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나이에 따른 편식 및 식습관 실태
Dietary Habit and Unbalanced Diet Status of Young Children by Age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4 no.5, 2019년, pp.587 - 594  

정유미 (계명문화대학교 식품영양조리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eral information, unbalanced diet, and dietary habits of 86 children in Daegu. The research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diet and dietary habits of childre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nutrition education. The results reveal that younger children h...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5세부터 7세까지의 유아 86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식습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15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설문내용을 보완하였으며 설문조사는 2019년 7월 1일부터 2019년 8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대구에 거주하는 유아 86명의 일반사항, 편식, 식습관 등에 관하여 부모님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아의 편식과 식습관 실태를 분석하고 유아의 편식 개선을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2013, Carwile et al 2015). 이에 본 연구는 5-7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편식과 식습관 실태를 조사하고 식습관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유아의 편식 개선을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란? 유아기는 급격한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며, 신체 활동량이 증가하여 영양소의 요구량이 증가하는 시기이다(Kim et al. 2018).
유아의 균형잡힌 영양소 섭취가 중요한 이유는? WHO의 성장표준 연구 (WHO 2006)결과 지역별 학령 전 아동의 성장상태는 최적의 영양상태와 사회 경제적 조건을 가질 때 성장적인 성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유아기의 영양 공급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WHO 2006). 유아의 불충분한 영양소 섭취는 성장부진, 면역력 저하 등 건강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Sun et al. 2019, Kim et al. 2018) 유아기는 뇌의 90%가 형성되는 시기이므로 균형잡힌 영양소 섭취가 매우 중요하다(Lee et al. 2011).
나이에 따른 유아의 편식 정도와 편식 식품군은? 결론적으로 유아는 5, 6, 7세 중 나이가 어릴수록 편식이 심하고, 5세가 가장 골고루 먹지 않았으며, 편식하는 식품군 은 5세와 6세는 채소류, 7세는 난류로 나타났으며, 가장 싫어하는 반찬은 모두 채소반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사시에 나타나는 유아의 잘못된 태도는 모두 식사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것이었고, 유아의 편식시 부모의 반응은 모두 잘 타일러서 섭취하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ddessi E, Galloway AT, Visalberghi E, Birch LL. 2005. Specific social influences on the acceptance of novel foods in 2-5-yearold children. Appetite., 45(3):264-271 

  2. Anzman SL, Rollins BY, Birch LL. 2010. Parental influence on children's early eating environments and obesity risk: implications for prevention. Int. J. Obes (Lond)., 34(7):1116-1124 

  3. Briley ME, Roberts-Gray C, Simpson D. 1994. Identification of factors that influence the menu at child care centerss: agrounded theory approach. J. Am. Diet. Assoc., 94(3):276-281 

  4. Carwile JL, Willett WC, Spiegelman D, Hertzmark E, RichEdwards J, Frazier AL, Michels KB. 2015. Sugar-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and age at menarche in a prospective study of US girls. Hum. Reprod., 30:675-683 

  5. Cho EY. 2011. A study on learning factors and self-accomplishment of culinary taste sense education.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Korea, pp 19-25 

  6. Choi WJ. 199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egetable preference and physical status. Korean. J Nutrition., 21(2):81-87 

  7. Choi YS. 2018. Comparison of nutrients and food intake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lunch places: based on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51(3):254-263 

  8. Kang EJ. 2010. A study on nutrient intakes and eating habits of preschool children. Master's degree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33 

  9. Kang KJ. 2005. A Study on food habits, nutrient intakes and nutritional quality of pre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10(4):471-483 

  10. Kim EK, Song BC, Ju SY. 2018. Dietary status of young children in Korea based on the data of 2013-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J. Nutr. Health., 51(4):330-339 

  11. Kim JN, Park SY, Ahn SH, Kim HK. 2013. A survey on the salt content of kindergarten lunch meals and meal providers' dietary attitude to sodium intake in Gyeonggi-do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8(5):478-490 

  12. Kim NY, Kim SH, Lim JH. 2006. The dietary life of full and half-day program children and their mothers of kindergarten in Daeje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1):37-45 

  13. Kim WJ, Na SH. 2010.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basic motor skills in obese children.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11):4266-4272 

