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실 분획물에 의한 인체 대장암세포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Prunus mume Solvent Fractions on Human Colon Cancer Cell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9 no.11, 2019년, pp.1227 - 1234  

김정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조현동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원영선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허지안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김지영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김휘곤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한심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자원부) ,  문광덕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서권일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매실은 한국, 일본 및 중국 등지에서 섭취하여온 과실로서 유기산이 풍부하며, 다량의 무기질 및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매실을 이용하여 예로부터 절임이나 청 등으로 가공하여 섭취할 뿐만 아니라 구토, 해독 및 해열에 효능이 있는 한약재로서 사용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매실을 이용하여 분획물을 제조하고 각각의 인체 대장암세포에 대한 성장 억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colony 형성능, 형태학적 관찰, apoptotic body 형성, 단백질 변화 및 환경호르몬에 대한 방어 효과를 평가하였다. 매실 분획물의 인체 대장암세포 HT-29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는 매실 메탄올 분획물(maesil methanol fraction, MMF) 및 매실 부탄올 분획물(maesil, butanol fraction, MBF)이 가장 뛰어난 효능을 나타내었다. MMF 및 MBF의 처리에 따라 colony 형성능 또한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형태학적 변화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핵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125{\mu}g/ml$의 MMF 및 MBF 처리에 따라 apoptotic body의 형성 및 핵 응축을 관찰하였다. MMF 및 MBF의 처리에 따른 인체 대장암세포의 성장 억제효과가 apoptosis 와 관련이 있는지 단백질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pro-apoptotic 단백질은 Bax, caspase-3, PARP의 발현이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anti-apoptotic 단백질인 Bcl-2의 발현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환경호르몬의 일종은 bisphenol A (BPA)에 의해 성장이 증식된 HT-29세포는 MMF의 처리에 따라 유의적인 성장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매실 분획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화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unus mume, also known as maesil, is a popular fruit consumed in East Asia (Korea, Japan, and China). It contains high amounts of organic acids, minerals, and polyphenols and has been used as a medication for fever, vomiting, and detoxification. In this study, the anti-proliferative and apoptotic 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매실 에탄올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분획물의 fraction별 대장암세포의 성장억제에 미치는 영향과 이의 apoptosis 유도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매실 분획물을 이용한 기능성식품 소재화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매실 분획물의 처리에 따른 인체 대장암세포주 2종의 성장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RB assay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SRB assay는 trichloroacetic acid (TCA)에 의하여 고정된 세포의 단백질에 염색된 SRB의 양에 따른 흡광도 측정을 하며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하는 실험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3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실의 주요 성분은 무엇인가? 예로부터 매실을 이용하여 매실 장아찌 및 매실청 등의 형태로 섭취하여 왔으며 한의학적으로는 본초강목, 명의별록 등에 구충, 해독, 설사, 혈뇨 등을 치료하는 약재로도 사용되어 왔다[12]. 매실의 주요 성분으로는 구연산, 사과산 및 숙신산 등의 유기산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영양학적 품질이 뛰어난 과실이다[15, 23]. 매실의 생리활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로는 매실 착즙액의 항균 작용[21], 매실 추출물의 섭취에 따른 에너지 기질 및 피로물질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25], 매실 추출물을 함유한 음료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2], 매실 추출물의 활성산소종 소거효과 및 멜라닌 생성 억제 등이 보고된 바 있다[27].
최근 대장암(colorectal cancer; colon cancer)의 절제율은? 2019년 국내 발생률과 사망률이 전체 암 중 각각 3순위로 보고된 대장암(colorectal cancer; colon cancer)은 대장의 점막에서 생성되는 선암이 대부분이며 결장과 직장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이다[13, 14]. 근래에는 기술이 발전하여 근치적 절제율이 약 80%에 달하고 있으나 미세 전이병소가 후에 서서히 성장하여 뒤늦게 발견되면 치료가 어렵게 되기 때문에 암 전이의 억제 및 전이병소의 치료는 종양 관련 연구에 있어 궁극적인 목표로 여겨진다[30].
매실(Prunus mume Sieb. Et Zucc)은 무엇인가? 매실(Prunus mume Sieb. Et Zucc)은 장미과에 속하는 매화나무의 과실로서 주로 동아시아에서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21]. 예로부터 매실을 이용하여 매실 장아찌 및 매실청 등의 형태로 섭취하여 왔으며 한의학적으로는 본초강목, 명의별록 등에 구충, 해독, 설사, 혈뇨 등을 치료하는 약재로도 사용되어 왔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dersen, C., Adamsen, L., Moeller, T., Midtgaard, J., Quist, M., Tveteraas, A. and Rorth, M. 2006. The effect of a multidimensional exercise programme on symptoms and side-effects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The use of semi-structured diaries. Eur. J. Oncol. Nurs. 10, 247-262. 

