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자 소독처리와 광질에 따른 약용작물 잔대 종자의 발아특성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Crop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Hara as Affected by Seed Disinfection and Light Quality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8 no.4, 2019년, pp.404 - 410  

이혜리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  김현민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  정현우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  오명민 (충북대학교 축산.원예.식품공학부 원예학전공) ,  황승재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부가가치 약용작물인 잔대(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Hara)의 종자 형태특성과 휴면 유형을 조사하고, 발아율 향상을 위한 소독제와 광질을 선발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종자 소독은 증류수(대조구), NaClO 4%, $H_2O_2$ 4%와 benomyl $500mg{\cdot}L^{-1}$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광질처리는 암조건(control I), 형광등(control II), LEDs[red, blue, green, RB LEDs(red:blue = 8:2, 6:4, 4:6, 2:8)]를 광주기 12/12(light/dark), 광도 $150{\mu}mol{\cdot}m^{-2}{\cdot}s^{-1}$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로 설정하였다. 잔대 종자는 emryo (E):seed (S) ratio가 0.4로 미숙배 종자지만 30일 이내에 발아가 되며, 침지 6시간 만에 포화상태에 도달하였다. 종자 소독 후 benomyl 처리에서 곰팡이 발생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으며, 최종 발아율이 87%로 가장 높았다. 적색광에서 최종 발아율이 92%로 가장 높았으며, 일일평균발아수는 R2B8에서 가장 적었다. 따라서 잔대 종자는 휴면이 거의 없으며, benomyl 소독제와 적색광이 발아율 향상에 효과적이여, 향후 약용작물 잔대 재배에 이용가치가 높을 것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e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ormancy type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Hara that high valued medicinal crop and to select the disinfectants and light quality for germination rate improvement. The seed disinfection was carried out us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화학적 처리 방법으로는 아세트산(C2H4O2, acetic acid), 염소(Cl, chlorine), 오존수(ozone water),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 sodium hypochlorite), 과산화수소(H2O2, hydrogen peroxide), 에탄올(C2H6O, ethanol) 등이 있고(Delaquis 등, 1999; Fett, 2002; Kim과 Kim, 2001;Kim 등, 2001; Hwang과 Choi, 2008), 물리적 처리 방법은 온탕 침지법, 냉수 온탕 침지법, 건열처리법 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부가가치 작물인 잔대의 종자 휴면특성을 조사하고, 광질과 소독처리에 따른 잔대 종자의 발아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잔대의 어린 싹과 뿌리는 어떻게 이용되어지고 있나? 잔대는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배수가 양호하고 양지바른 산기슭에서 주로 자생한다. 이른 봄에 나오는 어린싹은 나물로 이용되어지며, 뿌리는 ‘사삼’이라 하여 인삼과 비슷한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식용 및 약용작물로써 이용되고 있다(Ham 등, 2009a; Park, 2010). 잔대는 saponin, inulin, polysthicol, lupenone, daucosterol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Gorovoi 등, 1971), 잔대 에탄올 추출물과 그 분획물의 항돌연변이와 항종양 효과(Ham 등,2009b)와 잔대 뿌리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다(Choi 등, 2008).
잔대란 무엇인가? 잔대(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Hara)는 초롱과 다년생 초본식물로써, 털잔대, 넓은잔대, 왕잔대 등 국내에 10종 이상이 자생하고 있다. 잔대는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배수가 양호하고 양지바른 산기슭에서 주로 자생한다.
잔대 에탄올 추출물과 그 분획물의 효능은? 이른 봄에 나오는 어린싹은 나물로 이용되어지며, 뿌리는 ‘사삼’이라 하여 인삼과 비슷한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식용 및 약용작물로써 이용되고 있다(Ham 등, 2009a; Park, 2010). 잔대는 saponin, inulin, polysthicol, lupenone, daucosterol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Gorovoi 등, 1971), 잔대 에탄올 추출물과 그 분획물의 항돌연변이와 항종양 효과(Ham 등,2009b)와 잔대 뿌리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다(Choi 등, 2008). 또한 잔대는 해독과 거담 개선, 뇌신경세포 보호 등의 효과가 있어 한방 약재로써 소비가 증가되고 있다(Choi 등, 2008; Chung 등, 2016a, 2016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skin, C.C., and J.M. Baskin. 2014. Seeds: ecology, biogeography, evolution of dormancy and germination. Academic Press, San Diego, USA. 

