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공예 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불안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rt and Craft Activities on Anxiety and Stress of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1, 2019년, pp.251 - 258  

김지훈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공예 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불안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에 포함되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수공예 활동을 중재한 실험군 9명,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중재한 대조군 9명으로 나누어 30분씩, 주 3회, 총 8주에 걸쳐 중재를 실시하였다. 수공예 활동은 작업치료 전문가 집단의 인터뷰를 통하여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불안, 스트레스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수공예 활동은 뇌졸중 환자의 불안과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되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rt and craft activities on anxiety and stress of stroke patients. Patients diagnosed with stroke were selected according to select the study target, 9 patients with experimental group receive art and craft activities, 9 patients with control group rec...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수공예 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불안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공예 활동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그 중요성을 강조하여 효과적인 치료적 전략으로 적용되리라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뇌졸중이란 뇌의 혈액 순환장애로서써[1], 유병률은 2.6%으로, 전체 사망자의 9.1%가 뇌졸중의 의해 사망하고 있다[2]. 또한 심각한 장애 와 함께 합병증으로 인하여 의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뇌졸중은 어떠한 장애들을 동반하는가? 이에 세계적으로 의료 기관들이 향후 지속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중요한 만성 질병 중 하나로써, 다양한 측면에서의 치료적 접근이 요구된다[3]. 뇌졸중은 손상된 뇌의 영역에 따라 편마비, 언어장애, 기억력 장애, 감각장애 등 운동 및 인지기능의 다양한 장애들과 함께 불안, 스트레스 등과 같은 심리적 장애들이 동반된다[4]. 이는 갑자기 찾아온 뇌졸중으로 인한 후유장애로 발병 이전의 독립적으로 행하던 일상생활 수행이 어려워지면서, 다양한 심리적 문제에 직면하기 때문이다[5].
심리적 장애가 뇌졸중과 동반되는 이유는? 뇌졸중은 손상된 뇌의 영역에 따라 편마비, 언어장애, 기억력 장애, 감각장애 등 운동 및 인지기능의 다양한 장애들과 함께 불안, 스트레스 등과 같은 심리적 장애들이 동반된다[4]. 이는 갑자기 찾아온 뇌졸중으로 인한 후유장애로 발병 이전의 독립적으로 행하던 일상생활 수행이 어려워지면서, 다양한 심리적 문제에 직면하기 때문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D .H Kim & K. H. Kim. (2018).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with mirror therapy on balance and gait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0), 109-120.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8.9.10.109 

  2. Y. R. Kim, Y. I. Kim, M. J. Kim. (2017). A Convergent study of the physical 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SF-8 of stroke patient's caregiver.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119-127.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7.8.12.119 

  3. M. D. Pate, C. McKevitt, E. Lawrence, A. G. Rudd & C. D. A. Wolfe. (2007). Clinical determinants of long-term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Age and Ageing, 36(3), 316-322. DOI: https://doi.org/10.1093/ageing/afm014 

  4. O. S. Kim & H. J. Kim. (2011).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stroke patients. Health & Nursing, 23(1), 1-12. 

  5. N. N. Hadidi, R. L. Wagne & R. Lindquist. (2017). Nonpharmacological treatments for post-stroke depression: An integrative review of the lilterature. Research in Gerontological Nursing. 10(4), 182-195. DOI: https://doi.org/10.3928/19404921-20170524-02 

  6. J. A. Kootker, L. Fasotti, S. M. Rasquin, C. M. van Heugten & A. Geurts. (2012). The effectiveness of an augmented cognitive behavioural intervention for post-stroke depression with or without anxiety(PSDA): the restore 4 Stroke-PSDA trial. BMC Neurology, 12(51), 1-8. DOI: https://doi.org/10.1186/1471-2377-12-51 

  7. J. H. Jung. (2012).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xiety, and hemiplegic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6(4), 317-340. 

  8. S. W. Park, K. E. Jang, H. S. Lee & D. S. Park.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ognitive function, anxiety, stress,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23(1), 1-8. 

  9. S. W. Moon, J. S. Seo, B. W. Nam & J. Y. Choi, (2014). Poststroke depression. The KonKuk Journal of Medical Science, 14, 45-52. 

  10. B. H. Cho, M. H. Ko & S. Y. Kim. (2003). A study on stroke patients ADL, depressi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6(1), 51-60. 