  14. Kim YS, Jung RW, Lee HG. 1990. A study on the dietary habit and food preference of preschool children. Korean. J. Soc. Food. Sci., 6(2):105-119 

  15. Lee HJ, Kim JH, Song SJ. 2019. Assessment of dietary behaviors among preschoolers in Daejeon: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Preschoolers (NQ-P). J. Nutr. Health., 52(2):194-205 

  16. Lee JH, Kang EJ, Kim CI. 2011.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nutritional problems and food intakes, nutrition knowledge score and realities of nutrition education between parents and preschool teachers. Korean. J. Community. Nutr., 16(6):636-646 

  17. Lee MS, Lee KH. 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etary education to improve the vegetable intake of preschoolers. J. Korean. Diet. Assoc., 20:26-35 

  18. Lim HJ. 2001. A study on the calcium and sodium intakes and urinary calcium excretion of preschool children in Busan. Korean J Nutr., 34(7):786-796 

  19. Lustig RH, Schmidt LA, Brindis CD. 2012. Public health: The toxic truth about sugar. Nature., 482:27-29 

  20. Maeng EK. 2019. The effect of taste education on five-year-old children's eating habits, nutrition knowledge and unbalanced diet. Master's degree thesis, Chung-Ang University, Korea, pp 60-61 

  21. Mann J, Cummings JH, Englyst HN, Key T, Liu S, Riccardi G, Summerbell C, Uauy R, van Dam RM, Venn B, Vorster HH, Wiseman M. 2007. FAO/WHO Scientific update on carbohydrate in human nutrition: Conclusions. Eur. J. Clin. Nutr., 61:S132-S137 

  22. Min IJ. 2009. A study on dietary life habits, food preference of the infants, and knowledges and attitudes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nutrition, and growth and problem behavior of the infants. Master's degree thesis, Kyung Hee University, Korea, pp 61-62 

  23. Oh YJ, Chang TK. 2006. Children's unbalanced diet and parent's attitudes. Korean. J. Nutr., 38(2):184-191 

  24. Pangborn RM, Pecore SD. 1982. Taste perception of sodium chloride in relation to dietary intake of salt. Am J Clin Nutr, 35(3): 510-520 

  25. Pyun JS, Lee KH. 2010.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etary habits of mothers and their preschoolers and the mother's need for nutritional education for preschoolers. Korean. Diet. Assoc., 16(1):62-76 

  26. Seo JY. 2009. Investigation on nutrient intake and on the effects and applic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 preschool children. Master's degree thesis, Catholic University, Korea, pp 7-8 

  27. Seo JY, Lee IS, Choi BS. 2008. Food habit and nutrient intake in preschool children-daegu and its environs. Korean. J. Food. Culture., 23(6):793-800 

  28. Sin EK, Lee YK. 2005. Menu development and evaluation through eating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of preschool children in day care centers. Korean. J. Food. Culture., 20(1):1-14 

  29. Sultsz MM, Katona GG, Hirschberg AA, Glffy GG. 2010.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allergic rhinitis in primary schoolchildren in Budapest. Int. J. Pediatr. Otorhinolaryngol., 74:503-509 

  30. Sun SS, Ha JY, Seol SJ. 2019. A comparative study of eating behavior and prosocial behavior among preschool children in kindergartens vs. Childcare Center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9(2):130-138 

  31. Te Morenga L, Mallard S, Mann J. 2013. Dietary sugars and body weight: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cohort studies. BMJ., 345:1-25 

  32. Te Morenga LA, Howatson AJ, Jones RM, Mann J. 2014. Dietary sugars and cardiometabolic risk: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the effects of blood pressure and lipids. Am. J. Clin. Nutr., 100:65-79 

  33. Ventura A, Birch L. 2008. Does parenting affect children's eating and weight status. Int. J. Behav. Nutr. Phys. Act., 5:15 

  34. WHO Multicentre Growth Reference Study Group. 2006. Assessment of differences in linear growth among populations in the WHO Multicentre Growth Reference Study. Acta Paediatr Suppl., 450:56-65 

  35. Yeom MY, Cho YO. 2016.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designed to reduce sugar intake in preschool children. J. Korean. Diet. Assoc., 22(3):179-192 

  36.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accessed 2019. 09.20] 

  37. Korea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Available from: https://www.mfds.go.kr/index.do, [accessed 2019. 09.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