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 관리전략을 위한 혈당조절 관련 생활습관 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활용 코호트내 환자-대조군 연구
Lifestyle factors related to glucose control for diabetes management strategies: Nested case control design using KNHANES data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1, 2019년, pp.501 - 510  

김윤정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조은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당뇨병의 관리전략 수립을 위해 일상생활에서 조절가능한 혈당조절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개인이 조절하기 어려운 성별, 당뇨병 유병기간, 당뇨병 치료방법, 교육수준, 가구소득 등을 매칭한 코호트내 환자-대조군 디자인으로 분석을 하였다.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7)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983명의 당뇨병 환자를 분석한 결과, 289명(30%)만이 당화혈색소가 6.5% 미만으로 혈당이 조절되었다. 일상생활에서 조절이 가능한 당화혈색소 조절 요인 파악하기 위해 조건부 다변량 로짓스틱 회귀분석 시행한 결과, 매칭전 코호트에서는 당뇨병 유병기간, 당뇨병 치료 여부, 매칭 코호트에서는 체질량지수, 흡연, 안저검사가 당화혈색소 달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결과는 집중 관리가 필요한 대상선정(장기 유병기간, 약물치료 대상자) 및 생활습관(체질량지수, 흡연, 안저검사 등) 관리전략을 마련하는데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지역사회내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find health related lifestyle factors that influence glycemic control for diabetes mellitus (DM) management strategies. This study used nested case-control design with matching variables that were not controlled by individuals such as age, sex, insulin or oral hypoglycemic agent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조절하기 힘든 인구ㆍ 사회학적 특성 및 의료관련 특성을 매칭하였다. 매칭전ㆍ 후 생활습관 관련 요인들의 목표 당화혈색소 달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체질량지수와 안저검사는 매칭 전ㆍ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당화혈색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가구단위표본으로 조사하는 국민건강영양 조사 2016∼2017년 자료를 이용해 당뇨병환자에서 목표 당화혈색소 6.5% 미만을 달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환자 개개인 조절가능한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당뇨병과 목표 당화혈색소 달성에 미치는 개선이 가능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국민건강영양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코호트내 환자-대조군(Nested case control)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새롭게 공개된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6-2017) 자료를 활용하여 최신의 혈당조절정도를 파악하고, 목표 당화혈색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전체 당뇨병 환자를 대상자와 환자가 조절할 수 없는 요인을 코호트내 환자-대조군 연구설계로 매칭한 대상자에서 파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코호트내 환자-대조군 연구설계로 매칭 전ㆍ후 당화혈색소 조절요인을 파악하였다. 매칭 전 대상자에서는 당뇨병 유병기간, 당뇨병치료, 음주, 체질량 지수 및 안저검사 등이 당화혈색소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가장 최근에 공개된 2016∼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해 당화혈색소 조절여부를 기준으로 통제가 불가능한 요인들을 코호트내 환자-대조군 연구로 매칭을 사용해 일상의 생활습관 중 조절이 가능한 혈당조절 요인을 파악하여, 당뇨병 관리 전략 수립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생성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의 특징은 무엇인가? 당뇨병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만성 질환이다.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에서 제 2형 당뇨병 유병률은 제4기(2007∼2009년) 국민건강영 양조사 결과 9.
당뇨병 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무엇인가? 이처럼 유병률의 지속적인 증가와 매우 낮은 당뇨병 혈당조절 실태를 개선하기 위한 관리전략이 필요하다. 당뇨병 치료의 궁극적 목표는 지속적인 생활습관 개선 등 자가관리를 실천하여 혈당조절률을 높여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당뇨병성 합병증을 예방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것이다[4]. 이러한 목표를 위해 당뇨병 관리는 적절한 약물복용과 함께 식습관, 운동, 체중관리, 스트레스 등의 일상에서의 생활습관 조절이 필요하다[5-7].
당뇨병 발병시 관리해야할 요소들은 무엇인가? 당뇨병 치료의 궁극적 목표는 지속적인 생활습관 개선 등 자가관리를 실천하여 혈당조절률을 높여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당뇨병성 합병증을 예방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것이다[4]. 이러한 목표를 위해 당뇨병 관리는 적절한 약물복용과 함께 식습관, 운동, 체중관리, 스트레스 등의 일상에서의 생활습관 조절이 필요하다[5-7]. 많은 연구에서 식이, 신체활동, 혈당 모니터링, 투약, 검진, 금연, 발 관리 등의 필요성과 효과를 보고하고 있다[8-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D. J. Kim. (2011). The epidemiology of diabetes in Korea.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35(4), 303-308. 

