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HC 매입말뚝의 설계효율과 지지력 특성 사례분석
Case Study on Design Efficiency and Bearing Capacity Characteristics of Bored PHC Piles 원문보기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18 no.3, 2019년, pp.45 - 53  

윤중만 (Dept. of Construction Information System, SHIN ANSAN University) ,  여규권 (Technology Research Division, SAMBU Construction Co.) ,  김홍연 (Technology Research Division, SAMBU Construction Co.) ,  최용규 (Dept. of Civil Eng., Kyungsu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건축기초에 적용된 매입 PHC말뚝의 설계사례를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말뚝길이는 최대 35m 이내에서 다양하나, 지지층 조건에 따른 평균 길이는 17.0~18.9m로 큰 차이가 없었다. 지지층 소켓길이는 전체의 약 58%가 시방기준 최소길이인 1m에 따라 설계되었고, 최대 5m까지 설계되었다. 설계효율은 그 편차가 매우 크나 평균 약 70%로서 통상 알려진 범위와 일치하였다. 설계효율이 낮은 용도는 주로 설계하중이 적은 저층건물이나 놀이기구 기초 등으로 나타났다. 풍화암 지지층에서 설계하중은 설계를 지배하는 지반 허용지지력의 65~97%, 허용지지력에 대한 말뚝 허용축하중의 비는 36~115%로 광범위하게 분포하므로 설계효율과 함께 최적화 노력이 요구된다. 반면, 연 경암 지지층의 허용지지력은 대부분 말뚝 허용축하중의 90% 내외로 매우 균등했다. 설계 허용지지력은 선단지지력이 평균 75% 이상을 차지하였으나, 현장재하시험 연구결과를 보면 초기항타 조건에서는 선단지지력이 지배적이며, 재항타 조건에서는 선단지지력이 최소 25%에 불과한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설계시 산정된 허용지지력은 시공 초기조건만을 반영하는 것이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말뚝 주면부로의 하중전이가 증가하고, 일부는 시험시 타격에너지 부족으로 선단지지력의 확인이 이루어지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균질한 지반으로 가정했을 때 근입비가 증가할수록 허용축하중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고, 이와 유사하게 지반의 허용지지력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큰 설계하중으로 초고강도 말뚝을 적용할 경우 지반의 지지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the cases of bored PHC piles designed for the building foundations. The overall length of the piles varies within a maximum of 35 m. However, the average length was 17.0 to 18.9 m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bedrock,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socket length e...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건축기초에 적용된 매입 PHC말뚝 설계사례에 대하여 지지층에 따른 근입깊이, 설계효율과 허용지지력 및 말뚝 재료의 허용축하중 상호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지지층과 PHC 말뚝의 직경별로 말뚝 평균길이와 지지층 소켓길이 분포를 분석하였다. 또한, 경제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설계효율을 말뚝 직경별로 산정하고 비교하였다. 설계하중이 부재한 자료에 대하여는 설계효율을 추정하기 위하여 지반의 허용지지력과 말뚝재료의 허용축하중을 이용하였다.
  • 따라서, 말뚝 재료의 허용압축응력과 경험식에 의한 허용지지력을 설계하중과 비교하여 일정한 범위의 설계효율을 확보하도록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후 시공시에 동재하시험에 의하여 지반조건이 반영된 말뚝의 허용지지력을 평가하여 설계의 적정성 여부를 시공단계에서 평가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현행 건축물 말뚝기초 관련 설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허용지지력 산정방법에 따른 최근 PHC 말뚝 설계사례에 대하여 지지층에 따른 근입깊이, 설계효율과 지반의 허용지지력 및 재료의 허용축하중을 상호 비교·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설계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 설계지지력 가운데 풍화암 지지층에서의 선단지지력과 주면마찰력으로 구분된 자료에 대하여 두 값의 분포를 비교하였다. Table 3에 보인 바와 같이 선단지지력은 전체 지지력의 약 63∼90%, 주면마찰력은 약 10∼37%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경제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설계효율을 말뚝 직경별로 산정하고 비교하였다. 설계하중이 부재한 자료에 대하여는 설계효율을 추정하기 위하여 지반의 허용지지력과 말뚝재료의 허용축하중을 이용하였다. 지반의 허용지지력과 말뚝재료의 허용 축하중, 그리고 설계하중을 비교하여 설계의 안전여유 분포를 분석하였다.
  • 연구에 활용된 설계자료 가운데 말뚝의 선단지지력과 주면마찰력이 구분된 자료에 대하여 설계지지력과 타 연구의 재하시험 결과를 비교하였고, 말뚝의 지지층 관입깊이와 직경의 관계인 근입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설계하중이 부재한 자료에 대하여는 설계효율을 추정하기 위하여 지반의 허용지지력과 말뚝재료의 허용축하중을 이용하였다. 지반의 허용지지력과 말뚝재료의 허용 축하중, 그리고 설계하중을 비교하여 설계의 안전여유 분포를 분석하였다.
  • 지지층과 PHC 말뚝의 직경별로 말뚝 평균길이와 지지층 소켓길이 분포를 분석하였다. 또한, 경제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설계효율을 말뚝 직경별로 산정하고 비교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 활용된 설계자료는 총 82개 현장의 자료로서 물류센터, 공장, 공동주택, 업무시설, 관광 및 놀이시설 등 다양한 용도의 시설이며, 주로 건축 관련현장의 매입말뚝 자료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성콘크리트 말뚝의 허용압축응력은 기준은 무엇인가? 현행 건축물 설계기준에서 말뚝의 허용지지력은 재료의 허용압축응력에 최소단면적을 곱한 값 이하, 재하시험을 할 경우에는 항복하중의 1/2 및 극한하중 이하 값의 1/3 중 작은 값으로 하고, 재하시험을 하지 않는 경우는 지지력 산정식에 따라 구해지는 극한지지력의 1/3 중에서 가장 작은 값으로 산정하도록 되어있다. 여기서, 기성콘크리트 말뚝의 허용압축응력은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의 최대 1/4까지를 말뚝재료의 허용압축응력으로 하며, 사용하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는 35MPa 이상으로 하고 허용 지지력은 말뚝의 최소단면에 대하여 구하는 것으로 한다 (MOLIT, 2019). 그러나 설계 당시에 재하시험은 말뚝자재 및 시공장비의 단기임대에 따른 비용과 시험용역비 등의 문제, 그리고 현장시험 부지 마련 및 착공 전 인허가 등의 문제로 현장 개설 전에 수행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현행 건축물 설계기준에서 말뚝의 허용지지력은? 현행 건축물 설계기준에서 말뚝의 허용지지력은 재료의 허용압축응력에 최소단면적을 곱한 값 이하, 재하시험을 할 경우에는 항복하중의 1/2 및 극한하중 이하 값의 1/3 중 작은 값으로 하고, 재하시험을 하지 않는 경우는 지지력 산정식에 따라 구해지는 극한지지력의 1/3 중에서 가장 작은 값으로 산정하도록 되어있다. 여기서, 기성콘크리트 말뚝의 허용압축응력은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의 최대 1/4까지를 말뚝재료의 허용압축응력으로 하며, 사용하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는 35MPa 이상으로 하고 허용 지지력은 말뚝의 최소단면에 대하여 구하는 것으로 한다 (MOLIT, 2019).
말뚝 재료의 허용압축응력과 경험식에 의한 허용지지력을 설계하중과 비교하여 일정한 범위의 설계효율을 확보해 설계가 이루어지는 이유는? 여기서, 기성콘크리트 말뚝의 허용압축응력은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의 최대 1/4까지를 말뚝재료의 허용압축응력으로 하며, 사용하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는 35MPa 이상으로 하고 허용 지지력은 말뚝의 최소단면에 대하여 구하는 것으로 한다 (MOLIT, 2019). 그러나 설계 당시에 재하시험은 말뚝자재 및 시공장비의 단기임대에 따른 비용과 시험용역비 등의 문제, 그리고 현장시험 부지 마련 및 착공 전 인허가 등의 문제로 현장 개설 전에 수행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말뚝 재료의 허용압축응력과 경험식에 의한 허용지지력을 설계하중과 비교하여 일정한 범위의 설계효율을 확보하도록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5), Design Standards for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in Korean) 

