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조선왕조 옥책의 암석학적 특징과 산지검토
Li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Consideration on the Jade Investiture Books of Joseon Dynasty in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2 no.5, 2019년, pp.485 - 497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박준형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선왕조의 옥책을 구성하는 암석은 다양한 산출상태를 보이지만, 색을 기준으로 녹색과 백색으로 구분된다. 녹색을 띠는 암석은 방해석사문석으로 구성된 옥질 암석이며, 백색의 암석은 결정질 방해석으로 이루어진 대리암질암이다. 옥질암은 녹색조가 강할수록 X-선 회절분석에서 사문석의 강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옥의 품위는 사문석의 함량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옥책 252점의 암종분류 결과, 옥질암으로 제작한 옥책은 104권(41.3%), 대리암질암 98권(38.9%), 혼합사용 50권(19.8%)으로 세분되었다. 두 암종을 혼합사용한 옥책에서는 대리암질암이 우세한 것이 47권(18.6%)으로, 전체 옥책의 절반 이상에서 대리암질암이 사용되었다. 대체로 옥책의 품질은 조선의 말기로 갈수록 떨어지며, 대리암질암의 사용 빈도가 증가한다. 또한 글자의 안료나 금속제 부속품 및 직물의 품질도 저하되는 경향이 함께 나타난다. 이는 조선 말기로 갈수록 약화된 왕권, 국력 및 재정 등 사회상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옥책에 사용된 옥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춘천 연옥이나 부여 귀사문석과는 다른 광물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고문헌 자료에는 경기도 화성의 남양 일대에서 채석했다는 기록이 있다. 남양 일대는 편마암 지대에 해당하며, 백운모 편암 사이에 석회암 및 석회규산염암이 협재하고 있다. 이 석회규산염암은 투휘석을 포함하여 변질작용을 통해 사문석이 형성될 수 있으며, 소규모로 형성된 옥을 채굴하여 옥책 제작에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Jade Investiture Books in Joseon Dynasty shows diverse facies with various petrographic characteristics to green and white based on color. In lithologically, the green rocks are jade composed of calcite and serpentine, and the white ones are marbles consisting mainly in crystalline calcite. As a...

주제어

표/그림 (1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옥책의 품질이 저하된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글자의 안료나 금속제 부속품 및 직물의 품질도 저하되는 경향이 함께 나타난다. 이는 조선 말기로 갈수록 약화된 왕권, 국력 및 재정 등 사회상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옥책에 사용된 옥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춘천 연옥이나 부여 귀사문석과는 다른 광물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고문헌 자료에는 경기도 화성의 남양 일대에서 채석했다는 기록이 있다.
녹색을 띠는 암석은 무엇인가? 조선왕조의 옥책을 구성하는 암석은 다양한 산출상태를 보이지만, 색을 기준으로 녹색과 백색으로 구분된다. 녹색을 띠는 암석은 방해석과 사문석으로 구성된 옥질 암석이며, 백색의 암석은 결정질 방해석으로 이루어진 대리암질암이다. 옥질암은 녹색조가 강할수록 X-선 회절분석에서 사문석의 강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옥의 품위는 사문석의 함량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옥책을 구성하는 암석은 색을 기준으로 어떻게 구분되는가? 조선왕조의 옥책을 구성하는 암석은 다양한 산출상태를 보이지만, 색을 기준으로 녹색과 백색으로 구분된다. 녹색을 띠는 암석은 방해석과 사문석으로 구성된 옥질 암석이며, 백색의 암석은 결정질 방해석으로 이루어진 대리암질암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Graf, D.L. (1960) Geochemistry of carbonate sediments and sedimentary carbonate rocks. Part III, Minor Element Distribution Circular No. 301. 

  2. Jeong, J.G., Kim, W.S., Rhee, B.Y. and Lee, J.Y. (1995)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mid-west crust of Korea mineralogy of precious serpentine from the Booyo green jade min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16, p.263-271. 

  3. Kim, J., Lee, C.H. and Kim, J.Y. (2008)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for chloritic beads from the Boseong Geoseokri and Haenam Buntori Sites,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3, p.25-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im, K.J. and Choi, S.W. (200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k using Chuncheon nephrite. Jouranl of Natur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for Basic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v.9, p.65-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M.R. (2016a) Dating inner cases for the Late Joseon Jade Investiture Books. Gogungmunhwa, No.9, p.8-37. (in Korean) 

  6. Kim, M.S. (2016b)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distinct features of Joseon-period Royal Investiture Books. Gogungmunhwa, No.9, p.8-37. (in Korean) 

  7. Kim, S.J., Lee, D.J. and Chang, S.W. (1986) A mineralogical and gem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he Korean jade from Chuncheon,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22, p.278-288. 

  8. Kinsman, D.J. (1969) Interpretation of $Sr^{2+}$ concentrations in carbonate minerals and rocks.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v.39, p.486-508. 

  9. Lee, C.H., Kim, J.C., Na, G.J. and Kim, M.J. (2006) Material chracteristics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jede (amazonite) from Sijeonri site at Asan, Korea.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39, p.219-2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McLennan, S.M. (1989) Rare earth elements in sedimentary rocks: influence of the provenance and sedimentary process. Geochemistry and Mineralogy of Rare Earth Elements, v.21, p.169-200. 

  11. Noh, J.H. and Cho, H.G. (1993)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of the Chuncheon nephrite: Mineral facies, mineral chemistry and pyribole structure.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6, p.57-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Park, N.Y. and Kim J.H. (1972) Geological Report of the Namyang Sheet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p.1-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Park, Y.M. (2016) Textiles for decorative mounting of Joseon Royal Investiture Books in the Seventeenth to the Twentieth century. Gogungmunhwa, v.9, p.80-109. (in Korean) 

  14. Shin, D.H. (2002) The study on the Josun Period's jade crafts: Centering around with the the authentic of Chosun Dynasty document's data. Journal of Korean Cultural History, v.18, p.199-232. (in Korean) 

  15. Tan, L.P., Lee, C.W., Chen, C.C., Tien, P.L., Tsui, P.C. and Yui, T.F. (1978) A mineralogical study of the Fentien nephrite deposits of Hualien, Taiwan. National Science Council, Republic of China, NSC Special Publication, v.1, p.81. 

  16. Taylor, S.R. and McLennan, S.M. (1985) The contin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p.1-3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