  2. Bae, J. H., Kim, K. J., Kim, S. M., Lee, W. J. and Lee, S. J. 2000. Development of the functional beverage contatining the Prunus mume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32, 713-719. 

  3. Banerjee, A., Pathak, S., Subramanium, V. D., Dharanicasan, G., Murugesan, R. and Verama, R. S. 2017. Strategies for targeted drug delivery in treatment of colon cancer: current trends and future perspectives. Drug Discov. Today 22, 1224-1232. 

  4. Cho, H. D., Kim, J. H., Hong, S. M., Lee, J. H., Kim, D. H. and Seo, K. I. 2016. Sorghum extract enhances caspase-dependent apoptosis in primary prostate cancer cells and immune activity in macrophages. J. Life Sci. 26, 1431-1437. 

  5. Debatin, K. M. 2004. Apoptosis pathways in cancer and cancer therapy. Cancer Immunol. Immonuther. 53, 153-159. 

  6. Franken, N. A., Rodermond, H. M., Stap, J., Haveman, J. and van Bree, C. 2006. Clonogenic assay of cells in vitro. Nat. Protoc. 1, 2315-2319. 

  7. Gupta, S. 2001. Molecular steps of death receptor and mitochondrial pathways of apoptosis. Life Sci. 69, 2957-2964. 

  8. Han, W., Hu, W. and Lee, Y. M. 2011. Anti-cancer activity of human colon cancer (HT-29) cell line from different fraction of Zanthoxylum schnifolium fruits. Kor. J. Pharmacogn. 42, 282-287. 

  9. Hassan, M., Watari, H., AbuAlmaaty, A., Ohba, Y. and Sakuragi, N. 2014. Apoptosis and molecular targeting therapy in cancer. Biomed. Res. Int. 2014, 1-23. 

  10. Hengartner, M. O. 2000. The biochemistry of apoptosis. Nature 12, 770-776. 

  11. Hong, S. M., Cho, H. D., Kim, J. H., Lee, J. H., Song, W. S., Lee, S. T., Lee, M. K. and Seo, K. I. 2016.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acid extract of Gracilaria verrucosa on primary human prostate cancer cells. J. Life Sci. 26, 1130-1136. 

  12. Hwang, J. Y., Ham, J. W. and Nam, S. H. 2004.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aesil (Prunus mume). Kor. J. Food Sci. Technol. 36, 461-464. 

  13. Im, S. J., Kim, J. H. and Kim, M. Y. 2014. Endogenous nitric oxide strengthens doxorubicin-induced apoptosis in human colorectal cell lines. J. Life Sci. 24, 1137-1143. 

  14. Jung, K. M., Won, Y. J., Kong, H. J. and Lee, E. S. 2019. Prediction of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in Korea, 2019. Cancer Res. Treat. 51, 431-437. 

  15. Kang, M. Y., Jeong, Y. H. and Eun, J. B. 1999.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lesh and pomace of Japanese apricots (Prunus mume Sieb. et Zucc). Kor. J. Food Sci. Technol. 31, 1434-1439. 

  16. Kim, J. H., Cho, H. D., Won, Y. S., Park, W. L., Lee, K. W., Kim, H. J. and Seo, K. I. 2018. Physiological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ndensed Prunus mume juice prepared with pectinase. J. Life Sci. 28, 1369-1378. 

  17. Kim, J. H. and Kim, M. Y. 2015. Anticancer effect of citrus fruit prepared by gamma irradiation of budsticks. J. Life Sci. 25, 1051-1058. 

  18. Kim, J. Y., Jung, E. J., Won, Y. S., Lee, J. H., Shin, D. Y. and Seo, K. I. 2012. Cultivated Orostachys japonicus induces apoptosis in human colon cancer cells. Kor. J. Food Sci. Technol. 44, 317-323. 

  19. Kim, E. J., Lee, H. J., Jang, J. W., Kim, I. Y., Kim, D. H., Kim, H. A., Lee, S. M., Jang, H. W., Kim, S. Y., Jang, Y. M., Im, D. K. and Lee, S. H. 2010. Analytical determination of cyanide in maesil (Prunus mume)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42, 130-135. 

