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유 폐수 활성 슬러지에서 분리한 Comamonas testosteroni의 생물학적 페놀 분해
Biodegradation of Phenol by Comamonas testosteroni DWB-1-8 Isolated from the Activated Sludge of Textile Wastewater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0 no.2, 2020년, pp.156 - 161  

권해준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최두호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김미경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김동현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김영국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윤혁준 (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분석과) ,  김종국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업화 이후 다양한 화학물질의 생산과 이용은 우리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였지만 그로 인한 대량의 폐기물 방출은 필연적이며 환경오염은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환경오염에 의한 화학물질의 노출은 인간의 건강과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우리의 삶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오염된 환경을 정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광범위한 석유화학제품의 사용으로 인해 독성 난분해성 방향족화합물이 토양, 지하수, 폐수 등에서 빈번하게 검출되고 있다. 특히 합성수지, 합성섬유, 염료, 살충제, 방부제 등의 원료로 사용되는 페놀은 주요 오염물질이며, 호흡곤란, 두통, 구토, 돌연변이, 발암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페놀분해균주인 DWB-1-8을 섬유폐수에서 분리, 동정하였으며 16S rRNA유전자 염기서열분석결과 Comamonas testosteroni로 동정 되었다. 본 실험 균주의 최적 생장 및 최적페놀분해 배양 조건은 0.7% K2HPO4, 0.6% NaH2PO4, 0.1% NH4NO3, 0.015% MgSO4·7H2O, 0.001% FeSO4·7H2O, 초기 pH 7 및 30℃ 였으며, 다른 독성 화합물인 벤젠, 톨루엔 혹은 크실렌(BTX)을 유일탄소원으로 이용하여 생장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industrialization, the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various chemicals has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quality of our lives, but the subsequent discharge of massive waste is inevitabl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s becoming more serious every day. Exposure to chemicals as a result of enviro...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염색 폐수 처리과정의 활성 슬러지에서 페놀을 분해할 수 있는 그람음성 세균인 Comamonas testosteroni를 순수 분리 배양한 후, 최적 생육 조건을 탐색하였고, 페놀 이외의 난분해성 기질을 유일탄소원으로 이용하여 생장할 수 있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기질 특이성을 연구하였다.

가설 설정

  • 페놀은 합성섬유, 염료, 살충제, 방부제, 소독제 등 화학제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포름알데히드류와 축합반응하면 절연성이 뛰어난 페놀 수지로 전환되므로 전자 재료로 사용되며, 이러한 공장의 방류수로부터 다량 유출된다[9]. 유출된 페놀이 하천으로 유입되면 0.005 ppm의 낮은 농도에도 악취가 발생된다. 또한 상수도 시설에서 살균을 위해 염소를 처리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 페놀이 유입되면 잔존 염소와 반응하여 더욱 독성이 강한 클로로페놀이 형성되어 인체에 악영향을 주게된다[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페놀은 어디에 사용되는가? 페놀은 합성섬유, 염료, 살충제, 방부제, 소독제 등 화학제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포름알데히드류와 축합반응하면 절연성이 뛰어난 페놀 수지로 전환되므로 전자 재료로 사용되며, 이러한 공장의 방류수로부터 다량 유출된다[9]. 유출된 페놀이 하천으로 유입되면 0.
페놀은 어떤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가? 페놀은 호흡곤란, 두통, 구토, 돌연변이, 발암 등의 문제를 야기하는 독성 난분해성 물질이며[11], 미국환경보호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과 유럽연합(EU)에서 페놀이 유해물질로 지정되어 있고 우리나라 환경부에서도 유해 화학물질로 지정되어 있다[4].
실험 균주로 선별된 DWB-1-8의 colony는 어떤 형태를 갖는가? 순수 분리한 균주들 중 실험을 통해 500 ppm의 페놀을 유일탄소원으로 첨가한 배지에서 생육이 가능한 실험 균주 DWB-1-8을 선별 하였다. 실험 균주의 colony는 원형의 불투명한 흰색 빛깔을 띄며 주변부에 투명대를 갖는 형태이다. 실험 균주의 16SrRNA 염기서열을 EzBioCloud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한 결과, Comamonas testosteroni ATCC11996과 1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hmed, A. M., Nakhla, G. F. and Farooq, S. 1995. Phenol degradation by Pseudomonas aeruginosa. J. Environ. Sci. Health A 30, 99-107. 

