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장년층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reparation for Old Age on Life Satisfaction in Middle-aged People: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0, 2019년, pp.472 - 486  

염인숙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직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노후준비도와 삶의 만족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노후준비도와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자기효능감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SPSS 25.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기효능감, 사회적 노후준비, 신체적 노후준비, 경제적 노후준비, 학력 순으로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학적 특성보다는 심리적 요인이 중장년층의 삶의 만족도에 더 큰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노후준비도와 삶의 만족도의 영향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중장년층의 삶의 만족도를 올리기 위한 대안과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readiness for old age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readiness for old age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a survey wa...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노후준비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노후준비도와 삶의 만족도 간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하여 중장년층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중장년층의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인, 노후준비도를 독립변인, 자기 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그림 1]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연구모형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노후준비, 경제적 노후준비, 사회적 노후준비를 노후준비도의 하위 요인으로 보고, 노후준비도와 삶의 만족도와의 영향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특히, 자기효능감은 노후준비행동에도 긍정적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장년층의 인구학적 특성, 노후 준비도,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노후준비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중장년층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년기에 심리적인 불안감과 사회적인 단절감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노년기에는 직장에서의 퇴직, 자녀의 독립, 배우자와의 사별, 주변 인들의 죽음 등에서 오는 심리적인 불안감과 사회적인 단절감을 느끼기 쉽다. 이때 새로운 모임이나 사회활동에 참여하여 자신에게 맞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면 자신의 가치를 발견하게 되고 심리적으로 안정된 노후생활을 보낼 수 있다. 조인희, 김영진(2016)은 사회적 지지가 개인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며, 중장년기 이후의 위기나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과 해소를 위한 완충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25].
중장년기란 무엇인가? 중장년기는 전생애적 관점에서 청년세대와 노인세대의 중간자적 위치에 해당하며, 자녀와 부모에 대한 부양의 책임을 동시에 지고 있는 집단이다[16].
자기효능감은 어떤 정보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자기효능감은 성취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각성의 4가지 정보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34]. 성취경험이 많은 사람은 자기효능감이 일반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반면, 실패경험이 많은 사람은 자기효능감이 낮게 나타나는데 성취경험은 실패했을 때의 부정적 효과도 감소시킬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통계청, 사회통합실태조사. http://kosis.kr/statHtml, 2019.6.20. 

  2. 이은아, "중년기 남성의 가족 및 직업관련 변인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6권, 제3호, pp.547-562, 2009. 

  3. J. W. Rowe and R. L. Khan, "Successful Aging, The erontologiest," Vol.37, No.4, pp.433-440, 1997. 

  4. 박지현, "통합적 노후준비도에 따른 한국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 연구," 한국정책연구, 제18권, 제4호, pp.105-120, 2018. 

  5. 신진이, 전태숙,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21세기 사회복지연구, 제13권, 제2호, pp.193-218, 2016. 

  6. 이경준, 송희경, "중고령자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6권, 제4호, pp.757-767, 2016. 

  7. 김혜진, "중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이 노후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32권, pp.53-80, 2012. 

  8. 박명아, 조사울, 신혜리, 박설우, 김영선, "베이비붐 세대의 재무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2호, pp.133-166, 2018. 

  9. 진주영, 하규수, "중장년층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pp.45-57, 2016. 

  10. 손덕화, 은퇴세대의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 간의 인과구조,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1. 이승신, "고령자의 노후준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제15권, 제4호, pp.43-61, 2012. 

  12. 장은주, 중.장년층의 성공적 노화인식, 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3. 최태을, 권경주, 최미영,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71권, 제4호, pp.221-242, 2016. 

  14. 마상범,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5. 윤성원, 김기승, "베이비부머 세대의 진로자기효능감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3427-3435, 2012. 

  16. 한경혜, 김주현, 김경민.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관계망과 정신건강," 한국노년학, 제23권, 제2호, pp.155-170, 2003. 

