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부 평야지에서 조생종 벼의 이앙시기에 따른 수량 특성 변화와 작물학적 요인 분석

Yield Characteristics and Related Agronomic Traits Affected by the Transplanting Date in Early Maturing Varieties of Rice in the Central Plain Area of Korea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4 no.3, 2019년, pp.165 - 175  

양운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재배환경과) ,  박정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재배환경과) ,  최종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재배환경과) ,  강신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재배환경과) ,  김숙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획조정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부 평야지에서 온난화 현황을 반영하여 조생종 벼의 이앙시기에 따른 완전미 수량의 변화를 검토하고, 완전미 수량 향상과 관련된 작물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7~2018년 2년에 걸쳐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수원) 벼 재배시험 포장에서 6품종을 이용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완전미 무게는 품종에 따라 6월 14일~29일 이앙, 6품종 공통 6월 29일 이앙에서 통계적으로 가장 높았는데, 완전미 최고 무게를 나타낸 출수 후 40일간 등숙적온은 품종에 따라 $21.3{\sim}23.9^{\circ}C$, 6품종 평균 $21.8^{\circ}C$이었다. 2. 완전미 무게는 쌀 무게보다 완전립 비율과 더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3. 출수 후 40일간 등숙적온은 쌀 무게 기준에서 $23.5^{\circ}C$, 완전립 비율 기준에서 $20.5^{\circ}C$로, 쌀수량보다 품위 향상을 위한 등숙적온이 $3^{\circ}C$ 낮게 나타났다. 4. 완전미 무게 향상에 일정 부분 기여한 쌀 무게도 6품종 공통 6월 29일 이앙에서 가장 높았는데, 이에는 등숙비율과 $m^2$ 당 영화수의 증가가 기여하였다. 5. 오대 1품종을 이용하여 별도의 이앙시기 처리에서 검토하였을 때, 쌀수량이 가장 높았던 이앙시기에 $m^2$ 당 영화 수, 출수기 및 수확기 건물중, 수확지수가 통계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6. 결론적으로, 중부 평야지에서 조생종의 완전미 수량 향상을 위한 이앙적기는 품종에 따라 6월 14일~29일이었으며, 완전미 수량 향상의 작물학적 요인은 출수기 건물 중 증가에 따른 $m^2$ 당 영화수의 증대와 수확기 건물중 및 수확지수 증가에 따른 등숙비율의 향상, 그리고 완전립 비율 향상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sponse to elevated temperature, a shift in the rice planting period was proposed as a promising option in temperate regions. To understand the yield response of early maturing rice to different transplanting dates and to analyze the related agronomic traits in the central plain area, we perform...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조생종을 평야지에서 조기재배하는 경우 등숙기에 고온의 영향을 더욱 크게 받기 때문에 수량과 품질 저하의 우려가 크다. 본 연구는 중부 평야지에서 최근의 변화된 기상환경 조건에서 조생종 벼를 재배하는 경우 1) 이앙시기에 따른 완전 미 수량을 조사하여 이앙적기를 제시하고, 2) 이앙시기 변화에 따른 등숙기 기온과 수량 특성의 관계를 분석하며, 3) 수량 형성에 영향을 미친 작물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에 따른 쌀 수확량의 차이는? (2013)은 CERES-Rice4.0 모형을 이 용한 분석에서, 전라남도 광주 지역의 경우 2050년과 2100년에 쌀수량이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에 의해서는 각각 12.6% 와 22.0% 증가하는 반면, 온도 상승에 의해서는 각각 22.1% 와 35.0%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와 같이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에 의한 벼 수량 향상 효과보다 온도 상승에 의한 수량 감소 효과가 더 크다는 연구 결과는 외국에서도 보고되었다(Ainsworth, 2008; Baker et al.
기후 온난화가 우리나라 농업 영향에 미치는 영향이 큰 이유는? 기후 온난화는 농업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벼와 같은 노지재배 작물은 온난화의 영향을 고스란히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 영향이 더욱 크고 직접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벼는 주 작물이기 때문에, 온난화가 벼에 미치는 영향이 농업 분야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우리나라의 평균기온 변화 추이는 어떠한가? 우리나라는 1912년부터 2008년까지 평균기온이 1.7°C 상승하여, 전 지구 평균기온 상승률 0.74°C에 비해 2배 이상 온난화 속도가 빨랐다(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09). 기온 상승 속도는 최근으로 올수록 빨라져, 1981년부터 2010년까지 한반도 연 평균기온이 1.2°C 상승한 것으로 관측되었다(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12). 이러한 온난화 경향은 앞으로 인류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관계없이 2100년까지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온실가스 발생이 어느 정도 통제되는 RCP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insworth, E. A. 2008. Rice production in a changing climate: a meta-analysis of responses to elevated carbon dioxide and elevated ozone concentration. Global Change Biology 14 : 1642-1650. 

