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자기록물의 장기보존을 위한 보존포맷 선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Preservation Format for Long-Term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20 no.1, 2020년, pp.69 - 87  

한희정 (전북대학교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오효정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양동민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문서 유형의 전자기록물 장기보존을 위해 국가기록원에서는 PDF/A-1을 보존포맷으로 선정하였고 문서보존포맷으로 명명하여 공공표준으로 제정하였다. 문서 중심의 하나의 보존포맷인 PDF/A-1를 선택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IT 발전과 업무 변화에 따라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거나 적용해야만 하는 다양한 전자파일 포맷들을 활용하는데 제약을 주고 있으며, 문서 이외에 다른 유형의 전자기록물(행정정보데이터세트, 시청각기록물, 웹기록물 등)에는 적용되기 어렵다. 그러므로 전자기록물의 보존포맷을 다양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전자기록물의 보존포맷을 다양화할 수 있는 보존포맷 선정체계를 제시한다. 또한, 보존포맷을 선정할 때, 모든 전자기록물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기준인 공통기준 및 평가방식, 그리고 전자기록물 유형별로 적용되는 고유기준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document-type electronic records,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has chosen PDF/A-1 as the preservation format named as the document file format, and established it as a public standard. The only option of selecting PDF/A-1 restricts the use of various electronic fi...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관 및 연구자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고 있는 보존포맷 기준에 대한 용어, 정의 및 내용들을 조사하고 정리하였다. 결과적으로 <표 3>에서처럼 7개의 대분류 수준의 선정기준 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기준항목을 채택하고 있는 기관들과 해당 항목들을 정의 및 설명하고 있는 다양한 출처들을 정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단일 보존포맷 전략의 한계를 파악하였고, 보존포맷 확장을 위해서는 단순히 몇 개의 보존포맷을 추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보존포맷 선정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보존포맷 및 선정기준 현황 조사를 기반으로 전자기록물의 보존포맷을 다양화할 수 있는 보존포맷 선정체계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보존포맷을 선정할 때, 모든 전자기록물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준인 공통 기준을 근거와 함께 도출하였고 평가방식까지 제안하였다.
  • 이에 본 논문은 전자기록물 유형별로 보존포맷을 다양화할 수 있는 선정체계를 제시하고, 모든 전자기록물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준인 공통기준 및 평가방식, 그리고 전자기록물 유형별로 적용될 수 있는 고유기준을 도출하는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처럼 선정기준에 관련하여, 공통기준은 정의, 근거, 평가방식까지 제안하고, 고유기준에 대해서는 전자기록물 유형 별로 고유기준을 도출하는 방법론까지만 제시하고자 한다.
  • 나머지 6개 기준들은 기록물 유형별로 보존해야 할 속성과 직접적으로 관련 없는 파일포맷 자체에 대해서 고려해야 할 항목이다. 파일포맷이 얼마나 체계적으로 만들어 졌는지, 얼마나 다양한 환경에서 확인이 가능한지, 얼마나 많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항목들은 전자기록물의 유형에 관계없이 모든 파일포맷에 공통 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공통기준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서술하는 장기보존포맷은 무엇인가? 문서보존포맷은 OAIS 참조모형의 내용정보(CI: Content Information)에 해당된다. 장기보존포맷은 OAIS 참조모형의 보존기술정보(PDI: Preservation Description Information)에 해당하는 맥락(Context) 정보를 문서보존포맷과 함께 패키징하는 것으로, 국가기록원에서는 2008 년에 제정하고 2013년과 2017년에 개정한 NEO version 2.1를 공공표준으로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보존포맷 선정 방안 중 보존포맷 선정체계 그리고 공통기준을 주 연구범위로 설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보존포맷 선정 방안의 세 가지 내용 중에서 보존포맷 선정체계 그리고 공통기준을 본 연구의 주요 연구범위로 설정하였다. 이는 고유기준 수립을 위해 전자기록물 유형별로 보존해야 할 특성을 심도있게 조사 및 분석하고, 그 특성을 반영하는 기준과 이를 기반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도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그림 1>처럼 선정기준에 관련하여, 공통기준은 정의, 근거, 평가방식까지 제안하고, 고유기준에 대해서는 전자기록물 유형 별로 고유기준을 도출하는 방법론까지만 제시하고자 한다.
영구기록물관리기관들이 동일한 보존포맷을 표준으로 활용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가? 전자기록물의 안전한 장기보존을 위한 대책을 수립⋅시행하는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은 관련 공공기관들의 현황 및 특성을 고려하여 정책과 전략을 세워야 한다. 그런데 영구기록물관리기관들이 모두 동일한 보존포맷들을 공공표준으로 활용하면 몇몇 공공기관들의 현황과 특성을 반영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며, 해당 공공기관의 기록물들을 장기보 존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래서 보존포맷을 유연하게 확대하고, 전자기록물 유형별로 다양한 보존포맷을 사용할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04). Electronic Record Permanent Preservation Based Technology Service.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2.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3). A study on the reproduction technology and the prototype for the electronic records of administrative agency.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3.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08). A study on the reproduction technology and the prototype for the electronic records of administrative agency.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4.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09). DFR Prototype Developement for Digital Formats and Applications.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5.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8). Global Trend in Digital Archiving Strategy.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6. Kang, HyenMin (2016).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JPEG Format as a Long-Term Preservation Master File for Paper Archives in the Central Archives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4), 489-510.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489 