  2. Chae, S. G. (2018), Design and Construction Practice of PHC Pile Foundation, GS E&C Co., Seoul, pp.142-143. (in Korean) 

  3. Chae, S. G. and Kim, H. G. (2014), Design and Construction Manual of Large Diameter PHC Piles, ENG Book Co., Seoul, p.146. (in Korean) 

  4. Chae, S. G., Park, J. H., Ryu, G. R. and Kim, J. H. (2015), "Introduction to Standard Design and Construction Consulting Method of Bored Pile and the Application Case",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1, No.2, pp.8-18 (in Korean) 

  5. Choi, Y. K. and Kim, M. H. (2018), "Axial Bearing Characteristics of Tip-transformed PHC Piles through Field Test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4, No.11, pp.107-119. (in Korean) 

  6.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2015), Application Plan for Efficiency of Pile Foundation, p.143. (in Korean) 

  7.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2008), Special Specification for Housing Projects. (in Korean) 

  8.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08), Design Standards Commentary for Road Bridge. (in Korean) 

  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Special Specification for General Road Construction, p.371. (in Korean)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Construction Specification for Road Bridge, p.282. (in Korean) 

  1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Korean Construction Specification for Ready-made Piles (KCS 11 50 15 : 2016), p.10-11. (in Korean) 

  1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Special Specification for Railway Construction, p.5-29. (in Korean) 

  1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9), Design Standards for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KDS 41 20 00 : 2019), p.18. (in Korean) 

  1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2018), Expressway Construction Specification for Ready-made Piles (EXCS 11 50 15 : 2018), p.11. (in Korean) 

  15.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8), Design Standards Commentary for Structure Foundation. (in Korean) 

  16. Paik, K. H. (1997), "Characteristics of the Bearing Capacity for New Auger-Drilled Pile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13, No.4, pp.25-35. (in Korean) 

  17. Park, J. B., Lee, B. S. and Park, Y. B. (2015), "Analytical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Design Formula and Possibility of Improving Bearing Capacity of Bored Pile", LHI Journal, Vol.6, No.3, pp.139-145. (in Korean) 

  18.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8), Construction Specification for Ready-made Piles (SMCS 11 50 15?2018), p.17. (in Korean) 

  19. Woo, G. S., Park, J. B., Seo, M. J. and Lee, J. S. (2016), "Evaluation of Allowable Bearing Capacity of 600 mm Diameter Preboring PHC Piles Using Dynamic Load Test",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2, No.11, pp.61-7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