  2. Boon, M., Goris, J., Vos, P. D., Verstraete, W. and Top, E. V. 2000. Bioaugmentation of activated Sludge by indigenous 3-chloroaniline degrading Comamonas testosteroni strain, 12gfp. Appl. Environ. Microbiol. 66, 2906-2913. 

  3. Cho, K. S., Lee, S. M., Shin, M. J., Park, S. Y., Lee, Y. R., Jang, E. Y. and Son, H. J. 2014.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 phenol-degrading bacterium, Rhodococcus pyridinovorans P21. J. Life Sci. 24, 988-994. 

  4. Der Yang, R. and Humphrey, A. E. 1975. Dynamic and steady state studies of phenol biodegradation in pure and mixed cultures. Biotechnol. Bioeng. 17, 1211-1235. 

  5. Edwards, C. A. 2002. Assessing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pollutants on soil organisms, communities, processes and ecosystems. Eur. J. Soil Biol. 38, 225-231. 

  6. Ettinger, M., Ruchhoft, C. and Lishka, R. 1951. Sensitive 4-aminoantipyrine method for phenolic compounds. Anal. Chem. 23, 1783-1788. 

  7. Fiamegos, Y., Stalikas, C. and Pilidis, G. 2002. 4-Aminoantipyrine spectrophotometric method of phenol analysis: Study of the reaction products via liquid chromatography with diode-array and mass spectrometric detection. Anal. Chim. Acta 467, 105-114. 

  8. Folsom, B. R. and Chapman, P. J. 1991. Performance characterization of a model bioreactor for the biodegradation of trichloroethylene by Pseudomonas cepacia G4. Appl. Environ. Microbiol. 57, 1602-1608. 

  9. Kim, S. B., Kim, C. K., Kim, H. S., Lee, C. H., Shin, K. S., Kwon, G. S., Yoon, B. D. and Oh, H. M. 199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enol-degrading Candida tropicalis PW-51.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4, 743-748. 

  10. Marrot, B., Barrios-Martinez, A., Moulin, P. and Roche, N. 2006. Biodegradation of high phenol concentration by activated sludge in an immersed membrane bioreactor. Biochem. Eng. J. 30, 174-183. 

  11. Masque, C., Nolla, M. and Bordons, A. 1987. Selection and adaptation of a phenol-degrading strain of Pseudomonas. Biotechnol. Lett. 9, 655-660. 

  12. Oh, Y. S., Shareefdeen, Z., Baltzis, B. C. and Bartha, R. 1994. Interactions between benzene, toluene, and p-xylene (BTX) during their biodegradation. Biotechnol. Bioeng. 44, 533-538. 

  13. Pai, S. L., Hsu, Y. L., Chong, N. M., Sheu, C. S. and Chen, C. H. 1995. Continuous degradation of phenol by Rhodococcus sp. immobilizaed on granular activated carbon and in calcium alginate. Bioresour. Technol. 51, 37-42. 

  14. Vrijheid, M., Casas, M., Gascon, M., Valvi, D. and Nieuwenhuijsen, M. 2016.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child health-a review of recent concerns. Int. J. Hyg. Environ. Health 219, 331-342. 

  15. Yoon, S. H., Ha, S. M., Kwon, S., Lim, J., Kim, Y., Seo, H. and Chun, J. 2017. Introducing EzbioCloud: a taxonomically united database of 16S rRNA gene sequences and whole-genome assemblies. Int. J. Syst. Evol. Microbiol. 67, 1613-1617. 

  16. Zaitsev, G. M., Uotila, J. S., Tsitko, I. V., Lobanok, A. G. and Salkinoja-Salonen, M. S. 1995. Utilization of halogenated benzenes, phenols, and benzoates by Rhodococcus opacus GM-14. Appl. Environ. Microbiol. 61, 4191-42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