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초등교사들의 통계적 추론 분석 : 질문 생성 단계를 중심으로
Statistical Reasoning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gaged in Statistical Problem Solving: Focused on Question Posing Stag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2 no.4, 2019년, pp.205 - 221  

이은정 (춘천교육대학교) ,  박민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중에 설문지 질문 생성 단계에서 나타나는 예비초등교사들의 통계적 추론을 조사하고 이것이 이후 단계들에서의 활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4개 조의 교육대학교 2학년 학생들 80명이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을 직접 실행하고 통계 보고서를 작성하였으며, 그 중 22개 조의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설문지 질문 생성 단계에서 예비교사들의 9가지 통계적 추론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그 중 질문 명확화 지향 추론과 변이 기반 추론은 기존 연구에서 보고되지 않았던 추론이었다. 또한, 설문지 질문 생성 단계에서의 통계적 추론이 이후 단계의 활동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료 분석 및 결론 단계에서 예비교사들이 보고서에 기술하였던 어려움 및 이슈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의 어려움이 설문지 질문 생성 과정에서의 모집단 관련 추론, 범주 수준 추론, 표준화 추론, 질문의 일관성 지향 추론, 질문 명확화 지향 추론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선행연구에서 질문 생성하기 단계에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는 점에 비추어보면, 본 연구 결과는 질문 생성 단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통계적 추론에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점과 질문 생성 단계에서 적절한 통계적 추론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교수 방안들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tistical reasoning when they posed survey questions as they engaged in statistical problem solving, and analyzing how their statistical reasoning affect the subsequent stages. 24 groups of sophomore students(80 students) from...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통계적 문제해결의 단계들은 독립적이고 선형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단계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며 진행되는 순환적인 과정이기 때문에 각 단계가 서로 다른 단계의 추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Pfannkuch & Wild, 2004). 이에 본 연구는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중에 통계 질문 생성을 포함하는 단계에서 나타나는 예비초등교사들의 통계적 추론을 조사하고 이것이 이후 단계들에서의 활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계적 추론은 무엇인가? 한편, 통계적 추론은 통계적인 정보를 이해하고 통계적인 아이디어를 가지고 추론하는 방식이다(Garfield & Chance, 2000). 즉, 통계적 추론은 자료와 가능성에 대한 아이디어를 토대로 통계 결과를 해석하고 추리할 수 있으며, 통계적 결론이 나온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delMas, 2002). 통계적 추론은 통계적 문제해결의 모든 단계들에서 나타날 수 있는데, 즉 통계 질문을 만들고 모집단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그 질문과 수집 방법이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생각해보도록 할 때 추론이 촉진되고 활성화될 수 있다(Newton, Dietiker & Horvath, 2011).
범주 수준 추론이 명확하지 않았던 구체적인 경우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범주 수준 추론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자료 분석에서 어려움을 겪는 예비교사들도 많이 있었다. 설문 질문 또는 보기를 너무 세분화 한 경우, 반대로 세분화하지 않은 경우, 보기에서 상위 수준과 하위 수준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은 경우 등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후 단계에서 예비교사들이 범주 수준 추론에 대해 반성하고, 다시 설문지를 계획할 수 있는 기회가 있으면 좋겠다고 언급한 점을 고려하면, 예비교사들이 스스로 개선할 수 있는 추론임을 알 수 있으며 통계적 문제해결 중 예비 조사 단계를 포함시키게 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예비교사 교육에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동안 학교수학에서 다뤄진 통계의 한계점은? 학교 교육을 통해 이러한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통계적 용어와 도구들이 어떤 의미인지를 알고 실제로 그것들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통계적 정보를 해석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기회들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그동안 학교수학에서 다루어진 통계는 평균이나 표준편차와 같은 통계치 계산이나 공식 위주의 이론적 지식에 치우쳐져 왔으며, 이러한 방식의 통계교육은 학생들에게 실제적인 통계적 사고 경험을 제공하지 못한다(우정호, 2017). 이에 많은 연구자들(예를 들어, Franklin, Kader, Mewbor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Go, S. M., Kim, M. S., Jung, J. K., & Cho, W. Y. (2017). Analysis of the problems in statistics units of middle school textbooks for the 3rd grade in terms of statistical literacy. School Mathematics, 19(4), 731-749. 

