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국 서북지역 하자크족과 타지크족 여성 민속복식과 종교복식의 유사성 연구
A Study on the Similarity between Religious Soo-Jeong Bae Costume and Kazakh and Tajik Minority Women's Costume in Northwestern China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23 no.5, 2019년, pp.48 - 66  

(Dept. of Fashion Design and Accessories, Jinling Institute of Technology) ,  배수정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investigate the similarities between religious costumes and Kazakh and Tajik minority women's costumes in the Chinese northwestern minority population that believes in both Islam and Shamanism.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investigating the forms, colors, and patte...

Keyword

표/그림 (4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중국의 소수민족 중 하자크족과 타지크족은 샤머니즘과 이슬람교를 동시에 신봉하여 일상생활에서 종교적 의존도가 높다 이 두 종족의 이러한 특징은 여성 복식에 잘 나타나고 있는데 종교적인 형태 색채 문양 등에서 관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서북지역 소수민족 여성 민속 복식과 종교복식의 유사성을 형태 색채 문양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서북지역 소수민족의 복식과 종교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중국뿐만 아니라 각국의 독특한 전통 복 ,식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는 국내 외 중국 소수민족 종교사 및 복식사 관련 서적과 ·학위논문 학술지 등의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사례연구는 여성 의복과 장신구인 쓰개 요대 신발을 각 점 30씩 총 240점 선정하여 종교복식과의 유사성을 분석하였다 240 .연구의 자료는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2016 3 2 2017 8 21중국민족박물관( ), ( ), 民族博物館 수도박물관 首都博物館 상하이박물관( ), 上海博物館 신장웨이우얼자치구박물관(新疆維吾爾族博物館)의 소수민족 복식을 연구자가 직접 촬영하여 자료로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객관성 확보를 위하여 의류 .학 전공 박사 인의 전문가 집단을 구성한 평가단의 객관적 5검증을 거쳐 총 점을 선별하였으며 이를 형태 색채 문 240 , , ,양으로 분류한 후 종교복식과의 유사성을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국 서북지역 소수민족에게 종교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서는 어떤 점들만이 부각되었는가? 현재까지 본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로는 중국 동북 서북 ·지역의 소수민족에 한정하여 그들의 의복과 장신구에 따른 민족 특성을 분석한 연구(Park, 1995a), 중국 윈난성 개 7소수민족 남녀 장신구의 특성을 분석한 연구(Cho, 2015),중국 신장자치구 무슬림계 소수민족의 여성 쓰개를 형태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착용동기를 고찰한 연구(Kang &Cho, 2015) 가 있다 또한 중국 귀주성 소수민족 복식의 유형과 장식적 특징을 분석한 연구(Boo, 2003; Kim &Hong, 1998), 중국 일부 서북지역의 소수민족 남녀의 의복, 두식 신발 귀걸이 목걸이 팔찌의 특성을 분석한 연구 (Han & Cho, 1997; Kwon, 1995)가 있다 이상의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소수민족 의복이나 장신구에 관련된 내용을 다루거나 소수민족별 혹은 지역별 복식의 특성을 비교 분석 ·하고 있지만 종교가 그들의 삶에 매우 중요한 중국 서북지역 소수민족을 대상으로 복식과 종교와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므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중국의 소수민족 중 하자크족과 타지크족의 특징은? 중국의 소수민족 중 하자크족과 타지크족은 샤머니즘과 이슬람교를 동시에 신봉하여 일상생활에서 종교적 의존도가 높다 이 두 종족의 이러한 특징은 여성 복식에 잘 나타나고 있는데 종교적인 형태 색채 문양 등에서 관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서북지역 소수민족 여성 민속 복식과 종교복식의 유사성을 형태 색채 문양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서북지역 소수민족의 복식과 종교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중국뿐만 아니라 각국의 독특한 전통 복 ,식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중국 서부지역의 지리적 특징은? 중국에서 하자크 족과 타지크 족이 생활하고 있는 서부지역은상업적 교통의 요충인 실크로드 가 지나가는 길목 (silk road)에 위치하여 서양문화의 빠른 유입과 더불어 이슬람교 라마 ,교 등의 외래 종교에 노출되기 쉬운 지리적 입지이다(Xu &Bae, 2017). 이러한 종교적 영향이 중국 서북지역 소수민족의 문화와 복식에 독특한 양식으로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6)

  1. Anawalt, P. (2009). World wide history of dress. Koyang: Yedam. 

  2. Boo, A. (2003). A study on traditional costume of the minorities in Guizhou province of China. Journal of Fashion Business, 7(4), 142-154. 

