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웃음요법이 호스피스 입원환자의 기분상태, 통증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Moods, Pain, and Stress of Hospitalized Hospic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1, 2019년, pp.481 - 489  

전송자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이은숙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웃음요법이 호스피스 입원환자의 기분상태, 통증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J대학병원 입원환자 49명(실험군:26명, 대조군:23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기분상태, 통증, 스트레스는 VAS 측정도구로 입원 3일째와 8일째에 측정하였고, 실험군의 경우 입원 3일째부터 매일 20-30분씩, 5일간 웃음요법을 받았다. 자료 분석SPSS WIN 24.0를 이용하여 변수의 동질성 검증$x^2$-test, fisher's exact test를, 그리고 가설검정은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 test로 하였다. 그 결과 웃음요법을 제공받은 실험군의 기분상태(t=-12.88, p <.001), 통증(t=-6.38, p <.001), 스트레스(t=-6.03, p <.001)는 대조군에 비해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호스피스 입원환자의 기분상태, 그리고 통증과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웃음요법의 적극 활성화가 요청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laughter therapy on the moods, pain and stress of the patients in a hospice ward. Participants were divided as control (23 patients), and experimental group (26 patients). Laughter therapy was provided for 5 days, and 20-30 minutes per day. Data col...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웃음요법이 호스피스 입원환자의 기분상태, 통증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유사 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말기암 환자를 대상으로 웃음요법을 적용한 후 기분상태, 통증,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웃음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에서 기분상태는 3.
  • 본 연구자는 J대학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로 웃음 임상 치료사 1급 자격증과 웃음요법 최고 강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호스피스 병동에서 매달 웃음요법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유방 절제술 환자[19], 암환자 [20], 노인 환자[21], 부인암 환자[15], 화상환자[22]에게 제공된 웃음요법 프로그램을 토대로 하였다.
  • 그러나 현재까지 이들을 대상으로 웃음요법의 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웃음요법을 적용 후 기분상태, 통증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중재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제1 가설: 웃음요법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기분상태 점수가 낮을 것이다.
  • 제2 가설: 웃음요법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통증 점수가 낮을 것이다.
  • 제3 가설: 웃음요법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스트레스 점수가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기 암 환자가 겪는 고통들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말기 암 환자는 다양한 치료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병세가 악화되면서 통증과 다양한 불편증상과 관련한 신체적 고통뿐만 아니라 임박한 죽음으로 인한 불안, 우울, 절망으로 심리적 고통도 경험하고 있다. 또한 질병의 악화로 인한 장기간 투병 생활로 인해 총체적인 고통을 겪게 되는데[1] 수면 장애, 식욕 저하, 활동 제약 등으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부정적인 기분상태가 지속됨으로써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 악화 및 스트레스로 인해 삶의 질 수준이 심각하게 저하 된다[2,3].
The Linear Analogue Self-Assessment Scale란 무엇인가? Sutherland, Walker와 Till[16]이 개발한 The Linear Analogue Self-Assessment Scale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Profile of Mood States(POMS, 65문항, 5점 척도)를 문항 분석하여 추출한 불안, 피곤, 혼란, 우울, 분노, 활력의 6개 범주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기분상태가 부정적임을 의미한다. 원래 도구인 POMS에 비해 신뢰도와 타당도에 큰 차이가 없으면서 3-5분의 짧은 시간 내에 응답할 수 있기 때문에 임상 실무에서 대상자의 기분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매우 적합한 도구로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는 .
호스피스 환자와 보호자에게 제공되는 보완요법 프로그램들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이에 따라 호스피스 병동에서 근무하는 의료진들은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요법, 아로마요법, 원예요법, 발마사지, 미술요법, 웃음요법, 사별가족지지모임, 종교 활동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7,8]. 호스피스 환자와 보호자에게 제공되는 보완요법 프로그램은 부정적 에너지를 긍정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환자와 가족이 치료 과정 중에서 함께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해준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7). Hospice palliative care. Status and statistics. http://www.hospice.cancer.go.kr/hospice/ 

  2. National Cancer Center. (2017). Hospice palliative care project. http://www.ncc.re.kr/ 

  3. C. G. Kim. (2017). Hospice & Palliative Care Policy in Korea.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 8-17. DOI : 10.14475/kjhpc.2017.20.1.8 

  4. C. H. Kwon, M. S. Lee, K.H. Kang & K.H. Kim. (2013). A Convergence Study on the Necessity of General Hospital Workers Hospice Palliative Car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45-54. DOI : 10.15207/JKCS.2017.8.6.045 

  5. Korean hospice & Palliative Nurses Association. (2015). Hospice Palliative Nurses, Seoul : Hyunmoon 

  6. Y. J. Son & Y. R. Park. (2015). Perception on hospice, attitudes toward death and needs of hospice care between the patients with cancer and family. Korean J Rehabil Nurs, 8(1), 11-19. DOI : 10.7587/kjrehn.2015.11 

  7. H. R. Lee. (2013). Management of Non-pain Symptom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Based on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Guidelines. Korean J Hosp Palliat Care, 16(4), 205-215. 