  7. Park, Junyoung & Lee, Myounggyu (2019).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Raw Image File Formats for the Management of Digital Photographic Recor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9(3), 155-178.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3.155 

  8. Seong, Hwan Hyuk (2007). A study on document preservation format classified by the type for long-term preservation and use of electronic records. Master's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9. So, Jeong Eui, Han, Hui Jeong, & Yang, Dong Min (2018). A Comparative Analysis of Long-Term Preservation Policies in Foreign Electronic Recor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8(4), 125-148. http://doi.org/10.14404/JKSARM.2018.18.4.125 

  10. So, Jeong Eu (2019). A Study on Derivation Critical Factor for Selection of Dataset Preservation Format: Focus on Dataset of Relational Database. Master's Thesis, Jeonbuk National University of Graduate School. Jeonju. 

  11. Sohn, Won-Sung, Lim, Sun-Bum, Nam, Dong-Sun, & Kim, Eun-Mi (2009). A study on the Digital Format Registry for digital objects preserv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12(10), 1397-1406. 

  12. Song, Chi-Ho & Cha, Hyun-Chul (2017). A Study on the risk evaluation of electronic records for long-term preserv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Winter Conference, 25(1), 29-30. 

  13. Oh, Seh-La, Jung, Mi Ri, & Yim, Jin Hee (2016). Redesigning Electronic Records Preservation Formats Based on Open Forma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6(4), 79-120.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4.079 

  14. Lim, Nayoung & Nam, Youngjoon (2019). A Study on the Criteria for Digitization of Record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0(3), 5-3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9.30.3.005 

  15. Jung, Mi Ri, Oh, Seh-La, & Yim, Jin Hee (2016). Effects of Adopting the Open Document Format in Public Records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6(2), 29-55.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2.029 

  16. Cha, Hyun-Chul & Choi, Joo Ho (2019). A Risk Assessment Method for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22(1), 79-87. https://doi.org/10.9717/kmms.2019.22.1.079 

  17. Abrams, Stephen et al. (2005). PDF-A: The Development of a Digital Preservation Standard. Paper presented at the 69th Annual Meeting for the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New Orleans, Louisiana, August, 14-21. 

  18. Barnes, Ian (2006). Preservation of Word Processing Documents. Australian Partnership for sustainable repositories. 

  19. CENDI (2007). Formats for Digital Preservation: A Review of Alternatives and Issues. 

  20. Clausen, Lars R. (2004). Handling File Formats. Statsbiblioteket. 

  21. ECMA (2008). Office Open XML File Formats-Part 1. 2nd Edition. 

  22. Folkj, Mike & Barkstrom, Bruce (2003). Attributes of File Formats for Long-Term Preservation of Scientific and Engineering Data in Digital Libraries. Paper presented at the Joint Conference on Digital Libraries, Houston, TX, May 27-31. 

  23. Knight, Gareth (2008). Framework for the definition of significant properties. The National Archives. 

  24. Hamm, Markus & Becker, Christoph. (2011). Report on decision foctors and their influence on planning. Scalable Preservation Environment. 

  25. Hodge, Gail & Anderson, Nikkia (2007). Formats for Digital Preservation: A Review of Alternatives and Issues. Information Services & Use, 27, 45-63. 

  26. InterPARES2 (2006). General Study 11 Final Report: Selecting Digital File Formats for Long-Term Preservation, InterPARES 2 Project. 