  3. Burqa. (2019, November 22). Wikipedia. Retrieved November 23, 2019, from https://en.wikipedia.org/wiki/Burqa 

  4. Chador. (2019, July 11). Wikipedia. Retrieved November 22, 2019,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C%B0%A8%EB%8F%84%EB%A5%B4 

  5. Chin, B. (2014).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adapting arabesque patte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6. Chinese northwestern. (2018, May 28) Retrieved September 6, 2017, from https://baike.baidu.com/item/中?西北地?/870975?fraladdin 

  7. Cho, H., & Kim, H. (1992). 중국 소수민족 복식의 고찰 (I) [A study of Chinese ethnic minority costume(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8, 81-96. 

  8. Cho, J. (1962). Korean religion and Background. Seoul: Parkwosa Press. 

  9. Cho, S. (2015). Characteristics of fashion accessories of minorities in Yunnan, Chin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0. Cong, Y. (2014). 北方民族薩滿服飾的原始崇拜觀念 [The Primitive Worship Concepts of Shaman Costumes of Northern Nationalities]. 東北史地, 4, 81-88. 

  11. Dai, P. (1994). A study on the Chinese national costume culture. Shanghai: Shanghai People's Publishing House. 

  12. Duan, M. (2004). Oriental gorgeous costumes. Bei Jing, China: The Ethnic Publishing House. 

  13. Fashion specialty dictionary. (2008). 패션전문자료사전 [Fashion Specialty Dictionary]. Seoul: Dictionary Research Publishing. 

  14. Han, S., & Cho, S. (1997). A study on the costumes of the minority peoples of west-north in China, Journal of Human Ecology, 1, 23-52. 

  15. Han, Y. (2001). The Islamic spread and development at the northwest areas in the two Songs period. Nationalities Research in Qinghai, 12(1), 59-63. 

  16. Hong, N. (1986). A Study of women's vei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7. Henry, N. (1972). Studies in Siberian Shamanism.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8. Hijab. (2019, June 4). Wikipedia. Retrieved November 22, 2019,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D%9E%88%EC%9E%A1 

  19. Hong, H. (2004). Primitive religions of ethnic minorities in China. Seoul: Dongmunseon Press. 

  20. Islam. (2011, November 23). Wikipedia.. Retrieved November 25, 2019, from https://en.wikipedia.org/wiki/Islam 

  21. Jeong, J. (2007). Research on the Chinese minority: China through the analysis of ethnic minorities. Paju: Korean Studies Information. 

  22. Jeong, J. (2008). Chinese minorities. Paju: Sallim Press. 

  23. Jeong, J.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costume and contemporary street fashion in Korea and Chin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4. Jeong, S. (2002). Islamic culture. Seoul: Changbi Publishers. 

  25. Jeong, U. (2011). Fashion speciality materials dictionary. Korea Dictionary Research Publishing. 

  26. Jin, D. (2009). A comparison between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costume patterns and creating textile design applied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patter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Daegu, Korea. 

  27. Kang, S., & Cho, W. (2015). A Study on women's headgear of Muslim ethnic minority in Xinjiang Uygu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5(4), 124-136. 

  28. Kazakh girl with folk costume. (2012, June 11). China CNR. Retrieved November 22, 2019, from http://xj.cnr.cn/jjxj/tpxw/20120611/t20120611_509875439.shtml 

  29. Kim, B. (1998). The Secret of Golden Crown. Seoul: Purunyuksa. 

  30. Kim, H. (2004). On the application of the Islamic patterns to the textile design.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6(1), 13-24. 

  31. Kim, H. J., Kim, H. Y., & Han, S. (2012). Muslim women's fashion based on the social and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Middle Eas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ience of Design, 25(2), 147-156. 

  32. Kim, I. (2002). The analysis of nationality headgear': emphasis area.gender.symbol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33. Kim, J. (2009). A study on the mission strategy through Islamic understand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lvin University, Yongin, Korea. 

  34. Kim, Y. (1971). Koran. Seoul: Oceanbooks. 

  35. Kim, Y., & Hong, J. (1998). A study on traditional costume of China's minorities(I).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3), 137-156. 

  36. Kwon, H. (1995). Ethnic minorities' costumes in and around Silk Roa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4, 103-120. 

  37. Lee, B. (2012). A study on the ethnic costumes of the minority nationalities of the Chinese Musli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38. Lee, J. (1986). A Study on Color Symbol in the religious Ve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9. Meng, Y. (2008). Kazakh National Multiculturalis. Beijing: Central University for Nationalities Press. 

  40. Michael, H. (1963). Studies in Siberian shamanism.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41. Minorities in Xinjiang Uygur. (2019). Baidu. Retrieved June 18, 2019 from https://baike.baidu.com/item/新疆民族/10710865?fraladdin. 

  42. Niqab. (2018, June 5). Wikipedia. Retrieved November 22, 2019,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B%8B%88%EC%BA%85 

  43. Nuo, B. (2015). The encyclopedia of Chines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eijing: China Federation of Literary and Art Circles Press. 

  44. Park, C. (1995a). A Study on the Chinese minority's costume(1).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6, 175-206. 

  45. Park, G. (1995b). A study on Siberian Shamanism and the Shaman's costum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46. Park, J. (2006). History of Chinese religion. Paju: Sallim. 

