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천환경 자연도의 평가지표 및 기준 연구 - 생물적 특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dicator & criteria for assessment of river environmental naturalness -focused on biological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2 no.10 suppl., 2019년, pp.765 - 776  

전승훈 (가천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하천복원사업의 전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법 제도적 지침과 기준을 제공하고 하천사업의 성과를 진단 평가할 수 있는 한국형 표준화된 하천환경 평가체계 구축과정의 일환으로서 하천생태계의 수변 및 수서환경을 대변할 수 있는 4개의 생물 분류군, 즉 식생과 조류, 그리고 저서 무척추동물과 어류의 평가지표 및 기준 등 평가체계를 구축하였다. 구체적으로 생물적 특성의 평가지표 및 기준을 정리하면, 식생의 경우 식생 다양도와 식생 복잡도, 그리고 식생 자연도 등 3가지 지수의 조합을 통한 하천 식생군집의 구조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저서 무척추동물과 어류, 그리고 조류의 경우도 선진 기법의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하천특성에 적합하도록 생물적 자료의 평가등급 획정에 따른 정량적인 생물지수 평가법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하천환경 자연도의 한 부문인 생물적 특성의 평가를 위하여 이들 4개 생물분류군의 가중치를 적용한 종합 생물지수 및 평가등급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시험하천의 적용결과에서도 생물분류군 간 비교적 일관성 있게 하천환경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guidelines and standards that can be used in the whole river restoration project and to analyze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river project. We constructed an assessment system of four biological taxa that can represent the ri...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저서 무척추동물의 경우 과(Family) 수준의 내성치를 적용하여 해당 분류군의 우점종과 아우점종을 반영하는 평가체계로서 조사·평가의 신속성과 정확성 확보하고자 하였다.
  • 식생 복잡도의 경우 식생군집의 천이과정에 따른 수직적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하반림이나 관목림, 또는 키가 큰 초본군집 등의 식생층 높이가 생태학적으로 중요하다는 점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우점종 중심의 식생군집 외에도 개체목의 형태로 분포하고 있는 식생패치도 고려함으로서 현존 식생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가 하천환경관리정책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실행을 위한 법제도적 기반구축 차원에서 정립된 한국형 하천환경평가체계의 하천환경 자연도 구축과정에서 한 부문이라 할 수 있는 생물적 특성의 평가체계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하천환경의 자연생태적 특성의 핵심분으로 수변 및 수서환경을 대변할 수 있는 4개의 생물분류군, 즉 식생과 조류, 그리고 저서 무척추동물과 어류의 평가체계를 구축하였다.
  • 본 연구는 하천복원사업의 전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법·제도적 지침과 기준을 제공하고 하천사업의 성과를 진단·평가할 수 있는 한국형 표준화된 하천환경 평가체계 구축과정(Chun, 2017; 2018)의 일환으로서 생물적 특성 분야를 중심으로 한 평가체계와 평가지표 및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아울러 생물적 특성의 각 분야별로 다른 하천에서 적용된 사례와 다른 평가체계의 적용사례와 비교, 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 저서 무척추동물 평가체계는 하천 서식공간의 생물 분류군들이 해당 수계의 다양한 환경인자들에 영향을 받으며 살아가는 특징을 반영하여 하천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저서 무척추동물의 경우 과(Family) 수준의 내성치를 적용하여 해당 분류군의 우점종과 아우점종을 반영하는 평가체계로서 조사·평가의 신속성과 정확성 확보하고자 하였다.
  • 하천생태계의 물리적 실체인 하천식생군집의 평가를 통한 하천환경의 이해와 신속하고 정밀한 하천식생군집의 공간정보화에 역점을 두었으며, 상관-종조성 수준(physiognomic &floristic composition level)에서 최상층 우점 식생군집의 수평적 및 수직적 구조, 이들의 분포양상, 그리고 자연성을 시·공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환경의 평가는 무엇인가? 하천환경의 평가는 일차적으로 하천유역 및 주변 환경의 인위적인 이용과 교란에 따른 하천생태계의 총체적인 변화를 진단하는 것이며, 이는 수리적 특성의 변화에 따른 수질과 생물 종 및 이들의 물리적 서식환경의 변화를 주로 파악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독일과 호주의 국가표준 하천환경 평가체계의 특징은 무엇인가? 하천환경 평가체계는 초기에는 하천의 생물적 및 화학적 특성의 평가가 중심을 이루었으나 점차 지형학적 특성을 고려한 하천 서식처 평가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독일과 호주의 국가표준 하천환경 평가체계는 유역단위의 하천관리를 위하여 서식처의 질을 평가하는 체계로서 선행적으로 구축된 생물적 및 화학적 평가자료와 연계된 통합체계로 알려져 있다(EC, 2000; Parsons and Norris, 2004; Belletti et al., 2014; Chun, 2017).
우리나라의 하천환경 평가체계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자연친화적 하천관리의 통합지침(MOLIT, 2012)에서 생물종 중심의 평가지표를 적용하면서 다양한 생물분류군을 포괄하고 있으나 평가기준의 경우 단순하게 생물 종 수 및 개체 수만을 고려하고 있으며, 또한 과학적 검증 및 실효성이 미흡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rbour, M. T., Gerritsen, J., Snyder, B. D., and Stribling, J. B.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second edition. EPA 841-B-99-002, U.S. 