  11. Z. J. Lipowski. (1985). Psychosomatic medicine liaison psychiatry. Plenum Medical Book. 

  12. T. Y. Jang, B. R. Park & Y. A. Y. (2017).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eutic craft activity on improvement cognitive function and hand function in acute patients with stroke.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5), 355-36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5.355 

  13. S. Horqhaqen, S. Josephson & S. Alsaker. (2007). The use of craft activities as an occupational therapy treatment modality in norway during 1952-1960.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14(1), 42-56. DOI: https://doi.org/10.1002/oti.222 

  14. J. R. Hong, G. H. Yang, Y. A. Yang, S. K. Chae & H. S. Choi. (2005). Art and craft for occupational therapy. Seoul: Gyechook munhwasa. 

  15. E. B. Crepeau, E. S. Cohn & B. A. B. Schell (2003). Willard and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10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Press. 

  16. R. Kongkasuwan, K. Voraakhom, P. Pisolayabutra, P. Maneechal, J. Boonin & V. Kuptniratsaikul (2015). Creative art therapy to enhance 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30(10), 1016-1023. DOI: https://doi.org/10.1177/0269215515607072 

  17. S. H. Park, S. J. Park, J. I. Shin & Y. A. Yang. (2009). The effects of craft activities on cognitive function in person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3(1), 55-61. 

  18. B. H. Chong, J. J. Park & S. M. Chung. (2016). Effect of craft program of occupational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hand function in patients with dementia living a community.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Neurotherapy. 20(2), 47-52. 

  19. I. J. Kong. (2014). The effects of art and craft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day-care center elderly person. Korea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6(2), 45-51. 

  20. G. Linda (2015). Creative expression: effectiveness of a weekly craft group with women who have experienced trauma. Open Journal of Nursing. 5, 96-103. DOI: http://dx.doi.org/10.4236/ojn.2015.52011 

  21. E. C. Ciasca, R. C. Ferreira, C. L. A, Santana, O. V. Forlenza, G. D. Dos Santos, P. S. Brum & P. V. Nunes. (2018). Art therapy as ans adjust treatment for depression in elderly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vista Brasileira de Psiquiatrai. 40, 256-263. DOI: http://dx.doi.org/10.1590/1516-4446-2017-2250 

  22. M, Mullersdorf & A. B. Ivarsson (2012). Use of creative activities i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in sweden.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19(3), 127-134 DOI: https://doi.org/10.1002/oti.1327 

  23. J. H. Park & Y. C. Kwon.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 II.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3), 58-513. 

  24. J. W. Jung & W. S. Moon. (2012). Depression and anxiety in korean patients with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Korean Journal of Opthalmology. 53(6), 792-800. DOI: https://doi.org/10.3341/jkos.2012.53.6.792 

  25. W. K. Park. (1988).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in hemiplegic patients using neuman's stressors concepts factors. M.S. dissertation, Ewha Womams University. 

  26. J. H. Kim, H. K im & J. W. Park. (2017). The correlation between psychosocial factors and therapeutic flow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5), 253-262. DOI: https://doi.org/10.14400/JDC.2017.15.5.253 

  27. H. J. Lim, D. H. Lee & Y. A. Yang. (2016). Systemic review research that applies treatment of domestic crafts activities. Journal of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0(1), 1-6. 

  28. L. Uttley et al. (2015). Systematic review and economic modelling of the clinical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art therapy among people with non-psychotic mental health disorders.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19(18). DOI: http://dx.doi.org/10.3310/hta19180 

  29. S. Pollanen. (2009). Craft as context in therapeutic change. The Indian of Occupational Therapy. 41(2), 43+47. 

  30. F. Lyshak-Stelzer, P. Singer, S. J. Patricia & C. M. Chemtob. (2007). Art therapy for adolescent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 pilot study. Art Therapy, 24(4), 163-169. DOI: http://dx.doi.org/10.1080/07421656.2007.10129474 

  31. S. M. Walsh, S. C. Martin & Schmidt, L. A. (2004). Testing the efficacy of a creative-arts intervention with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6(3), 214-219. DOI: https://doi.org/10.1111/j.1547-5069.2004.04040.x 

  32. H. L. Stuckey & J. Nobel (2010). The connection between art, healing and public health: a review of current literatur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0, 254-263. DOI: https://doi.org/10.2105/AJPH.2008.15649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