  2. Baskin, J.M., and C.C. Baskin. 2004. A classification system for seed dormancy. Seed Sci. Res. 14:1-16. 

  3. Borthwick, H.A., S.B. Hendricks, E.H. Toole, and V.K. Toole. 1954. Action of light on lettuce seed germination. Bot. Gaz. 115:205-225. 

  4. Carpita, N.C. and N.W. Nabors. 1976. Effects of 35oC heat treatments on photosensitive ‘Grand Rapid’ lettuce seed germination. Plant Physiol. 57:612-616. 

  5. Cho, G.Y., D.M. Son, J.M. Kim, B.S. Seo, S.Y. Yang, J.H. Bae, and B.G. Heo. 2008. Effect of LED as light quality on the germination, growth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roccoli sprouts. J. Bio-Environ. Con. 13:81-89. (in Korean) 

  6. Cho, J.S., J.H. Jeong, S.Y. Kim and C.H. Lee. 2014. Temperature, light and chemical treatment promoting seed germination of Meterostachys sikokiana (Makino) Nakai. J. Flower Res. 22:54-59. (in Korean) 

  7. Choi, H., S.Y. Lee, Y.H. Rhie, J.H. Lee, S.Y. Kim, and K.C. Lee. 2018. Seed dormancy type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in Tiarella polyphylla D. Don native to Korea. Korean J. Plant Res. 31:363-371. (in Korean) 

  8. Choi, H.J., S.H. Kim, H.T. Oh, M.J. Chung, C.B. Cui, and S.S Ham. 2008. Effects of Adenophora triphylla ethylacetate extract on mRNA levels of antioxidant enzymes in human HepG2 cells. Korean J. Soc. Food Sci. Nutr. 37:1238-1243. (in Korean) 

  9. Chung, M.J., S. Lee, Y.I. Park, and K.H. Kwon. 2016a. Antioxidative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extract and fractions from Adenophora triphylla. Korean J. Soc. Food Sci. Nutr. 45:1580-1588. (in Korean) 

  10. Chung, M.J., S. Lee, Y.I. Park, and K.H. Kwon. 2016b. Neuroprotective effects of phytosterols and flavonoids from Cirsium setidens and Aster scaber in human brain neuroblastoma SK-N-SH cells. Life Sci. 148:173-182. (in Korean) 

  11. Delaquis, P.J., P.L. Sholberg, and K. Stanich. 1999. Disinfection of mung bean seed with gaseous acetic acid. J. Food Prot. 62:953-957. 

  12. Edwards, T.I. 1934. Relations of germinating soybeans to temperature and length of incubation time. Plant Physiology 9:1-30. 

  13. Fett. W.F. 2002. Redu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spp. on laboratory inoculated mung bean seed by chlorine treatment. J. Food Protection 65:848-852. 

  14. Gitaitis, R. and R. Walcott. 2007. The epidemiology and management of seedborne bacterial diseases. Annu. Rev. Phytopathol. 45:371-397. 

  15. Gordon, A.G. 1971. The germination resistance test-A new test for measuring germination quality of cereals. J. Canadian Plant Sci. 51:181-183. 

  16. Gorovoi, P.G., G.I. Ponomarchuk, and L.I. Strigina. 1971. Chemotaxonomic study of Codonopsis (Family Campanulaceae) and its related genera. Bio. chem. System. Ecol. 23:809-812. 