  2. Y. J. Choi, H. C. Kim, H. M. Kim, S. W. Park, J. Kim & D. J. Kim. (2009). Prevalence and management of diabetes in Korean adult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1998-2005. Diabetes Care, 32(11), 2016-2020. 

  3. H. S. Kwon,W. H. Kim, D. Y. Lee & S. I. Park. (2015). Current Status and Need for a Korean Diabetes Prevention Study. PUBLIC HEALTH WEEKLY REPORT, KCDC, 8(32), 746-753. 

  4. M. M. Funnell & R. M. Anderson. (2004). Empowerment and self-management of diabetes. Clinical diabetes, 22(3), 123-127. 

  5. S. H. Kim et al. (2004). The effects of lifestyle modification on the metabolic parameters of type 2 diabetes.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8(5), 441-451. 

  6. M. S. Song et al. (2005). The long-term effect of a structured diabetes education program for uncontrolled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a 4-year follow-up.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9(2), 140-150. 

  7. C. J. Chiu & L. A. Wray. (2010). Factors predicting glycemic control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Preventing chronic disease, 7(1), A08-A08. 

  8. D. Tomky, M. Cypress, D. Dang, M. Maryniuk & M. Peyrot. (2008). AADE7 Self-care behaviors, AADE position statement. Diabetes Educator 34(3), 445-449. 

  9. C. A. Chrvala, D. Sherr & R. D. Lipman. (2016).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fo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n glycemic control.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99(6), 926-943. 

  10. C. Yuan, C. W. Lai, L. W. Chan, M. Chow, H. K. Law & M. Ying. (2014). The effect of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on body weight, glycemic control, and other metabolic marker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diabetes research, 2014. 

  11. E. Shreck, J. S. Gonzalez, H. W. Cohen & E. A. Walker. (2014). Risk perception and self-management in urban, diverse adults with type 2 diabetes: the improving diabetes outcomes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1(1), 88-98. 

  12. Y. Kim, J. E. Park, B. W. Lee, C. H. Jung & D. A. Park. (2018).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telemonitoring versus usual care for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Telemed Telecare, 1357633x18782599. DOI : 10.1177/1357633x18782599 

  13. J. Park, S. Lim, E. Yim, Y. Kim & W. Chung. (2016).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Glycemic Control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Health Policy Manag DE-2016-07-21KUID-0225HPM/2016.26.2.125, 26(2), 125-134. 

  14. D. Park & E. Jang. (2015). Convergence Factors Related to Glycemic Control in Workers with Diabetes Mellitus :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9-2013.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 95-103. DOI : 10.15207/JKCS.2015.6.6.095 

  15.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9). Treatment guideline for diabetes. 6th ed. Seoul, Seoul Medcus. 15-33. 

  1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 Guide to the utilization of the data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8). Appendex 3_Main results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7, 7th second year). MHW [Online].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6600 

  18. S. R. Benoit, R. Fleming, A. Philis-Tsimikas & M. Ji. (2005). Predictors of glycemic control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longitudinal study. BMC public health, 5(1), 36. 

  19. A. S. Shah et al. (2009). Influence of duration of diabetes, glycemic control, and traditiona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n early atherosclerotic vascular changes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94(10), 3740-3745. DOI : 10.1210/jc.2008-2039 

  20. M. Khattab, Y. S. Khader, A. Al-Khawaldeh & K. Ajlouni. (2010).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glycemic control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24(2), 84-89. 

