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커피가 사람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coffee on human gut microbiota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3 no.1, 2020년, pp.83 - 87  

고광표 (Faculty of Biotechnology, School of life sciences, SARI Jeju National University) ,  김진경 (Microbial Institute for Fermentation Industry (MIFI)) ,  조승화 (Microbial Institute for Fermentation Industry (MIFI)) ,  정도연 (Microbial Institute for Fermentation Industry (MIFI)) ,  운노 타쯔야 (Faculty of Biotechnology, School of life sciences, SARI Jeju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효식품은 장 건강을 포함하여 건강상의 이로운점을 제공하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Lactobacillus plantarum과 Bacillus amyloliquefaciens로 발효 된 커피원두가 건강한 사람의 장내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커피원두를 발효하여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과 같은 이로운 물질이 증가하였다. 또한 발효커피의 섭취로 인해 유의한 장내 미생물생태 및 물질대사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섬유소 분해 및 단쇄지방산을 생성하는 유익한 미생물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발효커피 섭취로인해 장내미생물생태 및 물질대사를 유지하면서 유익한 미생물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ermented foods have been recognized as functional foods that provide health benefits, including the modulation of intestinal microbiota. Therefor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ffee bean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acillus amyloliquefaciens on heal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발효에 의해 커피원두내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양을 조사하였다. 비록 시간에 따른 함량을 조사하지 못하였지만 발효에 의해 커피원두 내 총 플라보이드와 총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발효 시간에 따른 이물질들의 함량을 조사하여 본다면 발효시간 단축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 를 이용하여 커피를 발효함으로써 발효커피를 개발하여 상품화 하였다. 이에따라 본 연구는 발효미생물 산업 진흥원에서 개발한 발효커피가 발효전과의 차이점과 인체에 적용하여 일반적인 생활에서 발효커피에 의한 장내미생물 생태 변화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효에 의한 커피원두 내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양의 변화와 시사점은? 본 연구에서 발효에 의해 커피원두내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양을 조사하였다. 비록 시간에 따른 함량을 조사하지 못하였지만 발효에 의해 커피원두 내 총 플라보이드와 총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발효 시간에 따른 이물질들의 함량을 조사하여 본다면 발효시간 단축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발효커피 섭취로 인해 장내미생물생태 및 미생물에 의한 물질대사의 유의미한 변화는 관찰하지 못하였지만, Lactobacillus spp.와 Alistipes spp. 같은 유익균은 증가 하였으며, Paraprevotella spp.와 같은 유해균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발효커피의 장기간 섭취는 인간의 장내에 유익한 미생물을 증가시켜 건강을 증진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발효된 식품의 특징은? 미생물들은 오래 전부터 발효 유제품을 중심으로 각종 장류, 김치, 발효소시지, 의약품 및 가축의 사료 첨가제에 이르기 까지 그 특성에 따라 인류의 생활에 직·간접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2,3]. 발효된 식품은 기존의 식품보다 풍미가 높고 미생물 생육억제물질인 bacteriocin을 생성하여 항균 활성을 지니며 다량의 젖산을 생성하여 식품 내의 부패균 성장 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4]. 이전연구에서는 발효식품중하나인 요커트를 섭취하여 cardiovascular disease, type 2 diabetes로 인한 사망률이 감소했다는 보고가 있다[5-7].
미생물과 인류는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 2006년 미국 Health잡지가 뽑은 세계인 건강식품 5가지 중 3가지가 발효 식품이며 최근에 발효과정에 의한 생리활성 작용이 알려지면서 발효식품이 세계적으로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인식 되고 있다[1]. 미생물들은 오래 전부터 발효 유제품을 중심으로 각종 장류, 김치, 발효소시지, 의약품 및 가축의 사료 첨가제에 이르기 까지 그 특성에 따라 인류의 생활에 직·간접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2,3]. 발효된 식품은 기존의 식품보다 풍미가 높고 미생물 생육억제물질인 bacteriocin을 생성하여 항균 활성을 지니며 다량의 젖산을 생성하여 식품 내의 부패균 성장 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Park K-Y (2012) Increased health functionality of fermented 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7.1 (2012): 1-8 

  2. Kim J-H, Lee W-J, Cho Y-W, Kim K-Y (2009) Storage-life and palatability extension of Betula platyphylla sap using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787-794 

  3. Hong SW, Lim IK, Kim YW, Shin S-M, Chung KS (2013)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d culture-based analysis of the bacterial community in Cheonggukjang,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food from Gangwon provin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515-520 

  4. Matsumura H, Takeuchi A, Kano Y (1997) Construction of Escherichia coli $^{\circ}(C)$ Bifidobacterium longum shuttle vector transforming B. longum 105-A and 108-A. Biosci Biotech Bioch 61: 1211-1212 

  5. Chen M, Sun Q, Giovannucci E, Mozaffarian D, Manson JE, Willett WC, Hu FB (2014) Dairy consumption and risk of type 2 diabetes: 3 cohorts of US adults and an updated meta-analysis. BMC Med 12: 215 