  20. Kwon, S. H., Kwon, S. J., Kim, J. Y., Park, K. W., Shim, K. H. and Seo, K. I. 2009. Protective effect of Corni fructus ethanol extracts against environmental hormones i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J. Kor. Soc. Food Sci. Nutr. 38, 663-666. 

  21. Lazebnik, Y. A., Kaufmann, S. H., Desnoyers, S., Poirier, G. G. and Earnshaw, W. C. 1994. Cleavage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by a proteinase with properties like ICE. Nature 22, 346-347. 

  22. Lee, H. A, Nam, E. S. and Park, S. I.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maesil (Prunus mume) juice against selected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 J. Food Nutr. 16, 29-34. 

  23. Mitani, T., Ota, K., Inaba, N., Kishida, K. and Koyama, H. A. 2018.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phenolic compounds of Prunus mume against enterobacteria. Biol. Pharm. Bull. 41, 208-212. 

  24. Mori, S. Sawada, T., Okada, T., Ohsawa, T., Adachi, M. and Keiichi, K. 2007. New anti-proliferative agent, MK615, from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induces striking autophagy in colon cancer cells in vitro. World J. Gastroenterol. 13, 6512-6517. 

  25. Park, C., Jin, C. Y., Kim, G. Y., Jeong, Y. K., Kim, W. J. and Choi, Y. H. 2011. Induction of apoptosis by ethanol extracts of Prunus mume in U937 human leukemia cells through activation of caspases. Oncol. Rep. 26, 987-993. 

  26. Park, H. J., Jin, S. J., Oh, Y. N., Kim, B. W. and Kwon, H. J. 2015. Induction of apoptosis by methanol extract of Endlicheria anomala in human lung and liver cancer cells. J. Life Sci. 25, 441-449. 

  27. Park, H. J., Kim, M. M. and Oh, Y. H. 2012. Effect of fruit extract of Prunus mume on the scavenging activity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melanin production in B16F1 cells. J. Life Sci. 22, 936-942. 

  28. Park, K. W., Choi, S. R., Yang, H. S., Cho, H. W., Kanf, K. S. and Seo, K. I. 2007.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decursin from Angelica gigas Nakai in the MCF-7 cells treated with environmental hormones. J. Kor. Soc. Food Sci. Nutr. 36, 825-831. 

  29. Poland, A. and Knutson, J. C. 1982. 2,3,7,8-tetrachlorodibenzo- $\rho$ -dioxin and related halogenated aromatic hydrocarbons: examination of the mechanism of toxicity. Ann. Rev. Pharmacol. Toxicol. 22, 517-554. 

  30. Shin, S. Y., Kim, Y. J., Song, K. S., Jing, K., Kim, N. Y., Jeong, S. Y., Park, J. H., Seo, K. S., Heo, J. Y., Kwon, H. J., Park, J. I., Park, S. K., Kweon, G. R., Yoon, W. H., Hwang, B. D. and Kim, K. 2010. Mechanism of anti-invasive action of docosahexaenoic acid in SW480 human colon cancer cell. J. Life Sci. 20, 561-571. 

  31. Tada, K., Kawahara, K., Matsushita, S., Hashiguchi, T., Maruyama, I. and Kanekura, T. 2012. MK615, a Prunus mume Steb. Et Zucc ('Ume') extract, attenuates the frowth of A375 melanoma cells by inhibiting the ERK1/2-Id-1 pathway. Phytother. Res. 26, 833-838. 

  32. Verma, A. K., Johnson, J. A., Gould, M. N. and Tanner, M. A. 1988. Inhibition of 7,12-dimethylbenz( $\alpha$ )anthracene- and N-nitrosomethylurea-induced rat mammary cancer by dietary flavonol quercetin. Cancer Res. 63, 3037-3042. 

  33. Vichai, V. and Kirtikara, K. 2006. Sulforhodamine B colorimetric assay for cytotoxicity screening. Nat. Protoc. 1, 1112-1116. 

  34. Yu, F. Watts, R. N., Zhang, X. D., Borrow, J. M. and Hersey, P. 2006. Involvement of BH3-only proapoptotic proteins in mitochondrial-dependent Phenoxodiol-induced apoptosis of human melanoma cells. Anticancer Drugs 17, 1151-11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