  2. Ko, E., & Park, M. (2017).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tistical literacy related to statistical problem solving. School Mathematics, 19(3), 443-459. 

  3. Bae, H. J., & Lee, D. H. (2016). An analysis on statistical unit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20(1), 55-69. 

  4. Song, S. E. (2019). The analysis of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capacity recognition and knowledge about statistical problem solving. Ewha Womans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5. Woo, J. H. (2017). The foundation of education in school mathematic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6. Arnold, P. (2013). Statistical investigative questions: An enquiry into posing and answering investigative questions from existing data. The University of Auckland, New Zealand, Doctoral thesis 

  7. Arnold, P. & Pfannkuch, M. (2019). Posing comparative statistical investigative questions. In G. Burrill & D. Ben-Zvi (Eds.), Topics and trends in current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ICME-13 Monographs (pp. 173-195). Switzerland: Springer. 

  8. delMas, R. (2002).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thinking: A commentary.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Online], 10(3), 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1080/10691898.2002.11910679 

  9. delMas, R. (2004). A Comparison of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reasoning. In D. Ben-Zvi & J. Garfield (Eds.), The challenge of developing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thinking (pp. 79-95).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0. English, L. & Watson, J. (2015). Statistical literacy in the elementary school: Opportunities for problem posing. In F. Singer, N. Ellerton, & J. Cai (Eds.), Mathematical problem posing: from research to effective practice (pp. 241-256). Dordrecht, The Netherlands: Springer. 

  11. Franklin, C., Kader, G., Mewborn, D., Moreno, J., Peck, R., Perry, M. & Scheaffer, R. (2007).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 (GAISE) report: A Pre-k-12 curriculum framework. Alexandria, VA: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12. Garfield, J. & Chance, B. (2000). Assessment in statistics education: Issues and challenge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2(1 and 2), 99-125. 

  13. Garfield, J. & Gal, I. (1999). Teaching and assessing statistical reasoning. In L. Stiff, & F. R. Curcio (Eds.), Developing mathematical reasoning in grades K-12 (pp. 207-219).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4. Lavigne, N. C. & Lajoie, S. P. (2007). Statistical reasoning of middle school children engaging in survey inquiry.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2(4), 630-666. 

  15. MacKay, R. J. & Oldford, R. W. (2000). Scientific method, statistical method and the speed of light. Statistical Science, 15(3), 254-278. 

  16. Makar, K., & Fielding-Wells, J. (2011). Teaching teachers to teach statistical investigations. In C. Batanero, G. Burrill, & C. Reading (Eds.), Teaching statistics in school mathematics-challenges for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pp. 9-13). New York: Springer. 

  17. Marriott, J.; Davies, N. & Gibson, L. (2009). Teaching, learning and assessing statistic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Online], 17(1), www.amstat.org/publications/jse/v17n1/marriott.html 

  18. Newton, J., Dietiker, L., & Horvath, A. (2011). Statistics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Statistical reasoning and the statistical process. In C. Batanero, G. Burrill, & C. Reading (Eds.), Teaching statistics in school mathematics-challenges for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pp. 9-13). New York: Springer. 

  19. Pfannkuch, M. (2008). Building sampling concepts for statistical inference: A case study. In Proceeding of the 11th International Congress on Mathematical Education. Monterrey, Mexico. 

  20. Pfanncuch, M. & Wild, C.(2004). Towards an understanding of statistical thinking. In D. Ben-Zvi & J. Garfield (Eds.), The challenge of developing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thinking (pp. 17-46).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1. Russell, S. J. (2006). What does it mean that "5 has a lot?" From the world to data and back. In G. Burrill & P. Elliot (Eds.), Thinking and reasoning with data and chance: sixty-eighth yearbook (pp. 17-29).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2. Watson, J. (2004). Developing reasoning about samples. In D. Ben-Zvi & J. Garfield (Eds.), The challenge of developing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thinking (pp. 277-294).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3. Watson, J. & English, L. (2017). Statistical problem posing, problem refining, and further reflection in grade 6. Canadian Journal of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Education, 17(4), 347-365. 

  24. Wild, C. J. & Pfannkuch, M. (1999). Statistical thinking in empirical enquiry.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67(3), 223-2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