  2. Baker, J. T., K. J. Boote, and L. H. Allen. 1995. Potential climate change effects on rice: carbon dioxide and temperature. In Crosenzweig, wr., Climate Change and Agriculture: Analysis of potential international impacts.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Madison, WI, USA, pp. 31-47. 

  3. Chae, J.-C. and D.-K. Jun. 2002. Effect of harvest time on yield and quality of rice. Korean J. Crop Sci. 47(3) : 254-258. 

  4. Choi, K.-J., T.-S. Park, C.-K. Lee, J.-T. Kim, J.-H. Kim, K.-Y. Ha, W.-H. Yang, C.-K. Lee, K.-S. Kwak, H.-K. Park, J.-K. Nam, J.-I. Kim, G.-J. Han, Y.-S. Cho, Y.-H. Park, S.-W. Han, J.-R. Kim, S.-Y. Lee, H.-G. Choi, S.-H. Cho, H.-G. Park, D.-J. Ahn, W.-K. Joung, S.-I. Han, S.-Y. Kim, K. C. Jang, S.-H. Oh, W. D. Seo, J.-E. Ra, J. Y. Kim, and H.-W. Kang. 2011. Effect of temperature during grain filling stage on grain quality and taste of cooked rice in mid-late maturing rice varieties. Korean J. Crop Sci. 56(4) : 404-412. 

  5. Choi, W.-Y., S.-S. Kim, B.-I. Ku, M.-G. Choi, H.-K. Park, Y.-D. Kim, K.-S. Lee, and C.-K. Kim. 2008. Changes of rice yield and quality of "Unkwangbyeo" as affected by transplanting date in Honam plain area. Korean J. Intl. Agric. 20(3) : 231-234. 

  6. Cock, J. H. and S. Yoshida. 1972. Accumulation of $^{14}C-labelled$ carbohydrate before flowering and subsequent redistribution and respiration in the rice plants. Proc. Crop Sci. Soc. Japan. 41 : 226-234. 

  7. Han, J., C. Shim, and S. Kim. 2018. Variance analysis of RCP4.5 and 8.5 ensemble climate scenarios for surface temperature in South Korea. J. Climate Change Res. 9(1) : 103-115. 

  8. Horai, J., A. Ishii, T. Mae, and H. Shimono. 2013. Effects of early planting on growth and yield of rice cultivars under a cool climate. Field Crops Res. 144 : 11-18. 

  9. Kim, H.-Y., J. Ko, S. Kang, and J. Tenhunen. 2013.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paddy rice yield in a temperate climate. Global Change Biology 19 : 548-562. 

  10. Kim, K. C. 1983. Studies on the effect of temperature during the reduction division and the grain filling stage in rice plants. Korean J. Crop Sci. 28(1) : 58-75. 

  11. Kim, S.-S., J.-H. Lee, J.-K. Nam, W.-Y. Choi, N.-H. Baek, H.-K. Park, M.-G. Choi, C.-K. Kim, and K.-Y. Jung, 2005. Proper harvesting time for improving the rice quality in Honam plain area. Korean J. Crop Sci. 50(S) : 62-68. 

  12. Kim, Y.-D., S-.G. Kang, B.-I. Ku, W.-G. Sang, S.-R. Jo, H. -K. Park, W.-C. Shin, J.-C. Ko, W.-H. Yang, B.-K. Kim, J.-H. Lee, and S.-L. Kim. 2015. Optimal transplanting time for 'Sukwang' in the southwestern plain area of Korea. Korean J. Intl. Agric. 27(1) : 59-62. 

