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 현장 안전관리를 위한 IoT 기반의 위험구역 경보 시스템
IoT-based Dangerous Zone Alarming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Sit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0, 2019년, pp.107 - 115  

김승호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 ,  강창순 (창원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류한국 (삼육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적 및 물적 피해를 크게 초래하는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하다.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주로 대규모 건설현장 위주로 시범 운용되고 있으나, 중소규모의 현장에서 저비용으로 운용할 수 있는 안전관리 시스템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는 예상되는 위험 지역에 허가받지 않은 작업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사전 조치를 하면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저비용으로 운용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위험구역 경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지그비 기반의 비콘기술과 셀룰러 이동통신 기술 등을 활용하여 건설현장에서 추가적인 네트워크의 구축이 없이 허가된 작업자 또는 외부인이 위험구역에 접근시에 감지하고, 안전 관리자에게 위험 경보를 즉시 통보하여 적절한 안전조치를 취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ive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s are desperately required for reducing damage caused by increasing safety accidents in construction sites. Safety accidents in construction sites can effectively protect if proactive measures are taken to prevent unauthorized worker access the expected...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대규모 사업장뿐만 아니라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4세대 이동통신망(Long Term Evolution : LTE)과 지그비,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 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건설현장에 별도의 네트워크 환경 구축 없이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위험구역 경보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는 연구는? 이러한 안전상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센싱 기술[2,3], 빅데이터[4], 무선 네트워크 기술[5,6], 비디오 기술[7], 건설정보모델(Building Information Model)[8,9], 인공지능 기술[10]을 활용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건설현장 안전 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도 발표되었다[11,12]. 그러나 대규모 사업장보다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5~49인이 종사하는 소규모 사업장에서는 안전관리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안전관리 인력, 네트워크 환경과 시스템 구축, 관련 예산 등이 부족하여 안전관리 시스템 운용이 잘되지 않고 있다.
사물인터넷의 구성은? 사물인터넷은 센서로 정보를 측정하고 수집하는 기기 영역, 수집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유무선통신망, 수집한 정보를 서버에서 저장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영역으로 구성된다[8]. IoT 기술을 적용한 연구로 IoT 기반 건물 내부 지도 및 화재 안내 시스템[13], 위치 추적 센서 기반의 IoT 헬스케어 서비스 관리[14], 스마트시티 산업에서의 사물인터넷 적용 사례 연구[15], 실시간 관측 및 제어가 가능한 IoT 저수조 관리 시스템[16] 등이 있다.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의 실정은? 인적 및 물적 피해를 크게 초래하는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하다.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주로 대규모 건설현장 위주로 시범 운용되고 있으나, 중소규모의 현장에서 저비용으로 운용할 수 있는 안전관리 시스템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는 예상되는 위험 지역에 허가받지 않은 작업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사전 조치를 하면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KOSHA). (2014). Safety and Health Research Trends. 

  2. U. K. Lee, J. H. Kim, H. Cho & K. I. Kang. (2009). Development of a mobile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Automation in Construction, 18(3), 258-264. DOI : 10.1016/j.autcon.2008.08.002 

  3. W. F. Cheung, T. H. Lin & Y. C. Lin. (2018). A real-time construction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hazardous gas integrating wireless sensor network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echnologies. Sensors, 18(2), 436. DOI : 10.3390/s18020436 

  4. S. Y. Guo, L. Y. Ding, H. B. Luo & X. Y., Jiang. (2016). A Big-Data-based platform of workers' behavior: Observations from the field.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93, 299-309. DOI : 10.1016/j.aap.2015.09.024 

  5. A. Carbonari, A. Giretti & B. Naticchia. (2011). A proactive system for real-time safe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sites. Automation in Construction, 20(6), 686-698. DOI : 10.1016/j.autcon.2011.04.019 

  6. J. Park, K. Kim & Y. K. Cho. (2016). Framework of automated construction-safety monitoring using cloud-enabled BIM and BLE mobile tracking sensor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43(2), 05016019. DOI : 10.1061/(ASCE)CO.1943-7862.0001223 

  7. V. Escorcia, M. A. Davila, M. Golparvar-Fard & J. C. Niebles. (2012). Automated vision-based recognition of construction worker actions for building interior construction operations using RGBD cameras. In Construction Research Congress 2012: Construction Challenges in a Flat World. (pp. 879-888). DOI : 10.1061/9780784412329.089 

  8. M. D. Martinez-Aires, M., Lopez-Alonso & M. Martinez-Rojas. (2018).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safety management: A systematic review. Safety science, 101, 11-18. DOI : 10.1016/j.ssci.2017.08.015 

  9. S. Zhang, K. Sulankivi, M. Kiviniemi, I. Romo, C. M. Eastman & J. Teizer. (2015). BIM-based fall hazard identification and prevention in construction safety planning. Safety science, 72, 31-45. DOI : 10.1016/j.ssci.2014.08.001 

  10. Y. Niu, W. Lu, F. Xue, D. Liu, K. Chen, D. Fang & C. Anumba. (2019). Towards the "third wave": An SCO-enabled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Safety science, 111, 213-223. DOI : 10.1016/j.ssci.2018.07.013 

  11. S. H. Kim, H. G. Ryu & C. S. Kang. (2019) Development of an IoT-Based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System. In: Kim K., Baek N. (eds) Information Science and Applications 2018. ICISA 2018. Lecture Notes in Electrical Engineering, 514. Singapore.: Springer. DOI : 10.1007/978-981-13-1056-0_60 

  12. S. H. Kim (2018). Development of IoT application systems for atmospheric environment monitoring and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Mater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34-53. 

  13. S. R. Moon & J. H. Cho. (2019). Study on IoT-based Map Inside the Building and Fire Perception Syste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1), 85-90. DOI : 10.14400/JDC.2019.17.1.085 

  14. Y. S. Jeong. (2016). An Efficient IoT Healthcare Service Management Model of Location Tracking Senso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3), 261-267. DOI : 10.14400/JDC.2016.14.3.261 

  15. S. H. Lee, D. H. Shim & D. W. Lee. (2016). Actual Cases of Internet of Thing on Smart City Industr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6(4), 65-70. DOI : 10.22156/CS4SMB.2016.6.4.065 

  16. M. S. Kwon, U. J. Gim, J. J. Lee & O. Jo. (2018). IoT-based Water Tank Management 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and Controling.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6), 217-223. DOI : 10.22156/CS4SMB.2018.8.6.217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