  8. K. H. Jo, A. R. Park & J. J. Lee. (2015). Effects of Integrated Palliative Care Intervention on Quality of Life in Terminal Cancer Patients: A Meta-analysis. Korean J Hosp Palliat Care, 18(2), 136-147, DOI : 10.14475/kjhpc.2015.18.2.136 

  9. Y. H. Kwon, M. O. Song & C. N. Kim. (2011). Effects of Horticulture Therapy on Depression and Stress in Patient of Hospice Uni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12(10), 4394-4402. DOI : 10.5762/KAIS.2011.12.10.4394 

  10. S. H. Hwang, H. C. Jeong & J. W. Hwang. (2019). Effect of Laughter Therapy on Healthy Life: A Meta-analysis. Journal of of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9), 291-299. DOI : 10.15207/JKCS.2019.10.9.291 

  11. HelpGuide. (2018). Laughter is the Best Medicine. https://www.helpguide.org 

  12. M. P. Bennett & C. Lengacher. (2008). Humor and laughter may influence health: III. laughter and health outcomes.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5(1), 37-40. DOI : 10.1093/ecam/nem041 

  13. C. A. Burns. (1996). Comparative analtysis of humor versus relaxation training for the enhancement of immunocompetence. DAI-B, 57(8), 5319. 

  14. H. J. Han, Aris. Park, H. S. Kim, H. K. Moon & Y. H. Park. (2011). Effects of one - time laughter treatment on stress response in preoperative breast cancer patients. J Korean Oncol Nurs, 11(2), 93-100. DOI : 10.5388/jkon.2011.11.2.93 

  15. Y. J. Lee. (2016). The Effect of Laughter Therapy Program on Stres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Gynecological Cancer. Master's thesis. Cha National University, Gyeonggi-do.. 

  16. Sutherland, H. J., Walker, P., & Till, J. E. (1988). The development of a method for determini patients' emotional distress uesJ., 

  17. S. C. McMillan, M. Tittle, S. Hagan, J. Laughlin & R. E. Tabler. (2000). Knowledge and attitudes of nurses in veterans hospitals about pain management in patients with cancer. Oncol Nurs Forum, 27(9), 1415-1423. 

  18. M. E. Cline, J. Herman, E. R. Shaw & R. D. Morton. (1992). Standardization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Nursing Research, 41(6), 378-380. 

  19. J. H. Choi, G. H. Kim, S. J. Cha, H. J. Pyo & Y. Kim. (2010). The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mood, intoxication and stress in mastectomy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1) : 83-93. 

  20. L. S. Lee. (2009). The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and adverse effects of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 

  21. W. T. Jeong. (2016).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laughter therapy Program of the elderly and the elderly.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22. K. J. Kim. (2016).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stress, pruritus and sleep disorders in burn patients.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3. E. N. Do & S. K. Kim. (2018). Convergence Study of Laughter Therapy's Effects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in Korea: A Meta-Analysis.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6), 347-355. DOI : 10.15207/JKCS.2018.9.6.347 

  24. G. J. Kim, I. S. Lee, I. S. Shin & J. S. Gang. (2012).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laughter treatment. Korean Laughter Clinical Conference. 

  25. H, Y, Seo (2019), Meta-Analysis of Laughter Therapy's Effects by the Life Cycle,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Kyonggil. 

  26. D. H. Kim. (2011). The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self - esteem and stress of female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7. E. S. Yoo & Y. H. Choi. (2012).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patient's pain and state anxiety after mastectom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8(1), 47-52. 

  28. J. H. Hwang. (2017). Influences of Quality of Sleep and Mood State on Fatigue in Primary Brain Tumor.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29. C. C. Neuhoff & C. Schaefer. (2002). Effects of laughing, smiling, and howling on Mood. Psychology Report, 91, 1079-1080. 

  30. C. B. Jeong. (2010). The influence of laughter therapy on subjective happiness of adult.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31. L. D. Young et al. (2016). Development and Effects of Laughter therapy program in Geriatric successful aging and Stress in Elderly.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4), 199-208. DOI : 10.15207/JKCS.2016.7.4.1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