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들의 보건행태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Health Behavior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3, 2020년, pp.95 - 100  

이동호 (계명문화대학교 보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보건행태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질병관리본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차년도(2017년) 원 자료 중 한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367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 목적에 맞추어 SPSS/PC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정신건강이고 다음이 신체활동이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지역사회 의료기관이나 보건소가 연계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및 올바른 생활습관 형성을 위한 보건교육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노인들의 정신건강과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를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Convergence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and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1,367 people aged 65 or older living in Korea out of the original data fo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2017년) 자료 중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음주, 흡연,건강검진, 예방접종, 비만, 체중조절, 걷기, 근력운동, 저작 불편, 구강검진, 우울감, 스트레스, 영양교육, 영양표시 인식 등이 포함되는 보건행태를 중심으로 한국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들의 보건행태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질병관리본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차년도(2017년) 원 자료를 이용하여 이차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속한 노인 인구의 증가로 어떤 문제가 대두되는가? 급속한 노인 인구의 증가는 만성질환 증가, 신체기능저하에 의한 일상생활 제한 및 낙상 등의 건강 문제와 사회생활 및 경제활동 중단으로 인한 외로움, 소득 상실, 지위 및 역할 상실 등 사회경제적 문제, 우울 및 자살 등의 정신, 심리적 문제 발생으로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1,2]. 이렇게 발생 된 여러 문제들은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이들 중 건강 문제는 노화로 인해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는 노인들에게 올바른 생활습관으로 건강상태를 유지해 삶의 질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WHO에서는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구성요소로 무엇이 포함되어 있는가? 그런데 우리나라 노인 대부분은 건강에 관한 전문 지식이 부족하고 본인 스스로가 과거로부터 갖게 된 생활패턴을 쉽게 바꾸지 못하고 포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7], 노년기에 개인이 스스로 건강한 삶의 주체가 되어 자기 건강의 중요성을 알고 개인의 건강관리능력을 기르고 실천하는 건강증진행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8]. 이러한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구성요소로 WHO에서는금연, 금주, 예방접종, 건강검진, 운동, 식이 관리, 생활양식 개선 등을 구성요소로 포함되어 있다[9].
건강수명연장은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포함한 개념으로 무엇이 강조되고 있는가? 우리나라도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h Plan2020)에서 국민건강 증진을 위한 총괄 목표로 건강수명연장과 건강 형평성 제고를 지향하고 있으며 이는 오늘날과 같은 고령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정책과제이다[4]. 건강수명 연장이란 단순히 수명연장이 아니라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건강관련 삶의 질을 포함한 개념으로 삶이 지속되는 동안 건강한 상태를 꾸준히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H. S. Kim. (2017). Effect of Pain, Nutritional Risk, Loneliness, Perceived Health Statu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7), 207-218. DOI : 10.15207/JKCS.2017.8.7.207 

  2. K. I. Lee & J. H. Lee. (2017). The Impacts of Daily Stress, Ego Resilience,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325-336. DOI : 10.15207/JKCS.2017.8.6.325 

  3. S. Y. Kang & I. H. Park. (2013). Construction of a Model of Quality of Life in Longevity Region Dwelling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3), 302-313. DOI : 10.12799/JKACHN.2013.24.3.302 

  4. H. J. Choi, J. E. Koh, O. H. Ahn, H. G. Kim & S. J. Yang. (2018). Community Health NursingII. Seoul : Hyunmoonsa. 

  5. K. R. Shin, Y. S. Byeon, Y. H. Kang & J. W. Oak. (2008). A study on physical symptom,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HRQoL) in th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3), 437-444. DOI : 10.4040/JKAN.2008.38.3.437 

  6. S. R. Suh & M. H. Kim. (2014). Influencing factor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4(4), 705-716. 

  7. M. H. Kim. (2010). Analysis of Factor of Relationship between Senior Citizen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Chronic Disease. Doctoral dissertation. Daegu Hanny University, Daegu. 

  8. M. S. Kim. (2011). Factors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Patients with Hypertension: Centering 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Master's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Busan. 

  9. H. M. Kim. (2017). Predi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Master'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0. S. M. Moon. (2017).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socioeconomic, health-related, and health behavioral factors on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6), 259-271. 

  11. J. Y. Kim, S. G. Lee & S. K. Lee.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2), 471-484. 

  12. E. J. Park. (2017). Effects of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on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comparison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Master'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3. J. S. An & H. Y. Choi. (2018). Trend of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2(2), 275-287. DOI : 10.5932/JKPHN.2018.32.2.275 

  14. S. K. Kim, D. H. Cho, J. R. Shim & J. H. Ha. (2019). Factors Affecting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 Elderl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33(3), 129-141. DOI : 10.16915/JKAPESGE.2019.9.33.3.129 

  15. Y. H. Chung & Y. H. Cho. (2014).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Young-old and the Old-old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0(1), 55-64. 

  16. K. N. Kim & Y. J. Jee. (2015). Predi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Based on the 2013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sia-Pacific Journal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5(3), 197-205. DOI : 10.14257/AJMAHS.2015.06.22 

  17. M. S. Mun. (2017). Factor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Aged in Community. Master's dissertation.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18. J. I. Ryu & H. S. Choi. (2014). Related Factors between Health Status, Helath Behavior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of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9(2), 59-70. 

  19. S. M. Moon. (2017).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socioeconomic, health-related, and health behavioral factor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6), 259-271. DOI : 10.14400/JDC.2017.15.6.259 

  20. S. H. Lee. (2013). Gender difference in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12), 523-535. DOI : 10.14400/JDPM.2013.11.12.52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