  6. Tapsell LC (2015) Fermented dairy food and CVD risk. Brit J Nutr 113: S131-S135 

  7. Soedamah-Muthu SS, Masset G, Verberne L, Geleijnse JM, Brunner EJ (2013) Consumption of dairy products and associations with incident diabetes, CHD and mortality in the Whitehall II study. Brit J Nutr 109: 718-726 

  8. Chilton S, Burton J, Reid G (2015) Inclusion of fermented foods in food guides around the world. Nutrients 7: 390-404 

  9. Borrelli RC, Visconti A, Mennella C, Anese M, Fogliano V (2002)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ffee melanoidins. J Agr Food Chem 50: 6527-6533 

  10. Snchez-Gonzlez I, Jimnez-Escrig A, Saura-Calixto F (2005)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coffees brewed using different procedures (Italian, espresso and filter). Food Chem 90: 133-139 

  11. Silva CF, Batista LR, Abreu LM, Dias ES, Schwan RF (2008) Succession of bacterial and fungal communities during natural coffee (Coffea arabica) fermentation. Food Microbiol 25: 951-957 

  12. Kwak HS, Jeong Y, Kim M (2018) Effect of yeast fermentation of green coffee bean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consumer acceptability. J Food Quality Volume 2018, Article ID 5967130, 8 

  13. Kozich JJ, Westcott SL, Baxter NT, Highlander SK, Schloss PD (2013) Development of a dual-index sequencing strategy and curation pipeline for analyzing amplicon sequence data on the MiSeq Illumina sequencing platform. Appl Environ Microbiol 79: 5112-5120 

  14. Schloss PD, Westcott SL, Ryabin T, Hall JR, Hartmann M, Hollister EB, Lesniewski RA, Oakley BB, Parks DH, Robinson CJ (2009) Introducing mothur: open-source, platform-independent, community-supported software for describing and comparing microbial communities. Appl Environ Microbiol 75: 7537-7541 

  15. Westcott SL, Schloss PD (2017) OptiClust, an Improved Method for Assigning Amplicon-Based Sequence Data to Operational Taxonomic Units. mSphere 2: e00073-00017 

  16. Segata N, Izard J, Waldron L, Gevers D, Miropolsky L, Garrett WS, Huttenhower C (2011) Metagenomic biomarker discovery and explanation. Genome Biol 12: R60 

  17. Holmes I, Harris K, Quince C (2012) Dirichlet multinomial mixtures: generative models for microbial metagenomics. PloS one 7: e30126 

  18. Douglas GM, Maffei VJ, Zaneveld J, Yurgel SN, Brown JR, Taylor CM, Huttenhower C, Langille MGI (2019) PICRUSt2: An improved and extensible approach for metagenome inference. bioRxiv: 672295 

  19. White JR, Nagarajan N, Pop M (2009) Statistical methods for detecting differentially abundant features in clinical metagenomic samples. PLOS Comput Biol 5: e1000352 

  20. Klinder A, Shen Q, Heppel S, Lovegrove JA, Rowland I, Tuohy KM (2016) Impact of increasing fruit and vegetables and flavonoid intake on the human gut microbiota. Food Funct 7: 1788-1796 

  21. Jiao X, Wang Y, Lin Y, Lang Y, Li E, Zhang X, Zhang Q, Feng Y, Meng X, Li B (2019) Blueberry polyphenols extract as a potential prebiotic with anti-obesity effects on C57BL/6 J mice by modulating the gut microbiota. J Nutr Biochem 64: 88-100 

  22. Hjorth MF, Blaedel T, Bendtsen LQ, Lorenzen JK, Holm JB, Kiilerich P, Roager HM, Kristiansen K, Larsen LH, Astrup A (2019) Prevotella-to-Bacteroides ratio predicts body weight and fat loss success on 24-week diets varying in macronutrient composition and dietary fiber: results from a post-hoc analysis. Int J Obesity (Lond) 43: 149-157 

  23. Vital M, Karch A, Pieper DH (2017) Colonic Butyrate-Producing Communities in Humans: an Overview Using Omics Data. mSystems 2 

  24. Louis S, Tappu RM, Damms-Machado A, Huson DH, Bischoff SC (2016) Characterization of the Gut Microbial Community of Obese Patients Following a Weight-Loss Intervention Using Whole Metagenome Shotgun Sequencing. PLoS One 11: e0149564 

  25. Del Chierico F, Abbatini F, Russo A, Quagliariello A, Reddel S, Capoccia D, Caccamo R, Ginanni Corradini S, Nobili V, De Peppo F, Dallapiccola B, Leonetti F, Silecchia G, Putignani L (2018) Gut Microbiota Markers in Obese Adolescent and Adult Patients: Age- Dependent Differential Patterns. Front Microbiol 9: 1210 

  26. Huhn R, Stoermer H, Klingele B, Bausch E, Fois A, Farnetani M, Di Rocco M, Boue J, Kirk JM, Coleman R, Scherer G (1998) Novel and recurrent tyrosine aminotransferase gene mutations in tyrosinemia type II. Hum Genet 102: 305-3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