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의 교사전문성 지원환경이 초임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직무수행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t a Day Care Center on the Professionalism of Beginning Teach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Their Work Task Motivatio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5 no.5, 2019년, pp.113 - 138  

조아영 (우리은행어린이집) ,  김수정 (평택대학교 아동청소년교육상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teacher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t workplace day care centers on the professionalism of beginning teachers and also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beginning teachers'work task motivation on that relationship. Methods: The par...

주제어

표/그림 (14)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의 전문성은 타 교육기관보다 어린이집에서 더 중요한 이유는? 선행 연구들은 어린이집의 교육과정 및 교육 대상의 특징으로 인해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의 전문성이 타 교육기관에서보다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데 있어 더욱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밝히고 있다. 어린이집은 초·중·고등학교와 달리 교육과정이 구조화되어 있지 않아 보육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자율과 재량에 따라 보육의 내용이나 방법이 결정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김세루, 천혜경, 안상화, 홍혜경, 2009; 문태형 2010). 또한 영유아는 다른 연령의 학습자보다 교사의 영향을 더 많이 받기 때문에(Katz, 1984) 보육교사의 전문성은 더욱 중요하다.
보육교사의 전문성이란? 보육교사의 전문성은 보육과 관련된 지식, 기술, 태도를 실행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Wang, 2005). 선행 연구들은 어린이집의 교육과정 및 교육 대상의 특징으로 인해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의 전문성이 타 교육기관에서보다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데 있어 더욱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밝히고 있다.
교사 전문성 향상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인 요인엔 어떤 것이 있는가? 우선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인 요인을 살펴보면 원장 및 동료와의 관계, 조직의 명확성과 개혁성, 의사 결정, 전문성 증진, 보상 체계, 경험한 교육프로그램의 목적 및 내용에 관한 교사들 간의 공유, 직무 수행, 물리적인 환경 등을 들 수 있다(Jorde-Bloom, 1988). 전문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환경적인 요인을 Williams(2000)는 전문성 학습 및 발달을 위한 기회, 교사와 원장과의 관계, 교사와 유아에 대한 기대, 교사의 자율성과 의사 결정으로 정의되는 4가지 요인으로 정리하고 이를 ‘교사전문성 지원환경(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이라고 정의하였다(이금란,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7)

  1. 고영미, 이금란 (2004). 유치원의 전문성 지원 환경과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35(1), 21-37. 

  2. 권미선, 문혁준 (2013).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227-296. 

  3. 김경철, 최인숙, 홍정선 (2007).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 환경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115-135. 

  4. 김명순 (2015).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보수교육체계의 다각적 고찰 및 현행체계 진단과 개선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 춘계학술대회지, 82-102. 

  5. 김명순, 김수정, 강형옥, 정아람 (2018). 보육교사가 인식한 직무만족도, 전문성과 어린이집 조직 분위기 및 이직의도 간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연구, 38(1), 391-416. doi:10.18023/kjece.2018.38.1.016 

  6. 김명순, 신윤승, 채은화 (2016).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효능감,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보육과정 수행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7(2), 43-56. doi:10.5723/kjcs.2016.37.2.43 

  7. 김세루, 천혜경, 안상화, 홍혜경 (2009).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전문성 인식 및 의사소통능력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3(6), 5-25. 

  8. 김수정, 김명순 (2018). 한국의 유아교육 및 보육현장에서의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질적수준 증진 지원 방안에 관한 현직 보육교사들의 견해.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4(0), 53-71. 

  9. 김수정, 이민주, 이영신 (2018). 보육교사들의 질 높은 교사-영유아 간 상호작용 수행을 위한 반성적 사고 경험에 관한 연구. 생애학회지, 8(3), 51-73. doi:10.30528/jolss.2018.8.3.003 

  10. 김아영, 오순애 (2001). 자기결정성 정도에 따른 동기유형의 분류. 교육심리연구, 15(4), 97-119. 

  11. 김지연 (1997).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지연 (2017). 만2세반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질이 영아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정서 및 학습 지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지영, 윤진주 (2011).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효능감, 역할 수행 간의 관계. 아동교육, 20(4), 127-137. 

  14. 김지은, 안선희 (2009).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197-216. 

  15. 김진미 (2017). 유아교사의 학습기회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반성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4(1), 265-291. doi:10.24211/tjkte.2017.34.1.265 

  16. 김현진, 신은수 (2008).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대한 연구 - 교사의 개인적 변인(연령, 학력 및 전공, 자격유형, 과거직업유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5(3), 239-259. doi:10.24211/tjkte.2008.25.3.239 

  17. 김현진, 이수정 (2012). 예비교사의 교사동기와 구성주의 교수신념이 학부모-교사 파트너쉽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9(4), 637-663. doi:10.24211/tjkte.2012.29.4.637 

  18. 문태형 (2010). 유아교사효능감 및 자기결정성 동기와 조직헌신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4(6), 535-556. 