  2. Belletti, B., Rinaldi, M., Buijse, D., Gurnell, A. M., and Mosselman, E. (2014). "A review of assessment methods for river hydromorpholgy."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Vol. 73, No. 5, pp. 2079-2100. 

  3. Bode, R. W., Novak, M. A., and Abele, L. E. (1991). Methods for rapid biological assessment of streams. NYS Department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Albany, N.Y. 

  4. Bryce, S. A., Hughes, R. M., and Kaufmann, P. R. (2002). "Development of a bird integrity index: using bird assemblages as indicators of riparian condi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30, No. 2, pp. 294-310. 

  5. Chun, S. H. (2016). "Som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domestic system for river environment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SHAM, Vol. 16, No. 1, pp. 305-31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6. Chun, S. H. (2017). "Review and discussion on policy and legal system for river environments management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26, No. 6, pp. 431-44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Chun, S. H. (2018). "Suggestion of zoning criteria based on the assessment system for river envrion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27, No. 6, pp. 647-65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8. Chun, S. H., Kim, C. B., Kim, W. R., Park, S. G., and Chae, S. K. (2015). "Analysis of stream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s in Korea: focus on the biological aspect."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 2, No. 2, pp. 108-11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9. EC (2000). Directive 2000/60/EC of the European parliamentand of the council of 23 October 2000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community action in the field of water policy.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Vol. 327, pp. 1-73. 

  10. Hauer, F. R., and Lamberti, G. A. (1996). Methods in stream ecology. Academic Press, Massachusetts, Cambridge, p. 696. 

  11. Hilsenhoff, W. L. (1982). Using a biotic index to evaluate water quality in streams. Technical Bulletin No. 132,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Madison, Wisconsin, p. 22. 

  12. Hilsenhoff, W. L. (1988). "Rapid field assessment of organic pollution with a family-level biotic index."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NABS, Vol. 7, No. 1, pp. 65-68. 

  13. Hunter, J. R. L. M. (1990). Wildlife forests and forestry, principles of managing forests for biological diversity, regents.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p. 370. 

  14. Martin, K., and Paddy, C. (1992). Vegetation description and analysis. John Wiley&Sons, Hoboken, N.J.. 

  15.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1). Survey & assessment of aquatic ecosystem in river. 

  1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2). Integrated guidelines for nature-friendly river management. 

  1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5). Guideline for setting up of basic river plans. p. 67. 

  1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9). Technical report on assessment system for river environment. p. 376. 

  19. Parsons, M., and Norris, R. (2004).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approach to habitat assessment in Australia."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Vol. 98, No. 1-3, pp. 109-130. 

  20. Sakio, H., and Tamura, T. (2008). Ecology of riparian forests in Japan, Springer (in Japanese). 

  21. Young, J. S., Ammon, E. M., Weisberg, P. J., Dilts, T. E., Newton, W. E., Wong-Kone, D. C., and Heki, L. G. (2013). "Comparison of bird community indices for riparian restoration planning and monitoring." Ecological Indicators, Vol. 34, pp. 159-16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