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상분지 내 주요단층의 K-Ar 연대: 신생대 단층활동의 시·공간적 특성
K-Ar Age-dating Results of Some Major Faults in the Gyeongsang Basin: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Fault Activations during the Cenozoic Er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2 no.5, 2019년, pp.449 - 457  

송윤구 (연세대학교) ,  심호 (연세대학교) ,  홍성식 (연세대학교) ,  손문 (부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경상분지에 나타나는 주요 단층의 단층 gouge 대상으로 단층 gouge bulk 시료 및 선별시료의 $0.1{\mu}m$ 이하 입도시료를 대상으로 수행한 K-Ar 연대측정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결과를 대상 시료의 광물학적 특성에 기초한 해석을 통해 단층의 활동시기를 해석하고, 기존의 단층 활동연대자료와 종합하여 신생대의 단층활동의 시 공간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시료의 광물학적 특성을 고려한 K-Ar 연대 측정값의 의미를 종합해 보면, 경상분지 주요 단층에서는 전기 신생대인 약 50 Ma 전후시기, 30 Ma 이 후 시기, 그리고 20 Ma 이 후 시기 등 최소 3차례의 단층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양산단층은 공간적으로 단층 북단에서 단층활동 연대가 젊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오천단층 및 그 연계단층, 그리고 경주지역 지점 단층에서는 30 Ma 이 후 시기 및 20 Ma 이 후 시기의 단층활동이 집중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는 보다 정밀한 단층 활동연대를 결정하는 혼합연대 결정법인 illite-age-analysis(IAA)법 적용을 통해 보완될 것이다. 본 연구와 같은 경상분지 내 주요 단층에 대한 복수의 단층 활동연대 결정은 신생대 시기의 한반도 동남부 지역의 지구조 진화모델 확립에 결정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resent the K-Ar age-dating results of the bulk and the less than $0.1{\mu}m$ fraction of the fault gouges collected from some major faults in the Gyeongsang basin. We try to determine the timings of fault activation based on the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to interpret the spa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결과를 대상 시료의 광물학적 특성에 기초한 해석을 통해 단층의 활동시기를 해석하고, 기존의 단층 활동연대자료와 종합하여 신생대의 단층활동의 시·공간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 결과를 대상 시료의 광물학적 특성에 기초한 해석을 통해 단층의 활동시기를 해석하고, 기존의 단층 활동연대자료와 종합하여 신생대의 단층활동의 시·공간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이후 수행될 IAA법 적용을 통한 정밀 단층활동연대 결정 연구에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 활성단층 특성 파악에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층의 활동연대를 결정하기 위한 우리나라 방식은 무엇인가? (2001)에 의해 제안된 후 국내에서 Chung et al. (2013)이 일라이트의 부정방위 배열을 극대화한 micro-focused X-선 회절분석법과 full-pattern-fitting(FPF)법 적용을 통해 일라이트 폴리타입을 정량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IAA 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Song et al., 2014; Chung et al.
한반도 동남부의 경상분지에 대한 기초정보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 지역은 국가적으로도 다수의 기반시설이 밀집되어 있고, 최근의 경주 및 포항지진 발생으로 인해 지 진재해에 매우 민감한 지역으로, 그 대책 마련을 위한 활성단층 잠재성 높은 단층의 분포, 활동연대, 주기성 등의 핵심 기초정보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한 이 지역 주요 단층의 활동연대 결정 및 공간적 분포특성 규명을 통한 신생대 이후 한반도 동남부 지구 조진화의 보다 정확한 시간대(time-scheme) 결정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활성단층의 존재의 의의는 무엇인가? 활성단층의 존재는 지진재해의 발생가능성과 직결되어있어 이를 확인하고 지질시대를 통한 단층 생성 및 활동연대, 그리고 활동 주기성 등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은 지진재해 대책 마련의 핵심 요소이다. 대부분의 활성단층은 신생대 이후의 지구조운동 결과로 생성된 단층과 연관되어 있으며, 따라서 신생대 동안 생성된 단층의 활동연대 및 공간적 분포에 대한 정보를 결정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활성단층 연구에서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ui, H.B, Ngo, X.T., Khuong, T.H., Golonka, J., Nguyen, T.D., Song, Y., Itaya, T. and Yagi, K. (2017) Episodes of brittle deformation within the Dien Bien Phu Fault zone, Vietnam: Evidence from K-Ar age dating of authigenic illite. Tectonophysics, v.695, p.53-63. 

