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SNS와 언론의 이슈에 대한 반응 비교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종료"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responses to issues in SNS and Traditional Media using Text Mining -Focusing on the Termination of Korea-Japan General Security of Military Information Agreement(GSOMI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2, 2020년, pp.277 - 284  

이수련 (서울여자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최은정 (서울여자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텍스트마이닝은 비정형, 대용량의 텍스트 자료로부터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는 빅데이터 분석의 대표적인 방법이다. 트위터와 같은 SNS는 1초에서 수십만건의 데이터를 생성해내며 대중들의 의견이나 생각 등을 즉각적이며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1인 미디어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기성 미디어인 언론은 정보전달, 사회비판, 여론형성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로의 SNS와 언론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하반기 국내의 이슈 중의 하나인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종료"에 대한 SNS의 반응과 언론의 반응을 비교 분석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총 201,728개의 트윗과 20,698개의 신문 기사를 대상으로 감성분석, 연관분석,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로 SNS의 경우 이슈에 대해 긍정적 반응이 높았고 언론의 경우는 부정적 반응이 높았다. 연관검색의 경우는 SNS의 경우 "파기, 결정, 우리" 등 국내적 이슈에 대한 지지가 높았고 언론의 경우 "실망, 유감, 우려" 등으로 대외적 이슈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보여주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SNS는 정보전달의 기능보다는 사회 비판 및 여론의 추이를 살피거나 형성하는데 언론보다 빠르고 강하게 나타내고 있어 언론이 대중의 인식을 반영해주는 역할을 보완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xt mining is a representative method of big data analysis that extracts meaningful information from unstructured and large amounts of text data. Social media such as Twitter generates hundreds of thousands of data per second and acts as a one-person media that instantly and directly expresses publ...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지소미아”에 대해 언론과 SNS가 서로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기본적인 분석으로 감성 분석을 활용했다.
  • 본 논문에서는 SNS와 언론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을 진행했다. SNS의 경우 트위터의 수집기간 내 “지소미아 종료” 관련 모든 트윗을 텍스트 데이터로 활용했다.
  • 또한, 하나의 텍스트마이닝 분석 기법이 아닌 여러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두 매체를 개괄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새로운 시도이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 마이닝의 여러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1인 미디어로서의 SNS가 언론과 어떤 차이점을 보이는지 비교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이슈를 설정하여 SNS와 언론의 반응 차이를 살펴보는 것을 통해 두 매체를 비교했다.
  • 본 연구에서는 SNS와 언론이 하나의 이슈를 두고 어떻게 반응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데이터 분석 기법을 이용하였고, 그 중에서도 감성 분석과 연관 분석, 빈도분석, 군집분석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G. Abend. (2008). The Meaning of 'Theory'. Sociological Theory, 26(2), 173-199. DOI : 10.1111/j.1467-9558.2008.00324.x 

  2. Mayer-Schonberger, Viktor & Kenneth Cukier. (2013). Big data: A revolution that will transform how we live, work, and think" Houghton Mifflin Harcourt. Boston : Mariner Books. 

  3. Miller, Warren E., James A. Davis, Jerome Clubb, Bruce Russett, Martin David & James N. Morgan. (1990). Large-Scale Data Needs. Leading Edges in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 NY: Russell Sage Foundation. 

  4. Y. C. Kim. (2017. May). Polls, The trap of Random digit dialing(RDD) and response rates.. 36, 32-35. 

  5. E. J. Choi, S. W. Choi, S. Y. Lee & M. J. Kim. (2017).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mention in SNS on the result of ele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2), 191-197. DOI : 10.14400/JDC.2017.15.2.191 

  6. Y. N. Lee, E. J. Choi & M. J. Kim. (2018).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residential Candidate's SNS Reputation on Election Result: focusing on 19th Presidential Ele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6(2), 195-201. DOI : 10.14400/JDC.2018.16.2.195 

  7. Y. H. Kim. (2019). SNS (Social Network Service) utilization trend and usage behavior analysis. Seoul : KISDI. 

  8. K. S. Kim. (2013). An Understanding of SNS (Social Network Service) in Media Study.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38, 177-206. 

  9. S. H. Kim. (2016). Smartphone and News Consumption Experience. Seoul : Center For Media Research at Korea Press Foundation. 

  10. S. U. Ji. (2018). Liberal democracy and the role of the press. Seoul : Hansun Foundation. 

  11. I. H. Kim. (2019). Newspaper Big Data and Text Mining for Digital Humanities. The Journal of Language & Literature, 78, 41-62. DOI : 10.15565/jll.2019.06.78.41 

  12. D. K. Lee, S. J. Lee & I. Y. Choi. (2018). Response Analysis of Stop Smoking Campaign Webtoon Using Text Mining Technology: Focused on the "Tale of Cigarette" Comments. J Health Info Stat, 43(1), 70-79. DOI : 10.21032/jhis.2018.43.1.70 

  13. J. H. Ryu & Y. Y. Yoo. (2018). The Fourth Industrial Recolution Core Technology Association Analysis Using Text Mi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9), 129-136. DOI : 10.14400/JDC.2018.16.8.129 

  14. S. H. Cha. (2007). Comprehensive survey on distance/similarity measures between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Models and Methods in Applied Science, 1(4), 300-307. 

  15. Y. H. Kim. (2018). Analysis on the Usage Trend and Behavior of SNS. Seoul : KISDI.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