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숙아 어머니의 간호사와의 파트너십, 사회적 지지가 퇴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artnerships with Nurses and Social Support on Readiness for Discharge among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5 no.4, 2019년, pp.417 - 424  

윤소연 (서울대학교병원) ,  박정옥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김모임간호학연구소) ,  이혜정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김모임간호학연구소) ,  민아리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tnerships with nurses, social support and readiness for discharge among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and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readiness for discharge.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미숙아와 그 가족의 퇴원 후 효과적인 적응을 위해서는 간호사와의 파트너십 구축과 함께 가족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한 개별적인 퇴원준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숙아의 궁극적인 치료 목표인 미숙아와 가족의퇴원 후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를 통해 실무에 적용 가능한 퇴원준비도 관련 연구 생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미숙아 어머니의간호사와의 파트너십, 사회적 지지와 퇴원준비도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미숙아 가족의 퇴원 후 긍정적인 적응을 돕고자 한다.
  • 퇴원 준비가 미흡한 가정의 미숙아는 재입원율이 높고,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한 가족의 부적응으로 이어진다[10,11]. 따라서 본 연구는 퇴원 시점에서 주양육자인 미숙아 어머니의 간호사와의 파트너십과 사회적 지지, 퇴원준비도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미숙아 가정의 퇴원 후 긍정적인 적응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간호사와의 파트너십, 사회적 지지 및 퇴원준비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미숙아 어머니의 간호사와 파트너십, 사회적 지지와 퇴원준비도를 확인하고, 그 관련성을 분석하여 미숙아 가족의 효율적인 적응을 돕고자 시도되었다. 미숙아 어머니의 퇴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간호사와의 파트너십과 양육경험 유무가 확인되었고, 사회적 지지는 상관관계가 유의하였으나 영향력은 없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숙아 어머니의 간호사와의 파트너십, 사회적 지지 및 퇴원준비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퇴원준비도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숙아의 생존율이 증가한 이유는? 의료기술의 발달과 소아과 전문인력의 치료 및 간호 향상으로 미숙아의 생존율은 현저히 증가하였고[1], 신생아집중치료실의 치료 목표를 퇴원 후 미숙아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는 것으로 변화시켰다[2]. 그러나 미숙아는 퇴원 후 1년 이내의 재입원율이 33%로 정상신생아에 비해 2배 이상 높으며[3], 지속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미숙아 부모는 퇴원 후 양육 자신감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4].
신생아집중치료실 미숙아 가정에 필요한 조치는? 또한 본 연구에서 미숙아의 재태연령이 낮을수록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유의하게 낮았고, 정상 신생아의 어머니보다 미숙아 어머니가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 정도가 낮다는 선행 연구[30]의 결과를 통해 신생아집중치료실 미숙아 가정의 효과적인 사회적 지지체계에 대한 점검과 보완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입원 시점부터 미숙아의 재태연령과 건강관리 요구도를 고려한 사회적 지원 시스템이 요구되며, 퇴원 후 실질적인 지지체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역사회 관련 부처 간의 협력이 필요할 것이다.
미숙아 어머니의 양육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것은? 미숙아 어머니의 양육경험 유무는 퇴원준비도에 유의한 영향 요인이었으며, 이는 선행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였다[24]. 양육경험이 없는 미숙아의 어머니는 양육경험이 있는 어머니보다 퇴원준비도가 유의하게 낮으므로 양육경험을 사전 조사하고, 대상자 요구도에 맞춘 퇴원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upport for newborn intensive care centers contributes to an increase in prematurity survival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cited 2017 February 06].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38347&page=1 

  2. 2 Lee WR Analysis of maternal child health services in Korea to promote the health of the high risk newborn in times of 70 years after liberation and division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6 20 3 189 195 

  3. 3 LEE Y A comparative study on the support policy for prematurity in some OECD countri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6 36 4 63 96 

  4. 4 Raines DA Brustad J Parent's confidence as a caregiver Advances in Neonatal Care 2012 12 3 183 188 10.1097/ANC.0b013e318256efd5 22668692 

  5. 5 Smith VC Hwang SS Dukhovny D Young S Pursley DM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discharge preparation, family readiness and infant outcomes: Connecting the dots Journal of Perinatology 2013 33 6 415 421 10.1038/jp.2013.23 23492936 

  6. 6 Weiss M Johnson NL Malin S Jerofke T Lang C Sherburne E Readiness for discharge in parents of hospitalized children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08 23 4 282 295 10.1016/j.pedn.2007.10.005 18638672 

