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과 비거주 노인의 구강건강상태 비교
Comparison of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Non-resident Elderly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3, 2020년, pp.134 - 140  

이혜주 (서울대학교 치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과 비거주 노인의 구강건강상태를 비교하는 것이었다. 연령, 성별, 기초생활수급상태가 동일한 469명을 매칭하여 구강건강상태를 비교분석하였다.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들은 시설 비거주 노인보다 치아우식 우병률(p=0.019), 우식영구치수(p=0.001), 상실영구치수(p=0.047)가 더 높았고 충전영구치수(p<0.001)는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설 거주 노인들은 비거주 노인들보다 치아우식에 유병될 확률이 1.93배 더 높았고, 충전치아를 가지게 될 확률은 0.73배였다. 의치를 장착하게 될 확률은 상악이 0.15배, 하악이 0.13배였으며, 의치필요도는 상악이 5.61배, 하악이 5.65배였다. 의치 장착여부 및 필요도에 대한 보정된 오즈비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구강보건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for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the non-resident elderly. The study was conducted on 469 elderly people of the same age, gender and basic living conditions. Elderly residing in long-t...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들의 구강건강실태를 시설 비거주 노인들과 비교분석하여 해당 노인들의 구강건강증진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장점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장기요양시설 이용 그룹과 이용하지 않는 대조군의 비교를 통해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대표적 시설급여인 노인요양시설 이용 여부에 따른 노년층의 구강건강실태를 좀 더 정확하게 분석했다는 점이다. 이는 향후 장기요양보험제도 및 구강보건정책 개정의 근거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8년에 조사한 65세 이상 인구 약 몇 명인가? 최근 우리나라는 비약적인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수준의 향상과 보건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연장되면서 급격한 고령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2018년에 조사한 65세 이상 인구는 약 738만명으로 총인구의 14.3%에 해당되며, 2060년에는 약 40%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구강건강문제는 어떠한 요소에 영향을 줄 수 있는가?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들의 구강건강 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대부분 일부지역의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한 단면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구강건강문제는 신체적 통증, 정신적 불편, 사회적 장애와 같은 삶의 질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7]. 또한 노인요양시설 이용자는 일상적 구강위생관리를 스스로 수행하는데 제약이 따르는 대상자가 대부분이며, 구강위생상태가 악화되어 각종 구강질환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Y. H. Jung & S. H. Lee. (2019). The impact of Workforce Aging on Labor Productivity: Using the Regional Panel Dataset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1), 1-7. DOI : 10.14400/JDC.2019.17.11.001 

  2. Statistics Korea. (2019). Future Population Special Estimation. Future Population Special Press Release.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2/6/index.board?bmoderead&aSeq373873 

  3. C. L. Cjeong & T. J. Lee. (2017) Population ageing and increasing health care expenditures - counting on death related costs by age group.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23(4), 127-148. 

  4. G. J. Woo, H. J. Kim, Y. J. Kim & K. W. Oh. (2018). Oral health examination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prevalence of oral disease. Health and Disease, 11(22), 742-749. 

  5. K. H. Jung, M. H. Oh, E. N. Kang, J. H. Kim, W. D. Sun & M. A. Oh. (2014). National Survey on Older Adults. Sejong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6. Y. M. Jung, S. M. Kim, H. J. Lee, Y. H. Cho, S. G. Lee & N. H. Kim. (2010). Oral health care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0(4), 727-34. 

  7. S. H. Jang & M. H. Choi. (2011).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among elderly people in some elderly care facilities by OHIP-14.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jiene, 11(4), 475-487. 

  8. S. H. Kim, C. H. Kim, G. Y. Son, S. Y. Yang, M. S. Cho & S. H. Oh. (2014). The Perception of elderly oral health care in the care worker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4(5), 715-21. 

  9. R. Lee. (2016). Macroeconomics, Aging and Growth. NBER Working Paper, 22310, 1-71. 

  10. I. J. Rha, C. Y. Lim & S. H. Park. (2008). Preparing for the retiring babyboomer generation in Korea: from the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perspective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2(0), 151-74. 

  11. C. S. Jung. (2012). Aging Society and Labor Marke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1), 185-194. DOI : 10.14400/JDPM.2012.10.1.185 

  12. T. Wall, K. Nasseh & M. Vujicic. (2013). Per-patient Dental Expenditure Rising, Driven by Baby Boomers. American Dental Association websites, https://www.ada.org/en/-/media/ADA/Science%20and%20Research/Files/HPRCBrief_0313_2 

  13. M. S. Haumschild & R. J. Haumschild. (2009).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in long-term car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10, 667-671. 

  14. H. S. Jeong, Y. M. Song & K. S. Lee. (2006). Aging and Health Care Expenditur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13(1), 95-116. 

  15. L. Weening-Verbree, G. Huisman-de Waal, L. van Dusseldorp, T. van Achterberg & L. Schoonhoven. (2013). Oral health care in older people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A systematic review of implementation strate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50, 569-82. 

  16. Hopcraft MS. (2015). Dental demographics and metrics of oral diseases in the ageing Australian population. Australian Dental Journal, 60(1), 2-13. 

  17. M. S. Park. (2010). Educational Needs in the Provision of Oral Care by Nursing Staff Long-term Care Facility for Elderly People. Journal of Geriatric Nursing, 12(1), 72-80. 

  18. J. R. Park, M. S. Youn & Y. R. Choi. (2018). Convergence study of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elderly of awareness of middle-aged people and demand for dental services in the system.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7). 95-103. DOI : 10.15207/JKCS.2018.9.7.095 

  19. J. R. Park, M. H. Hong & Y. R. Choi. (2015). The oral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care provided by workers in long-term elderly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5(2), 245-251. 

  20. M. S. Park. (2010). Educational Needs in the Provision of Oral Care by Nursing Staff in Long-term Care Facility for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1), 72-80. 

  21. P. Coleman & N. M. Watson. (2006). Oral care provided by certified nursing assistant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4(1), 138-143. 

  22. G. U. Kim & J. H. Kim. (2015).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awareness of care workers on the geriatric oral health.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6), 9-15. DOI : 10.15207/JKCS.2015.6.6.009 

  23. M. Y. Kim & K. H. Kang. (2016). Status of oral health care provided by care workers in accordance with their oral health awareness and knowledg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6), 161-166. DOI : 10.15207/JKCS.2016.7.6.161 

  24. N. K. Han, W. C. Kim, S. j. Lim & C. Y. Park. (2013). Effect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Policy on Medical Expenditures for the Elderly.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3(2), 132-144. 

  25. J. Y. Park, Y. H. Lee, J. H. Kwon, E. M. Lee, H. Y. Lee, Y. H. Kim. (2010).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care model for the long-term care and medical service.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