  13. Lee, A.-S., Y.-S. Cho, I.-J. Kim, J.-K. Ham, and J.-S. Jang. 2012. The quality and yield of early maturing rice varieties affected by cultural practices in Gangwon plain region. Korean J. Crop Sci. 57(3) : 233-237. 

  14. Lee, C.-K., K.-S. Kwak, J. H. Kim, J.-Y. Shon, and W.-H. Yang. 2011.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follow-up cropping season shift on growing period and temperature in different rice maturity types. Korean J. Crop Sci. 56(3) : 233-243. 

  15. Lee, J.-H., W.-Y. Choi, J.-K. Nam, S.-S. Kim, H.-K. Park, N.-H. Baek, and M.-G. Choi. 2005. Proper transplanting time for improving the rice quality in the southern alpine area. Korean J. Crop Sci. 50(S) : 51-55. 

  16.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09. Understanding climate change II. Climate change in Korea : Present and future. Seoul. p. 86. 

  17.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12. Climate change scenario report for the 5th IPCC report 2011. Seoul. p. 117. 

  1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5. Quality rice production technologies. Suwon. pp. 147-149. 

  19. Shim, K.-M., K.-A. Lee, K.-H. So, G.-Y. Kim, H.-C. Jeong, and D.-B. Lee. 2010. Assessing impacts of global warming on rice growth and production in Korea. Climate Change Res. 1(2) : 121-131. 

  20. Yang, W., H. S. Cho, M. Kim, K. Y. Seong, T. S. Park, M. C. Seo, and H. W. Kang. 2013. Re-examination of standard cultivation practices of rice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in Korea. J. Crop Sci. Biotech. 16(2) : 85-92. 

  21. Yang, W., K.-J. Choi, J. Shon, S. Kang, S.-H. Shin, K.-B. Shim, J. Kim, H. Jung, J. H. Jang, J.-S. Jung, C. Y. Lee, Y. T. Yun, S. J. Kwon, K. An, J.-H. Shin, and S. M. Bae. 2015. Effects of temperature and sunshine hours during grain filling stage on the quality-related traits of high quality rice varieties in Korea. Korean J. Crop Sci. 60(3) : 273-281. 

  22. Yang, W., K.-J. Choi, J. Shon, S. Kang, S.-H. Shin, K.-B. Shim, J. Kim, H. Jung, J. H. Jang, J.-S. Jung, C. Y. Lee, Y. T. Yun, S. J. Kwon, K. An, J.-H. Shin, and S. M. Bae. 2016.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 rice yield and its components in Korean high-quality rice varieties. J. Korean Soc. Int. Agric. 28(1) : 49-57. 

  23. Yang, W., M.-K. Kim, S. Kang, J.-H. Park, S. Kim, J.-S. Choi, C.-I. Yang, and N.-H. Back. 2017. Changes in flowering date and yielding characteristics affected by transplanting date in the early-maturing rice cultivar 'Joun' in the mid-northern inland of Korea. Korean J. Crop Sci. 62(4) : 304-310. 

  24. Yang, W., S. Kang, S. Kim, J.-S. Choi, J.-H. Park, and Y.-H. Yoon. 2018. Changes of heading date and yielding characteristics as affected by transplanting date in the mid-maturing rice cultivar 'Haiami' in central plain area of Korea. J. Korean Soc. Int. Agric. 30(1) : 51-57. 

  25. Yang, W., S. Peng, R. C. Laza, R. M. Visperas, and M. L. Dionisio-Sese. 2008. Yield gap analysis between dry and wet season rice crop grown under high-yielding management conditions. Agron. J. 100(5) : 1390-1395. 

  26. Yang, W.-H., K-.S. Kwak, K.-J. Choi, T.-S. Park, and J.-C. Shin. 2007. Climate change and rice in Korea. In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Cool Rice for a Warmer World",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and Huazhong Agricultural University, 26-30 March 2007, Wuhan, China. pp. 48-50. 

  27. Yoshida, S. 1981. Fundamentals of rice crop scienc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Philippines. p. 26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