  21. N. S. Ahmad, F. Islahudin & T. Paraidathathu. (2014). Factors associated with good glycemic control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diabetes investigation, 5(5), 563-569. DOI : 10.1111/jdi.12175 

  22. J. Y. Jeon et al. (2014). Current status of glycemic control of patients with diabetes in Korea: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iabetes Metab J, 38(3), 197-203. DOI : 10.4093/dmj.2014.38.3.197 

  23. E. Y. Pyo, M. H. Jung & Y. S. Kim. (2012). Factors Related to Blood Glucose Control in Patients with Diabet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9. 

  24. P. Home et al. (2014). Insulin therapy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Diabetes care, 37(6), 1499-1508. 

  25. A. Bagust & S. Beale. (2003). Deteriorating beta cell function in type 2 diabetes: a long­term model. QJM: An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ine 96(4), 281-288. DOI : 10.1093/qjmed/hcg040 

  26. J. Aikens & J. Piette. (2013). Longitudinal association between medication adherence and glycaemic control in type 2 diabetes. Diabetic medicine, 30(3), 338-344. 

  27. R. R. Rubin. (2005). Adherence to pharmacologic therap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18(5), 27-34. 

  28. K. S. Kim et al. (2009). Medication Adherence: Evaluation and Impact on Glycemic Control in Type 2 Diabetes Mellitus. J. Kor. Soc. Health -Syst. Pharm, 26(2), 148-153. 

  29. D. Min & E. Cho. (2018). Associations among health behaviors, body mass index,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A path analysis. Medicine, 97(22). 

  30. M. Norberg, J. W. Eriksson, B. Lindahl, C. Andersson, O. Rolandsson, H. Stenlund & L. Weinehall. (2006). A combination of HbA1c, fasting glucose and BMI is effective in screening for individuals at risk of future type 2 diabetes: OGTT is not needed.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60(3), 263-271. 

  31. C. Daousi, L. Casson, G. Gill, L. MacFarlane, J. Wilding & J. Pinkney. (2006). Prevalence of obesity in type 2 diabetes in secondary care: association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82(966), 280-284. 

  32. S. Nakanishi et al. (2019). Comparison of HbA1c levels and body mass index for prevention of diabetic kidney disease: A ret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using outpatient clinical data in Japanes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155, 107807. 

  33. S. G. Kim & D. S. Choi. (2008). The present state of diabetes mellitu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1(9), 791-798. 

  34. S. A. Cho. (2016).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Cataract Surgery Prognosis between Adult Diseases and Non-adult Diseas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1(3), 275-280. 

  35. A. P. Murchison et al. (2017). Non-adherence to eye care in people with diabetes. BMJ Open Diabetes Research and Care, 5(1), e000333. 

  36. H. J. Gye & S. J. Song. (2015). New modaliti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abetic retinopathy.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89(3), 271-276. 

  37. D. Kim, Y. S. Choy & E. C. Park. (2017). Association between secondhand smoke and glycemic control in adult diabetes patients. Preventive medicine, 94, 48-54. 

  38. D. Lycett et al. (2015).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cessation and glycaemic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THIN database cohort study. The lancet Diabetes & endocrinology, 3(6), 423-430. 

  39. T. Mackenzie, B. Brooks & G. O'Connor. (2006). Beverage intake, diabetes, and glucose control of adults in America. Annals of epidemiology, 16(9), 688-691. 

  40. A. T. Ahmed, A. J. Karter, E. M. Warton, J. U. Doan & C. M. Weisner.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glycemic control among patients with diabetes: the Kaiser Permanente Northern California Diabetes Registry.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3(3), 275-282. DOI : 10.1007/s11606-007-0502-z 

  41. D. Kerr, S. Penfold, S. Zouwail, P. Thomas & J. Begley. (2008). The influence of liberal alcohol consumption on glucose metabolism in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a pilot study. QJM: An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ine, 102(3), 169-174. DOI : 10.1093/qjmed/hcn163 

  42. P. A. Engler, S. E. Ramsey & R. J. Smith. (2013). Alcohol use of diabetes patients: the need for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cta diabetologica, 50(2), 93-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