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수기 공급수인 수돗물과 정수기 통과수의 수질차이 분석
Water quality analyses between tap water and treated water by point-of-use water dispenser systems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33 no.5, 2019년, pp.395 - 404  

박근영 (건국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지원 (세종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김재혁 (건국대학교 환경공학과) ,  나영 (고려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과) ,  맹승규 (세종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김성표 (고려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과) ,  권지향 (건국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int-of-use water dispenser systems are widely used because of convenience in handling and demand for high-quality drinking water. The application has been increased recently in the public places such as department stores, universities and the rest areas in express ways. Improvement of water q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미 사용중인 정수기의 통과수와 수돗물과의 수질을 분석하여, 정수기가 먹는물 수질에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 지 분석하고, 향후 위생관리 지표로 사용가능한 인자가 무엇인지 고려해 보고자 한다. 또한 역삼투압 정수기(RO정수기)와 그 외 NF, UF 혹은 알루미나 필터 정수기를 비RO정수기로 구분하여 정수기간의 수질 차이를 확인하여, 정수기 공정의 차이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T- 검정의 유의성을 확보하기 위해 12개 정수기를 선정하여 시료를 한 달에 한 번씩 네 달간 채취하여 수질 분석을 하였다.
  • 하지만, 정수기의 원수가 수돗물로서 이미 먹는 물 수질기준을 만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정수기의 위생관리지표로의 효용성에 대한 문제제기가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사용중인 정수기의 통과수와 수돗물과의 수질을 분석하여, 정수기가 먹는물 수질에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 지 분석하고, 향후 위생관리 지표로 사용가능한 인자가 무엇인지 고려해 보고자 한다. 또한 역삼투압 정수기(RO정수기)와 그 외 NF, UF 혹은 알루미나 필터 정수기를 비RO정수기로 구분하여 정수기간의 수질 차이를 확인하여, 정수기 공정의 차이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수기의 선호도가 증가하는 요소는? 정수기 시장 규모 또한 2009년 기준 1조4400억원에서 2015년 기준 2조141억원으로 6년 사이에 약 40% 증가 하였다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음용시의 간편 성과 고품질의 먹는물에 대한 요구, 수돗물 맛·냄새에 대한 불편함 등이 정수기를 선호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수돗물의 직접 음용률은 5% 남짓하며 다른 국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으며, 대신 정수기 및 생수 이용이 높은 편이다.
세디먼트 필터의 역할은 무엇인가?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침전필터, 2종의 활성탄 필터, 멤브레인 필터를 장착하여 총 4개의 필터를 이용한다. 일명 세디먼트 필터라고 불리는 침전필터는 비교적큰 크기의 입자를 거르고, 또한 미세한 입자를 여과하여 후단 필터로 유입되는 오염물의 부하를 저감시켜 후단 필터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주로 직경이 수 mm~10 mm 정도의 섬유들로 구성되어 있다 (Cho et al.
수돗물과 정수기통과수의 비교 결과는? 수돗물과 비RO여과수는 총세균수외에는 유의미한 수질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중이용시설에 주로 이용되는 비RO정수기의 효용성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고, 미생물이 증식하지 않는 조건을 유지하는 청소 등이 적절하게 수행되고 있는 지에 대한 관리가 위생 적으로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risu Quality Report. (2018). https://arisu.seoul.go.kr/c2/sub7.jsp. 

  2. Cho, J.I., Kim, G.T. and Ahn, Y.C. (2013).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ilters for domestic household water purifier, J. Korean Soc. Mar. Eng., 37(5), 541-547. 

  3. Fernando, K.A. and Chung, D.D.L. (2002). Pore structure and permeability of an alumina fiber filter membrane for hot gas filtration, J. Porous Mater., 9, 211-219. 

  4. Jeong, S.J. (2015).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shipboard portable water, Master's Thesis,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5. Jeong, Y.M., Jeong, S.H., Park, C.H., Lee, Y.H. and Lee, S.H. (2007). Effects of membrane surface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al conditions on fouling of reverse osmosis membrane by metal coagulants, J. Korean Soc. Water Wastewater, 25-29. 

  6. Kim, C.H., Cho, Y.U., Kim, H.C. and Lee, S.W. (1999). Microbiological water quality of tap and purified water, J. Chinju Natl. Univ., 38, 207-214. 

  7. Lee, T.G. (2004). The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in the tap and the water purifier, J. NERI, 9, 133-137. 

  8. MOE(Ministry of Environment). (2016). White paper of environment. 

  9. Park, J.W. (2016). Evaluating organic matter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stability in a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10. Seo, J.W., Kim, K.B. and Koo, J.Y. (2017). Development of a concentration prediction model for disinfection by-product according to introduce the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 in water supply network, J. Korean Soc. Water Wastewater, 31(5), 421-430. 

  11. Seo, L.J., Park, S.H. and Lee, G.H. (2009). Microbiological water quality of water purifiers at elementary schools in Gunsan area, Korean J. Microbiol., 45(1), 74-81. 

  12. Son, S.W., Jang, W.W., Yun, S.W., O, T.K., Kim, Y.J. and Lim, Y.K. (2010). Evaluation of microbial safety issue of a water purifier for home-use, Korean J. Vet. Public Health, 34(4), 325-330. 

  13. Wang, X., Wang, Y., Wang, J., Xu, S., Wang, Y. and Wang, S. (2010). Comparative study on stand-alone and parallel operating schemes of energy recovery device for SWRO system, Desalination, 254, 170-1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