cost, qualit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9;18(8):1217-1225.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8.02662.x 

  7. Aiken LH, Sermeus W, Van den Heede K, Sloane DM, Busse R, McKee M, et al. Patient safety, satisfaction, and quality of hospital care: Cross sectional surveys of nurses and patients in 12 countrie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British Medical Journal. 2012;344:e1717. https://doi.org/10.1136/bmj.e1717 

  8. Craven HL, Broyles JG.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preceptorship. Journal of Nursing Staff Development. 1996;12(6):294-299. 

  9. Cho YM. The effects of preceptors' teaching style on nursing performance and job & education satisfaction of new nurses [master's thesis]. Incheon: Gachon University; 2008. p. 1-51. 

  10. Yang NY, Han SS, Yoo IJ. Affecting factors on performance of preceptors and precepte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5;11(2):135-141. 

  11. Kang YA, Seol ME, Yi MS. Focus group study on hospital nurses' lived experience of being a preceptor.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3;10(1):77-86. 

  12. Kim SY, Kim JK, Park KO. The role experience of preceptor nurse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1):33-45. 

  13. Yun HM, Kim JS.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new nurses. Global Health & Nursing. 2012;2(2):52-61. 

  14. Kim GL, Lee H, Cho Y, Kim MH. The experience of turnover decision making in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2013;14(1):23-33. 

  15. Cho YS, Sohn SK, Han MY, Kim MS, Bang BK, Lee KM. Nurses’ lived experience of preceptorship for newly graduated nurses in hospital.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4;20(1):37-47. 

  16. Jeon WS.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preceptors' role-awareness and their burnout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7. p. 1-56. 

  17. Kim CK. A comparative study between self evaluation and preceptor evaluation in new graduate nurses on nursing performance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8. p. 1-66. 

  18. Kwon IG, Jung KH, Cho HS, Hwang JW, Kim JY, Jeon KO,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re competency evaluation tool for new graduate nurse’s precept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2;8(4):535-549. 

  19. Lee EJ. A development of nursing competency and behavioral indicators for nurse preceptors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of Ulsan; 2005. p. 1-53. 

  20. Ali WG. Caring and effective teaching behavior of clinical nursing instructors in clinical area as perceived by their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 and Practice. 2012;3(7):15-26. 

  21. Lee-Hsieh J, O'Brien A, Liu CY, Cheng SF, Lee YW, Kao YH.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linical Teaching Behavior Inventory (CTBI-23): Nurse preceptors' and new graduate nurses' perceptions of precepting. Nurse Education Today. 2016;38:107-114. https://doi.org/10.1016/j.nedt.2015.12.005 

  22. Costello AB, Osborne JW.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2005;10(7):1-9. 

  23. Comrey AL, Lee HB. A first course in factor analysi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2. p. 217.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Process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instruments [Internet]. Geneva: WHO; c2015 [cited 2017 Mar 7]. Available from: http://www.who.int/substance_abuse/research_tools/translation/en/. 

  25. Yu J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and understanding. Seoul: Hannarae; 2012. p. 361. 

  26. Noh K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thesis: SPSS & AMOS 21. Seoul: Hanbit Academy Inc.; 2014. p. 258-367. 

  27. Feng MC, Chen YM, Wu LK, Wu LC. Perceived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newly graduated nurses. Journal of Nursing and Healthcare Research. 2011;7(2):98-107. https://doi.org/10.6225/JNHR.7.2.98 

  28. Jeoung YO, Park SC, Jin JK, Kim JY, Lee JU, Park SY, et al. Content analysis of communication between nurses during preceptorship.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4;23(2):82-92. https://doi.org/10.12934/jkpmhn.2014.23.2.82 

  29. Choi JS, Yang NY. Nursing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according to teaching style of preceptors and personality of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3):281-289. https://doi.org/10.11111/jkana.2012.18.3.281 

  30. Geldhof GJ, Preacher KJ, Zyphur MJ. Reliability estimation in a multilev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ramework. Psychological Methods. 2014;19(1):72-91. https://doi.org/10.1037/a0032138 

  31. Kim JY, Kim YS, Kim CS, Park HS, Sin MY, Yun YS, et al. A comparison of preceptors’ and new graduate nurses’ perception of teaching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2):193-202. 

  32. Burns C, Beauchesne M, Ryan-Krause P, Sawin K. Mastering the preceptor role: Challenges of clinical teaching. Journal of Pediatric Health Care. 2006;20(3):172-183. https://doi.org/10.1016/j.pedhc.2005.10.012 

  33. Sung MH, Kim HW, Kim JW. A comparative study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preceptors and preceptee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2007;7(2):131-138. 

  34. Raines DA. Nurse preceptors’ views of precepti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012;33(2):76-79. 

  35. Bourbonnais FF, Kerr E. Preceptoring a student in the final clinical placement: Reflections from nurses in a Canadian hospita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7;16(8):1543-1549.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6.01828.x 

  3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A pilot project for education nurses in hospitals [internet]. Sejong: MOHW; c2019 [cited 2019 May 22].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1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102&CONT_SEQ3493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