  17. E. H. Erikson, Modem Man in Search of a Soul, New York: W. W. Norton & co. 1963. 

  18. 김보민, "중장년층 퇴직자 재취업 결정요인 분석," 응용경제, 제21권, 제1호, pp.117-152, 2019. 

  19. 이준희, 중.장년층의 가족특성, 노후인식 및 사회적지지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20. 임선미,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와 주거환경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1. 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 보고서, 2015. 

  22. 박주희, "베이비부머 세대의 가족 특성이 노후준비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20권, 제4호, pp.1-17, 2016. 

  23. 박창제,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30호, pp.275-297, 2008. 

  24. 최명화, 최수일, "근로자의 개인적.직업적 특성과 노후준비와의 관계," 한국콘텐트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49-264, 2012. 

  25. 조인희, 김영진,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및 죽음불안이 중년기의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6권, 제2호, pp.179-188, 2016. 

  26. 박성준, "베이비부머 세대의 인구학적 특성, 자기완성지향, 적극적인 인생참여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료복지연구, 제9권, 제1호, pp.23-39, 2017. 

  27. 김영남, 제주지역 중장년층의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 인식이 노후준비정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8. 황승일, 초기노인의 노후관련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9. 김양이, 이채우, "중년층의 노후준비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9권, pp.55-82, 2008. 

  30.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 pp.191-215, 1977. 

  31. B. J. Zimmermanm and M. Martinez-Pons,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23, pp.614-623, 1986. 

  32. F. Pajares, "Self-efficacy beliefs, motivation, and achievement in writ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ading & writing Quarterly, Vol.19, No.2, pp.139-158, 2003. 

  33. 김명옥,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학교 적응간의 관계에 미치는 학업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4. A. Bandura,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 J. : Prentice-Hall, 1986. 

  35. 박인숙, 중.장년층의 자아효능감과 노후생활 인식에 따른 은퇴준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6. 신근영, 고재욱,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9호, pp.255-267, 2017. 

  37. 이지선,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8. 장현숙, "노인의 성 인식과 성교육 수요가 성공적인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실천학회지, 제7권, 제2호, pp.7-28, 2016. 

  39. 신동민, "노인의 지각된 자기효능감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7권, pp.261-288, 2012. 

  40. 김석일, 오현옥,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자기효능감, 자아통합감 및 성공적 노화," 한국체육학회지, 제55권, 제6호, pp.509-520, 2016. 

  41. 박지영,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노후생활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8권, 제4호, pp.257-270, 2014. 

  42. 최동주, 이묘숙, 이준용,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도와 자기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42권, pp.161-185, 2014. 

  43. 김성희, 중년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44. 심미영, 중년기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건강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45. 정일영,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2권, 제4호, pp.423-438, 2017. 

  46. 고영준,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동기와 라이프스타일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47. 이효재, 지순, 박매자, "한국 저소득층 노인생활에 관한 사회.경제 및 공간문제 연구," 한국문화연구원론, 제34권, pp.239-288, 1979. 

  48. 신현구, "노동시장 은퇴자의 은퇴 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 노동리뷰, 제27권, pp.81-93, 2007. 

  49. 김태현,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 연구: 발달과업 성위도와 상관 연구," 성신연구 논문집, 제23권, pp.157-167, 1986. 

  50. 유재남,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69권, pp.183-200, 2019. 

  51. 전효수, 은퇴 준비가 은퇴 후 삶의 질에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2. 강선경,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원이 우울증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9권, 제2호, pp,629-643, 2009. 

  53. 권창호, 노인 일자리사업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54. 김민지, 컴퓨터 학습이 중고령자의 자기효능감, 행복지수, 삶의 질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55. 송기영, 이상주, 노상은, "노인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종합학술대회 논문집, pp.295-296, 2019. 

  56. 배계희, 중년기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57. 신진이,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에 대한 인식과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58. R. R. Hocking and O. J. Pendleton, "The regression dilemma," Communications in Statistics-Theory and Methods, Vol.12, No.5, pp.497-527, 1983. 

  59.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