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성천 퇴적물 입도와 노란잔산잠자리(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 약충 개체수와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diment Particle Size and Number of Macromia daimoji (Endangered Species II) Nymphs in Naeseong Stream, Korea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9 no.4, 2020년, pp.325 - 331  

박진영 (국립생태원) ,  권혁영 (안동대학교) ,  장명성 (안동대학교) ,  차진열 (국립생태원) ,  이종은 (안동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란잔산잠자리(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 약충은 내성천 일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9년 3월 서식이 확인된 37개 지점의 하상 0.2㎡ 면적에서 채취한 퇴적물 입도 분석 및 개체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입도 분석 결과 '조립사'(500 ~ 1,000 ㎛) 52.5%, '극조립사'(1,000 ~ 2,000 ㎛) 25.6%, '중립사' (250 ~ 500 ㎛) 17.2%, '세립사'(125 ~ 250 ㎛) 3.1%, '극세립사'(63 ~ 125 ㎛) 1.0%, '실트'(63 ㎛미만) 0.7% 순으로 나타났다. 노란잔산잠자리 약충의 개체수는 '극세립사'(63 ~ 125 ㎛), '세립사'(125 ~ 250 ㎛)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조립사'(500 ~ 1.000 ㎛)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노란잔산잠자리 약충이 고운 모래를 서식처로 활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후 내성천 일대 하상 환경변화 모니터링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cromia daimoji nymphs (Endangered Species II) are known to inhabit the Naeseong Stream in Korea. In March 2019, we performed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diment particle size and the M. daimoji popul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a 0.2-㎡ area at 37 sites in Naeseong riverbed. Particle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처음으로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노 란잔산잠자리 약충 서식처의 퇴적물 입도와의 개체수의 상관 관계를 확인을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sahina, S., 1964. Contributions to the knowledge of the dragonflies of the genus Macromia in the northeastern Asia Jap. Jour. Zoology 14, 109-117. 

  2. Folk, R.L., Ward, W.C., 1957.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size parameters. J. Sediment. Petrol. 27, 3-26. 

  3. Friedman, G.M., Sanders, J.E., 1978. Principles of sedimentology. Wiley, New York. p. 792. 

  4. Jeong, K.S., 2007. Ecological illustration of dragonfly in Korea. Ilgongyugsa. Korea. p. 512. 

  5. Jeong, K.S., 2012. The dragonflies and damselflies of Korea. Nature and Ecology, Seoul. p.91. 

  6. Jeong, K.S., 2016. An illustrated dragonfly book in Korea. Boli, Korea. p.279. 

  7. Kong, D.S., 1988. A Taxonomic Study on the Korean Dragonfly (Odonata) Larvae.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p. 195. 

  8.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08.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http://library.me.go.kr). 

  9.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6. 4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http://library.me.go.kr). 

  10.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2019.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vol. 3: Insects (Hexapoda). Designzip, Seoul, Korea. 

  11. Udden, J.A., 1914. Mechanical Composition of Clastic Sediments. Geol. Soc. Am. Bull. 25, 655-744. 

  12. Wentworth, C.K., 1922. A scale of grade and class terms for clastic sediments. J. Geol. 30, 377-3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