  7. 7 Bobay KL Jerofke TA Weiss ME Yakusheva O Age-related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quality of discharge teaching and readiness for hospital discharge Geriatric Nursing 2010 31 3 178 187 10.1016/j.gerinurse.2010.03.005 20525522 

  8. 8 Korea Neonatal Network Annual report 2016 [Internet] Seoul Korea Neonatal Network 2016 [cited 2018 January 10].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cms/content/mobile/81/77381_view.html 

  9. 9 Lee HJ Soul HA Lee KN Seo GO Moon SM Kim KH Discharge education reinforcement activities for mother of premature infants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2014 20 1 76 88 10.14371/QIH.2014.20.1.76 

  10. 10 Jing L Bethancourt CN McDonagh T Assessing infant and maternal readiness for newborn discharge Current Opinion in Pediatrics 2017 29 5 598 605 10.1097/mop.0000000000000526 28731912 

  11. 11 McGowan EC Du N Hawes K Tucker R O'Donnell M Vohr B Maternal mental health an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discharge readiness in mothers of preterm infants The Journal of Pediatrics 2017 184 68 74 10.1016/j.jpeds.2017.01.052 28237375 

  12. 12 Fegran L Helseth S Slettebo A Nurses as moral practitioners encountering pare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Nursing Ethics 2006 13 1 52 64 10.1191/0969733006ne849oa 16425904 

  13. 13 Carroll A Dowling M Discharge planning: Communication, education and patient participation British Journal of Nursing 2007 16 14 882 886 10.12968/bjon.2007.16.14.24328 17851351 

  14. 14 Levick J Quinn M Vennema C NICU parent-to-parent partnerships: A comprehensive approach Neonatal Network 2014 33 2 66 73 10.1891/0730-0832.33.2.66 24589897 

  15. 15 Tomlin AM Deloian B Wollesen L Infant/early childhood mental health and collaborative partnerships: Beyond the NICU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2016 16 4 309 315 10.1053/j.nainr.2016.09.025 

  16. 16 Umberger E Canvasser J Hall SL Enhancing NICU parent engagement and empowerment Seminars Pediatric Surgery 2018 27 1 19 24 10.1053/j.sempedsurg.2017.11.004 

  17. 17 Murch TN Smith VC Supporting families as they transition home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2016 16 4 298 302 10.1053/j.nainr.2016.09.024 

  18. 18 Quinn JM Sparks M Gephart SM Discharge criteria for the late preterm infa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Advances in Neonatal Care 2017 17 5 362 371 10.1097/anc.0000000000000406 28441153 

  19. 19 Hetherington E Doktorchik C Premji SS McDonald SW Tough SC Sauve RS Preterm birth and social support during pregnanc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aediatr and Perinatal Epidemiology 2015 29 6 523 535 10.1111/ppe.12225 

  20. 20 Kang HC Yeon KP Han ST A review on the use of effect size in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5 45 5 641 649 10.4040/jkan.2015.45.5.641 

  21. 21 Choi MY Bang KS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pediatric nurse parent partnership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3 43 2 194 202 10.4040/jkan.2013.43.2.194 

  22. 22 Park JW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5 1 127 

  23. 23 Kwon HK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readiness for hospital discharge by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transferred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7 1 104 

  24. 24 Malagon-Maldonado G Connelly CD Bush RA Predictors of readiness for hospital discharge after birth: Building evidence for practice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2017 14 2 118 127 10.1111/wvn.12208 28226190 

  25. 25 Griffin T Abraham M Transition to home from the newborn intensive care unit: Applying the principles of family-centered care to the discharge process The Journal of Perinatal and Neonatal Nursing 2006 20 3 243 249 10.1097/00005237-200607000-00012 16915057 

  26. 26 McGrath JM Partnerships with families: A foundation to support them in difficult times The Journal of Perinatal and Neonatal Nursing 2005 19 2 94 96 10.1097/00005237-200504000-00003 15923956 

  27. 27 Fegran L Fagermoen MS Helseth S Development of parent-nurse relationship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from closeness to detachment Journal Advanced Nursing 2008 64 4 363 371 10.1111/j.1365-2648.2008.04777.x 

  28. 28 Song YS Kim YJ A study on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elf-efficacy between parenting belief Korean Society for Child Education 2007 16 4 107 117 

  29. 29 Purdy IB Craig JW Zeanah P NICU discharge planning and beyond: Recommendations for parent psychosocial support Journal of Perinatology 2015 35 Suppl 1 S24 S28 10.1038/jp.2015.146 26597802 

  30. 30 Jones L Rowe J Becker T Appraisal, coping, and social support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di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in parents of premature infants Children's Health Care 2009 38 4 245 262 10.1080/0273961090323597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