  19. 박형신, 김정주 (2016). 보육교사의 의사 결정참여가 직무만족과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2), 91-110 

  20. 박형신, 김정주 (2010).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 환경 인식과 조직헌신도, 전문성 인식간의 관계. 아동교육, 14(4), 145-164. 

  21. 변윤지, 이대균 (2015).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어려움과 바람. 유아교육연구, 35(2), 165-187. doi:10.18023/kjece.2015.35.2.008 

  22. 보건복지부 (2016).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23. 송경오 (2007). 교사의 학습기회증진에 효과적인 정책수단(Policy instrument)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5(2), 121-144. 

  24. 양옥승 (1993). 탁아연구 II. 서울: 양서원. 

  25. 오지선, 박은영 (2016). 어린이집 교사들의 경력차이에 따른 팀티칭 경험. 아동교육, 25(3), 247-273. doi:10.17643/KJCE.2016.25.3.14 

  26. 유희정 (1998). 어린이집의 설립유형에 따른 질적 수준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13, 287-314. 

  27. 윤진주 (2015). 유치원 교사의 수업전문성과 전문성지원환경간의 관계. 아동교육, 24(2), 73-91. doi:10.17286/KJCE.2015.24.2.05 

  28. 이경 (2002).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역할수행 인식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광호, 최은수 (2015). 초등교사가 인지하는 학습조직문화 교사학습동기, 학교장과의 교환관계(LMX), 수업전문성 간의 구조적 관계. 초등교육연구, 28(4), 193-217. 

  30. 이금선 (2017). 어린이집 영아반 팀티칭(초임.경력) 교사가 상호인식한 교수신념 및 협력정도가 초임교사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금란 (2004). 유치원의 교사 전문성 지원 환경과 교사 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미화 (2005). 보육의 질적 수준과 보육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 보육지원학회창립총회 및 학술세미나 자료집, 서울: 한국보육지원학회. 

  33. 이석순, 박은미 (2014).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 수준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4), 437-460. 

  34. 이은해, 이기숙 (1996).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 교사를 위한 활용 지침서. 서울: 창지사. 

  35. 이지혜 (2009). 예비 교사예비 교사들의 자아개념, 자기결정성과 교사신념과의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119-139. doi:10.24211/tjkte.2009.26.3.119. 

  36. 이혜상 (2005).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0(1), 153-168. 

  37. 임부연 (2017). 미래사회 준비를 위한 놀이 중심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개정방향 모색. 교육혁신연구, 27(4), 59-78. doi:10.21024/pnuedi.27.4.201712.59 

  38. 정아람 (2016). 어린이집의 조직풍토가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정미라, 이미나, 강수경 (2016). 유아교사의 전문성 지원 환경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과 교직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33(1), 1-27. doi:10.24211/tjkte.2016.33.1.1 

  40. 조부경, 백은주, 고영미 (2005). 유치원 교사의 발달 수준과 관련된 교사 배경 변인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 36(1), 281-297. 

  41. 채혜선, 현정희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유무에 따른 보육교사의 자기평가 전문성 발달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52, 63-84. 

  42. 황윤세 (2007). 보육교사의 자기평가에 의한 전문성 인식: 성취동기 및 사고양식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175-194. 

  43. Arnett, J. (1989). Caregivers in day-care centers: Does training matter?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0(4), 541-552. doi: 10.1016/0193-3973(89)90026-9 

  44. Badiali, B., & Titus, N. E. (2010). Co-teaching: Enhancing student learning through mentor-intern partnerships. School-University Partnerships, 4(2), 74-80. 

  45. Banerjee, R., & Luckner, J. L. (2013) Assessment practices and training needs of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34(3), 231-248. doi:10.1080/10901027.2013.816808 

  46.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47. De Neve, D., & Devos, G. (2016). The role of environmental factors in beginning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related to differentiated instruction. School Effectiveness and School Improvement, 27(4), 357-379. doi:10.1080/09243453.2015.1122637 

  48. Deci, E. L., & Ryan, R. M.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4), 227-268. doi:10.1207/s15327965pli1104_01 

  49.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doi: 10.1007/978-1-4899-2271-7 

  50. Dornyei, Z., & Ushioda, E. (2011). Teaching and Researching: Motivation (2nd ed.). Harlow, England: Longman. 

  51. Feiman-Nemser, S. (2001) Helping novices learn to teach: Lessons from an exemplary support teacher.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2(1), 17-30. doi:10.1177/0022487101052001003 