  2. Choi, J.-H., Yang, S.-J. and Kim, Y.-S. (2009) Fault zone classific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outhern Yangsan fault in the Sangcheon-ri area, S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5, p.9-28. 

  3. Chung, D., Song, Y., Kang, I.-M. and Park, C.-Y. (2013) Optimization of Illite Polytype Quantification Method.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6, p.1-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ung, D., Song, Y., Park, C.-Y., Kang, I.-M., Choi, S.-J. and Khulganakhuu, C. (2014) Reactivated Timings of Some Major Faults in the Chugaryeong Fault Zone since the Cretaceous Period.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7, p.29-3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Grathoff, G.H. and Moore, D.M. (1996) Illite polytype quantification using Wildfire calculated X-ray diffraction patterns. Clays and Clay Minerals, v.44, p.835-842. 

  6. Itaya, T., Nagao, K., Inoue, K., Honjou, Y., Okada, T. and Ogata, A. (1991) Argon isotopic analysis by newly developed mass spectrometric system for K-Ar dating. Mineralogical Journal, v.15, 203-221. 

  7. Khulganakhuu C., Song, Y., Chung, D., Park, C., Choi, S.J., Kang, I.-M. and Yi, K. (2015) Reactivated Timings of Inje Fault since the Mesozoic Er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8, p.41-4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GAM (2018) Active fault map and seismic hazard map. KIGAM report (NEMA-자연-2009-24) funded by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2), published by Jinhan M & B, Seoul, 899p. 

  9. Kim, Y.H. and Lee, K.H. (1987) A study on the structure of Yangsan fault in the southern part of Kyeonju.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eral and mining engineers, v.20, p.247-260. 

  10. Kyung, J.B. and Lee, K.H. (2006) Active fault study of the Yangsan fault system and Ulsan fault system,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v.9, p.219-230. 

  11. Lee, K.H. and Na, S.H. (1983) A study of microearthquake activity of the Yangsan fault.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19, p.127-135. 

  12. Lee, K.H., Jeong, B.G., Kim, Y.H. and Yang, S.J. (1984) A geophysical study of Yangsan fault area. Journal of the Geophysical Society of Korea. v.20, p.222-240. 

  13. Lee, K.H., Lee, K.H., Jeong, B.G. and Kim, Y.H. (1985) A geophysical study of Yangsan fault area(II). Journal of the Geophysical Society of Korea. v.21, p.79-89. 

  14. Pevear, D.R. (1992) Illite age analysis, a new tool for basin thermal history analysis. In: Kharaka, Y.K. and Maest, A.S. (eds.) Water-Rock interaction. Balkema, Rotterdam, p.1251-1254. 

  15. Pevear, D.R. (1999) Illite and hydrocarbon explora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v.96, no.7, p.3440-3446. 

  16. Sim, H., Song, Y., Son, M., Park, C., Choi, W. and Khulganakhuu, C. (2017) Reactivated Timings of Yangsan Fault in the Northern Pohang Area, Korea. Econ. Environ. Geol., v.50, p.97-104. 

  17. Son, M., Song, C.W., Kim, M.-C., Cheon, Y., Cho, H. and Sohn, Y.K. (2015) Miocene tectonic evolution of the basins and fault systems, SE Korea: dextral, simple shear during the East Sea(Sea of Japan) opening. J. Geol. Soc., v.172, p.664-680. 

  18. Son, M., Song, C.W., Kim, M.-C., Cheon, Y., Jung, S., Cho, H., Kim, H.-G., Kim, J.S. and Sohn, Y.K. (2013) Miocene crustal deformation, basin development, and tectonic implication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J. Geol. Soc. Korea, v.49, p.93-118. 

  19. Song, Y., Chung, D., Choi, S.-J., Kang, I.-M., Park, C., Itaya, T. and Yi, K. (2014) K-Ar illite dating to constrain multiple events in shallow crustal rocks: Implications for the Late Phanerozoic evolution of NE Asia.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v. 95, p.313-322. 

  20. Song, Y., Park, C., Sim, H., Choi, W., Son, M. and Khulganakhuu C. (2016) Reactivated Timings of Yangsan Fault in the Sangcheon-ri Area, Korea. Econ. Environ. Geol., v.49, p.97-104. 

  21. van der Pluijm, B.A., Hall, C.M., Vrolijk, P.J., Pevear, D.R. and Covey, M.C. (2001) The dating of shallow faults in the Earth's crust. Nature, v.412, p.172-17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