  27. Johnson, Amy Helen (1999). XML Etends its Reach: XML Finds Favor in Many IT Shops, but It's Still Not Right for Everyone. Computer World, 33(42), 76-81. 

  28. Lesk, Michael E. (1995). Preserving Digital Objects: Recurrent Needs and Challenges. Paper presented at the 2nd NPO Conference on Multimedia Preservation, Brisbane, Australia. 

  29. Moreq2010 (2011). Modular Requirements for Records Systems. Core services & plug-in modules (version 1.1). Volume 1. Europe: DLM Forum 

  30. Muller, Eva et al. (2003). Using XML for Long-Term Preservation: Experiences from the DiVA Project. Paper presented at the Six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Electronic Theses and Dissertations, Berlin, May, 109-116. 

  31. Park, Eun G. & Oh, Sam (2012). Examining Attributes of Open Standard File Formats for Long-term Preservation and Open Access.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31(4), 46-67. 

  32. Puglia, Steven, Reed, Jeffrey & Rhodes, Erin (2004). Technical Guidelines for Digitizing Archival Materials for Electronic Access: Creation of Production Master Files-Raster Images.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33. Rog, Judith, & van Wijk, Caroline (2008). Evaluating File Formats for Long-term Preservation. National Library of the Netherlands. 

  34. Sullivan, Susan J. (2006). An Archival/Records Management Perspective on PDF/A. Records Management Journal, 16(1), 51-56. 

  35. Todd, Malcolm (2009). File formats for preservation. DPC Technology Watch Series Report, 09-02. 

  36. van Wijk, Caroline & Rog, Judith (2007). Evaluating File Formats for Long-Term Preservation. Paper presented a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gital Preservation, Beijing, China, Oct 11-12, 2007. 

  37. Arms, Caroline R. & Fleischhauer, Carl (2006). Sustainability of Digital Formats: Planning for Library of Congress Collections. Retrieved January 10, 2020, from https://www.loc.gov/preservation/digital/formats/index.shtml 

  38. Frey, Franziska (2005). 5. File Formats for Digital Masters., Guides to Quality in Visual Resource Imaging, Research Libraries Group and Digital Library Federation. Retrieved January 10, 2020, from https://pdfs.semanticscholar.org/d63d/d3c6515fafb5fdf4925a26cac2e799436a0d.pdf 

  39. LAC (2010). File Format Guidelines for Preservation and Long-term Access(v1.0). Retrieved January 10, 2020, from https://www.bac-lac.gc.ca/eng/services/government-information-resources/guidelines/Pages/guidelines-file-formats-transferring-information-resources-enduring-value.aspx 

  40. LAC (2015). Guidelines on File Formats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Resources of Enduring Value. Retrieved January 10, 2020, from https://www.bac-lac.gc.ca/eng/services/government-information-resources/guidelines/Pages/guidelines-file-formats-transferring-information-resources-enduring-value.aspx 

  41. LAC (2017). Strategy for a Digital Preservation Program. Retrieved January 10, 2020, from https://www.bac-lac.gc.ca/eng/about-us/publications/Pages/strategy-digital-preservation-program.aspx 

  42. NAA (2020a). Digital Preservation Policy. Retrieved January 10, 2020, from https://www.naa.gov.au/about-us/our-organisation/accountability-and-reporting/archival-policy-and-planning/digital-preservation-policy 

  43. NAA (2020b). Long-term File Formats. Retrieved January 10, 2020, from https://www.naa.gov.au/information-management/storing-and-preserving-information/preserving-information/preserving-digital-information/long-term-file-formats 

  44. NARA (2014). Appendix A: Tables of Formats. Retrieved January 10, 2020, from https://www.archives.gov/records-mgmt/policy/transfer-guidance-tables.html 

  45. NARA (2019).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Selecting Sustainable Formats for Electronic Records. Retrieved January 10, 2020, from https://www.archives.gov/records-mgmt/initiatives/sustainable-faq.html 

  46. SFA (2015). Federal Archives Strategy 2016 - 2020. Retrieved January 10, 2020, from https://www.bar.admin.ch/bar/en/home/about-us/the-federal-archives/strategy.html 

  47. SFA (2018). STANDARDS FOR ARCHIVING DIGITAL DOCUMENTS-Archivable File Formats. Retrieved January 10, 2020, from https://www.bar.admin.ch/bar/de/home/archivierung/ablieferung/digitale-unterlagen.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