  17. Ham, Y.A., H.J. Choi, M.J. Chung, and S.S. Ham. 2009a.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denophora triphylla. Korean J. Soc. Food Sci. Nutr. 38: 274-379. (in Korean) 

  18. Ham, Y.A., H.J. Choi, M.J. Chung, and S.S. Ham. 2009b. Antimutagenic and antitumor effects of Adenophora triphylla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Nutr. 38: 25-31. (in Korean) 

  19. Hopkins, W.G. 1999. Introduction to plant physiology. John Wiley & Sons, Inc., USA. 

  20. Hwang, H.J., and G.W. Choi. 2008. Improvement of in virto seed germination in chicory (Cichorium intybus L.) and garland chrysanthemum (Chrysanthemum coronarium L.). J. Bio-Environ. Con. 17:297-305. (in Korean) 

  21. Hwang, H.J., J.M. Lee, S.Y. Kim, and G.W. Choi. 2008. Seed germination in lettuce affected by light quality and plant growth regulators. J. Bio-Environ. Con. 17:51-59. (in Korean) 

  22. Ji, Y.U., B.C. Moon, A.Y. Lee, J.M. Chun, B.K. Choo, and H.K. Kim. 2010. Molecular phylogenetic position of Adenophora racemosa, an endemic species in Korea. Korean J. Med. Crop Sci. 18:379-388. (in Korean) 

  23. Ji, Y.U., B.C. Moon, A.Y. Lee, T.S. Yoon, H.K. Song, B.K. Choo, and H.K. Kim. 2009. A study on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of Adenophora racemosa population. Korean J. Environ. Res. Tech. 12:86-98. (in Korean) 

  24. Kendrick, R.E., and G.H.M. Kronenberg. 1994. Photomorphogensis in plants. Kluwer Academic, Dordrecht, The Netherlands. 

  25. Kim, I.D., and S.D. Kim. 2001. Changes in quality of soybean sprouts grown by ozone water treatment during storag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 8:279-384. (in Korean) 

  26. Kim, I.D., M.J. Park, J.W. Cho, S.S. Soe, M.K. Kim, J.B. Lee, S.K. Lee, and S.D. Kim. 2001. Effect of ozone treatment on the quality of soybean sprouts. Korean J. Food Preserv. 5:177-185. (in Korean) 

  27. Kim, J.H. 2007. The study on the nutrients and function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Hara. Master Thesis. Yeungnam Univ.. (in Korean) 

  28. Kwack, B.H., and H. Kang. 1985. Effects of specific light qualities on the seed germination of Amaranthus hypochondriacus. Korean J. Soc. Hort. Sci. 26:158-162. 

  29. Lee, J.Y., J.H. Lee, G.Y. Ki, S.T. Kim, and T.H. Han. 2011. Improvement of seed germination in Rosa rugosa. Korean J. Hortic. Sci. Technol. 29:352-357. (in Korean) 

  30. Martin, A. 1946. The comparative internal morphology of seeds. The Amer. Midl. Nat. 36:513-660. 

  31. Moon, J.S., H.M. Kim, D.C. Choi, Y.K. Hong, M.H. Sung, Y.J. Jang, B.R. Go, N.K. Oh, and Y.G. Choi. 2003. Disinfection of seed borne black leg disease (Phoma Wasabiae) in wasabi (Wasabia japonica Mutsum). J. Bio-Environ. Con. 12:180-183. (in Korean) 

  32. Nikolaeva, M.G. 1999. Pattern of seeds dormancy and germination as related to plant phylogeny and ecologic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of their habitats. J. Russ. Plant Physiol. 46:369-373. 

  33. Park, D.S. 2010. The edible wild vegetable containing biological active substances. euliiglobal. Korea. pp 231-234. 

  34. Park, E.J., J.H. Kwon, and Y.K. Lee. 2009. Germination rate and microbial safety during cultivation of disinfected seeds. Korean J. Food Preserv. 16:292-298. (in Korean) 

  35. Park, K.J., J.H. Lim, J.H. Kim, J.W. Jung, J.H. Jo, and S.W. Jung. 2007. Reduction of microbial load on radish (Raphanus sativus L.) seeds by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hot water treatments. Korean J. Food Preserv. 14:487-491. (in Korean) 

  36. Vandelook, F., N. Bolle, and J.A. V. Assche. 2007.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of the European Chaerophyllum temulum (Apiaceae), a member of a trans-atlantic genus. Ann. Bot. 100:233-1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