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농자재 사용에 따른 고추 병해 발생과 토양 미생물상 구조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Disease Occurrences and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by Application of Organic Materials in Pepper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6 no.4, 2020년, pp.202 - 209  

조경준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김성현 (경상대학교 식물의학과) ,  이용복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곽연식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기농업은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서 필요하며, 생물 다양성 유지를 위해 필수적인 경작 방법으로 전 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농업 분야 중 하나이다. 유기농업은 인류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끼질 수 있는 화학적 제재의 사용을 줄이고, 친환경적 동·식물성 비료, 식물 추출물, 미생물 제재 등이 사용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안전한 농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노지 고추를 대상으로 3년간 유기농업 환경과 관행농업 환경에서 주요 병해 발생과 토양 미생물상의 조사하였다. 토양 미생물상의 차이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유기농업에 사용되는 제제의 종류에 따라 토양 미생물상이 다르게 형성되었다. 바이러스, 탄저병에 대해서는 관행농업에서의 병 발생률이 낮았으나, 청고병은 미생물 제재 사용에 의해 병 발생률이 낮게 나타났다. 미생물 제재를 사용한 토양에서 투입된 미생물이 토양 미생물에서 검출되었으며, 이는 미생물이 실제 토양에 정착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rganic farming is necessary to sustainable agriculture, preserve biodiversity and continued growth the sector in agriculture. In organic farming, reduced usage of chemical agents that adversely affect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employing amino acids and oil cake fertilizer, plant extracts, and m...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5년, 2016년, 2017년에 노지 고추의 유기농업과 관행농업 재배지에서 시비와 약제처리에 따른 토양미생물의 다양성 비교, 탄저병 등의 병해 방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i, D.-H., Sung, J.-K., Lee, S.-M., Lee, Y.-H., Kim, J.-M., Jung, J.-A. et al. 2008. Selection of useful organic materials as an additional fertilizer for organic red-pepper production and the application effect. Korean J. Soil Sci. Fertil. 41: 153-157. (In Korean) 

  2. Choi, H.-S., Lee, S.-H., Kim, M.-K., Kwak, H.-R., Kim, J.-S., Cho, J.-D. et al. 2010. Occurrence of virus diseases on major crops in 2009. Res. Plant Dis. 16: 1-9. (In Korean) 

  3. Gomiero, T., Paoletti, M. G. and Pimentel, D. 2008. Energy and environmental issues in organic and conventional agriculture. Crit. Rev. Plant Sci. 27: 239-254. 

  4. Herlemann, D. P., Labrenz, M., Jurgens, K., Bertilsson, S., Waniek, J. J. and Andersson, A. F. 2011. Transitions in bacterial communities along the 2000km salinity gradient of the Baltic Sea. ISME J. 5: 1571-1579. 

  5. Khan, S., Guo, L., Maimaiti, Y., Mijit, M. and Qiu, D. 2012. Entomopathogenic fungi as microbial biocontrol agent. Mol. Plant Breed. 3: 63-79. 

  6. Kim, Y.-S., Ham, S.-K., Kim, T.-S. and Jeon, H.-S. 2008. Effect of liquid fertilizer containing medium of Lactobacillus confusa and Pichia anomala on growth in creeping bentgrass. Korean J. Turfgrass Sci. 22: 185-196. (In Korean) 

  7. Kim, Y.-S., Ham, S.-K. and Lee, S.-J. 2010. Effect of liquid fertilizer contained medium of Lactobacillus sp. and Saccharomyces sp. on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Korean J. Turfgrass Sci. 24: 138-144. (In Korean) 

  8. Lebeau, A., Daunay, M.-C., Frary, A., Palloix, A., Wang, J.-F., Dintinger, J. et al. 2011. Bacterial wilt resistance in tomato, pepper, and eggplant: genetic resources respond to diverse strains in the Ralstonia solanacearum species complex. Phytopathology 101: 154-165. 

  9. Lee, Y.-H. and Ha, S. K. 2011. Impacts of chemical properties on microbial population from upland soils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 Soil Sci. Fertil. 44: 242-247. 

  10. Lupatini, M., Korthals, G. W., de Hollander, M., Janssens, T. K. and Kuramae, E. E. 2017. Soil microbiome is more heterogeneous in organic than in conventional farming system. Front. Microbiol. 7: 2064. 

  11. Park, K. S. and Kim, C. H. 1992. Identification, distribution and et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thracnose fungi of red pepper in Korea. Korean J. Plant Pathol. 8: 61-69. 

  12. Singh, B. K. and Trivedi, P. 2017. Microbiome and the future for food and nutrient security. Microb. Biotechnol. 10: 50-53. 

  13. Toyota, K. and Watanabe, T. 2013. Recent trends in microbial inoculants in agriculture. Microbes Environ. 28: 403-404. 

  14. van Bruggen, A. H. C. and Finckh, M. R. 2016. Plant diseases and management approaches in organic farming systems. Annu. Rev. Phytopathol. 54: 25-54. 

  15. Weller, D. M., Raaijmakers, J. M., Gardener, B. B. and Thomashow, L. S. 2002. Microbial populations responsible for specific soil suppressiveness to plant pathogens. Annu. Rev. Phytopathol. 40: 309-3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