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외선 차단제품에서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Effect of Blue Light Blocking in Sunscreen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6 no.4, 2020년, pp.383 - 390  

박수진 (아주대학교 응용생명공학과) ,  곽병문 (세명대학교 한의과) ,  이미기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  빈범호 (아주대학교 응용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블루라이트는 380 ~ 450 nm 사이의 파장에 존재하는 파란색 계열의 빛으로 활성산소를 유발하여 노화를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이에 따라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차단제품에서 오일의 극성도, 제형의 점도, 유화제의 종류, 유화입자, 무기자외선 차단제 등이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오일의 극성도가 유기자외선차단제의 극성과 유사해질수록 블루라이트 차단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제형의 점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블루라이트 차단율을 나타냈다. 유화제의 종류 및 유화 입자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였고, 무기자외선 차단제 함유 여부가 블루라이트 차단율에 큰 영향을 주는 인자 중 하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블루라이트 차단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앞으로 블루라이트 차단 제품 개발 및 제형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lue light is a blue-based light existing at a wavelength between 380 and 450 nm,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it induces active oxygen and causes aging, and accordingly, interest in the blue light blocking effect is increasing.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polarity of oil, viscosity of the fo...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블루라이트 차단 제품 개발 시 블루라이트 차단 효율을 높이는데 있어서 제품의 구성 성분 및 물성 등이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7-11]. 아직까지 블루라이트 차단에 대한 제형 및 연구는 초기 단계이므로 이번 실험에서는 오일의 극성도, 제형의 점도, 유화제의 종류, 유화입자, 무기자외선 차단제 등 여러 인자들을 포함시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Y. Kuse, K. Ogawa, K. Tsuruma, M. Shimazawa, and H. Hara, Damage of photoreceptor-derived cells in culture induced by light emitting diode-derived blue light, Sci. Rep, 4, 5223 (2014). 

  2. J. R. Sparrow, K. Nakanishi, and C. A. Parish, The lipofuscin fluorophore A2E mediates blue light-induced damage to retinal pigmented epithelial cells, Invest. Ophth. Vis. Sci., 41(7), 1981 (2000). 

  3. J. B. Lee, S. H. Kim, S. C. Lee, H. G. Kim, H. G. Ahn, Z. Li, and K. C. Yoon, Blue light-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protec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various medicinal plant mixtures. Invest. Ophth. Vis. Sci., 55(7), 4119 (2014). 

  4. J. H. Park, S. U. Chung, S. E. Lee, S. Y. Choi, K. K. Moon, S. R. Lim, and H. K. Kim, The b locking effect of sunscreen materials on blue light, J. Soc. Cosmet. Sci. Korea, 44(2), 183 (2018). 

  5. B. L. Dittey and P. M. Farr, Sunscreen protection against UVB, UVA and blue light: an in vivo and in vitro comparison, Brit. J. Dermatol., 124, 258 (1991). 

  6. S. Hettwer, E. B. Gyenge, and B. Obermayer, Blue light protecting cosmetic active ingredients: a case report, J Dermat Cosmetol, 1(4), 23 (2017). 

  7. D. Moyal, V. Alard, C. Bertin, F. Boyer, M. W. Brown, L. Kolbe, P. Matts, and M. Pissavini, The revised COLIPA in vitro UVA method, Int. J. Cosmet. Sci., 35(1), (2012). 

  8. J. Y. Yeon, J. M. Seo, J. T. Bae, C. H. Lee, S. G. Lee, H. B. Pyo, and J. T. Hong, A study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n protection factor(SPF) and protection factor of UV-A(PA) in sunscreen,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31(3), 422 (2014). 

  9. B. L. Diffey, P. R. Tanner, P. J. Matts, and J. F. Nash, In vitro assessment of the broad-spectrum ultraviolet protection of sunscreen products, J. AM. ACAD. Dermatol.., 43(6), 1024 (2000). 

  10. L. Ferrero, M. Pissavini, A. Dehais, S. Marguerie, and L. Zastrow, Importance of substrate roughness for in vitro sun protection assessment, IFSCC, 9(2), 2 (2006). 

  11. L. Fageon, D. Moyal, J. Coutet, and D. Candau, Importance of sunscreen products spreading protocol and substrate roughness for in vitro sun protection factor assessment, Int. J. Cosmet. Sci., 31(6), 405 (200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