  47. Shamanism. (2019, November 19). Wikipedia. Retrieved November 23, 2019, from https://en.wikipedia.org/wiki/Shamanism 

  48. Sasaki, K. (1999). Understanding Shamanism. (Y. Kim, Trans.). Seoul: Pagijong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80). 

  49. Seo, M. (2013). A study on the ambivalence of the Muslim women's veil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50. Shaman. (2011). National folk museum special exhibition catalog. Seoul: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Press. 

  51. Shaman costume in manchu. (2019, May 30). Anthropology Museum in Guanxi. Retrieved November 22, 2019, from http://www.amgx.com/news-7000.html 

  52. Shi, H. (2015). Xinjiang minority tribes costume art. Xinjiang, China: Xinjiang Art Photo Press. 

  53. Shi, J. (2016). 絲綢之路上的少數民族 [The ethnic groups of Silk Road]. 歷史敎學, 6, 3-9. 

  54. Study on Islamic Color. (2009, December 26). Baidu. Retrieved November 27, 2018, from https://wenku.baidu.com/view/fcb6b96ca45177232f60a2a6.html 

  55. Tang, S. (2005). Complete works of Chinese embroidery costume 5. Tianjin, China: Tianjin Art Press. 

  56. Tabata, H., Kanamaru, Y., Shinmen, Y., Majjeuoka, M., Sui, W., & Daniels, C. (Eds). (2006). Introduction to Chinese Minoritity. (J. Won & Y. Lee,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Hyunhaksa. (Original work published 2001). 

  57. Tajik Women's Headdress. (2019, May 27). Photo pconline com China. Retrieved November 23, 2019, from http://dp.pconline.com.cn/dphoto/list_3459638.html 

  58. The nationalities introduced into China. (2011, November 11) Retrieved December 3, 2017, from http://www.minzu56.net/hz/ls/1626.html 

  59. The research Institute of Humanistic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00). Shamanistic culture in northeast Asia. Seoul, Korea: Somyung Press. 

  60. Tungus Shaman Costume. (2015, April 2). Retrieved November 23, 2019, from http://sucai.redocn.com/yishuwenhua _4084025.html 

  61. Um, S. (2017). The evenki view of the world represented in heraldic design. Humanistic Studies. 8(1), 247-279. 

  62. Wang, I., & Bae, H. (1988). The study on the types of a shaman costume in shamanism. Journal of Kyungsung University, 19(1), 300-309. 

  63. Wei, Y. (2013). A pictorial book of Chinese minority tribes costume. Beijing: China Textile & Apparel Press. 

  64. Weiss, W. (2007). Islam. (J, S, Im, Trans.). Seoul, Korea: Yekyong Publishing. 

  65. Women's Dress in Tajik. (2008, June 27). Xinhuanet. Retrieved November 23, 2019, from http://news.xinhuanet.com/audio/2008-06/27/content_8447978.htm 

  66. Women's Dress in Tajik. (2015, April 2). Retrieved November 23, 2019, from http://sucai.redocn.com/shenhuobaike_7842127.html 

  67. Xiao, D. (2015). The History and Culture of Natural Totem Shamanism. Changchun, China: Northern Women's and Children's Publishing House. 

  68. Xinjiang Uyghur Culture Exchange Association. (2006). Kazakh folk culture. Urumqi, China: Xinjiang art photography press. 

  69. Xu, R., & Bae, S. (2015). A formative beauty of Chinese foot-binding shoes and the meaning of Chinese costume history.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9(4), 57-74. 

  70. Xu, R., & Bae, S. (2016). An analysis on the form and decoration of Chinese minority women's waistband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0(3), 68-88. 

  71. Xu, R., & Bae, S. (2017). A religious influence on the minority women's headdress in the northwestern area, China. Proceedings of 2017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pp. 96-97). Seoul: Korea 

  72. Yu, F., & Zhang, X. (2016). 東北亞薩滿敎信仰文化符號及在薩滿剪紙敎學的應用 [The cultural symbols of Shamanism belief in Northeast Asia and the application in Shaman paper-cut]. 渤海大學學報, 6(1), 25-31. 

  73. Zhang, Z. (2013). 薩滿圖騰與北方少數民族服飾紋樣 [Shaman totem and the garment patterns of the northern minority nationality]. 藝術敎育, 10, 119-126. 

  74. Zhao, L. (2017). On manifestation of Shamanistic concept on numbers and colors. Journal of Inner Mongolia Normal University, 46(5), 48-49. 

  75. Zhao, Y. (2007). Cultural meanings of Kazakh colorful worlds. Journal of Yili Normal University, 4, 19-24. 

  76. Zuo, L. (2004). 略論新疆伊斯蘭敎建築裝飾藝術的色彩特征 [On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Islamic architectural decoration art in Xinjiang]. 石河子大學學報, 4(2), 51-5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