  52. Fernet, C., Senecal, C., Guay, F., Marsh, H., & Dowson, M. (2008). The work tasks motivation scale for teachers (WTMST).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6(2), 256-279. doi:10.1177/1069072707305764 

  53. Gagne, M., & Deci, E. L. (2005).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work motiv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6(4), 331-362. doi:10.1002/job.322 

  54. Hong, J. Y. (2010) Pre-service and beginning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and its relation to dropping out of the profess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6(8), 1530-1543. doi:10.1016/j.tate. 2010.06.003 

  55. Jorde-Bloom, P. (1988). Factors influencing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s.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3(2), 107-122. doi:10.1080/02568548809594933 

  56. Kaiser, J. S. (1981). Motivation deprivation: No reason to stay.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2(5), 41-43. doi:10.1177/002248718103200509 

  57. Kamens, M. W. (2007). Learning about co-teaching: A collaborative student teaching experience for preservice teachers. Teacher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30(3), 155-166. doi:10.1177/088840640703000304 

  58. Katz, L. G. (1984). The professional early childhood teacher. Young Children, 39(5), 3-10. 

  59. LeMoine, S., Lutton, A., McDonald, D., & Daniel, J. (2011). Integrating professional standards for the early childhood workforce: Putting the pieces together. In C. Howes, & R. C. Pianta (Eds.), Foundations for teaching excellence: Connecting early childhood quality ra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competency systems in states (pp.47-67). Baltimore, MD: Brookes. 

  60. Lieberman, M. (1956). Education as a profession.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61. Mahmood, S. (2013). "Reality shock": New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34(2), 154-170. doi:10.1080/10901027.2013.787477 

  62. Malmberg, L. E. (2006). Goal-orientation and teacher motivation among teacher applicants and student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2(1), 58-76. doi:10.1016/j.tate.2005.07.005 

  63. Moir, E. (1999). The stages of a teacher's first year. A Better Beginning: Supporting and Mentoring New Teachers, 19-23. 

  64. Packard, R. D., & Dereshiwsky, M. (1990). Teacher motivation tied to factors within the organizational readiness assessment model. Elements of motivation/de-motivation related to conditions within school district organizations(Research/Technical, 143). Arizona: Northern Arizona Univ., Flagstaff. Center for Excellence in Education. https://files.eric.ed.gov/fulltext/ED318731.pdf에서 2019년 3월 15일 인출. 

  65. Reiman, A. J., Sprinthall, N. A., & Thies-Sprinthall, L. (1999). The conceptual and ethical development of teachers. Human Development across the Life Span, 203-218. 

  66. Ryan, R. M., & Connell, J. P. (1989). Perceived locus of causality and internalization: Examining reasons for acting in two domai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5), 749-761. doi:10.1037/0022-3514.57.5.749 

  67. Ryan, R. M., Mims, V., & Koestner, R. (1983). Relation of reward contingency and interpersonal context to intrinsic motivation: A review and test using cognitive evaluation theor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4), 736-750. doi:10.1037/0022-3514.45.4.736 

  68. Schaller, K. A., & DeWine, S. (1993). The Development of a communication-based model of teacher efficacy. Communication Education, 30, 377-392. 

  69. Schempp, P., Tan, S., Manross, D., & Fincher, M. (1998). Differences in novice and competent teachers' knowledge. Teachers and Teaching, 4(1), 9-20. doi:10.1080/1354060980040102 

  70. Sheldon, K. M., & Elliot, A. J.(1998). Not all personal goals are personal: Comparing autonomous and controlled reasons for goals as predictors of efforts and attainmen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4(5), 546-557. doi:10.1177/0146167298245010 

  71.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doi:10.2307/270723 

  72. Spodek, B. (1996).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15(1), 115-124. doi:10.1080/0300443961150110 

  73. Veenman, S. (1984). Perceived problems of beginning teacher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4(2), 143-178. doi:10.3102/00346543054002143 

  74. Wang, H. L. (2005). Early childhood educato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 competence in preschool setting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niversity Park, USA. 

  75. Williams, E. C. (2000).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teacher self-efficacy beliefs; Linkages and measurement issu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Athens, USA. 

  76. Wohlstetten, P., Smyer, R., & Mohrmanan, S. A. (1994). New boundaries for school-based management: The high involvement model. Educational Evaluation & Policy Analysis, 16(3), 268-286. doi:10.3102/01623737016003268 

  77. Woolfolk, A. (2007). Educational Psychology, 교육 심리학(김아영 외 옮김). 서울: 박학사(원판 198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