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임 여성의 난임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in infertile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6 no.1, 2020년, pp.49 - 60  

김윤미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노주희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fertile women experience various physical, psychological, and relational problems that affect their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QoL). This study investigated infertile women's infertility-related QoL with the goal of identifying how it is influenced by fatigue, depression, and m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난임 여성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난임 여성은 난임 치료 과정 중 검사와 처치 등으로 인해 다양한 신체적, 심리적, 관계적 문제를 경험하므로 난임 여성의 삶의 질에 의료진의 더욱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난임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은 우울, 피로, 난임 치료에 임하는 배우자의 태도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난임 여성의 인구학적 특성, 피로, 우울, 부부 친밀도와 난임 관련 삶의 질의 정도를 확인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통해 난임 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학적인 상담과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난임 여성의 인구학적 특성, 피로, 우울, 부부 친밀도와 난임 관련 삶의 질의 정도를 확인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통해 난임 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학적인 상담과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을 확인하고 삶의 질의 영향요인으로 인구학적 특성을 비롯한 신체적 측면의 피로, 심리적 측면의 우울, 관계적 측면의 부부 친밀도를 파악하여 난임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합적으로 확인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난임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가임기 여성의 연령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감소된 신체적 및 생리적 상태는 생식능력의 감소로 이어져 난임의 과정을 겪게 된다[2]. 난임이란 피임을 하지 않고 정상적인 성생활을 하고 있음에도 1년 이내에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로, 2018년 보고된 보건사회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유배우 여성의 난임 진단율은 52.1%로 2015년의 조사 결과(37.
부부의 적극적인 태도가 중립적인 태도보다 난임 관련 삶의 질이 높다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난임 관련 삶의 질은 배우자의 태도가 적극적인 경우가 소극적일 때 더 높게 나타났다. 난임 치료에 임하는 배우자의 태도가 적극적인 경우에 부부 친밀도가 높았던 것을 통해 부부 관계에서 배우자가 가장 중요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임신에 부담을 가장 많이 주는 사람이 있는 경우와 임신에 가장 협조하는 사람을 확인함으로써 배우자의 적극적인 태도, 배우자의 협조와 지지가 난임 여성에게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유럽의 난임 부부 54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27] 부부의 적극적인 태도가 중립적인 태도보다 난임 관련 삶의 질이 높다고 보고한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
난임 여성들은 주로 어떠한 치료와 검사를 받는가? 0% 증가하였다[3]. 난임 여성 비율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으로, 난임 여성들은 반복적인 진료와 혈액 검사, 소변 검사, 호르몬 검사, 나팔관 조영술, 배란 검사, 초음파 검사, 배우자의 정자 검사 같은 사전 검사 및 시술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반복적인 진료과정을 통해서도 임신을 보장받는 것은 아니므로 난임 여성은 신체적, 심리적, 관계적인 측면의 다양한 문제를 겪고 삶의 질에 영향을 받게 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1 Statistics Korea 2016 Birth Statistics (Confirmation) [Internet] Daejeon Author 2016 [cited 2018 Apr 1].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2/1/index.board?bmode=read&aSeq=362574 

  2. 2 Balasch J Ageing and infertility: an overview Gynecol Endocrinol 2010 26 12 855 860 20642380 

  3. 3 Lee SY Kim EJ Park JS Byun SJ Oh M Lee SL The 2018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8 Dec. 51 p. Report No.: Policy Report 2018-37 

  4. 4 Boivin J Takefman J Braverman A The Fertility Quality of Life (FertiQoL) tool: development and general psychometric properties Fertil Steril 2011 96 2 409 415 21458806 

  5. 5 Ashrafi M Sadatmahalleh SJ Akhoond MR Talebi M Evaluation of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endometriosis in infertile women Int J Fertil Steril 2016 10 1 11 21 27123195 

  6. 6 Yokoyama Y Comparison of child-rearing problems between mothers with multiple children who conceived after infertility treatment and mothers with multiple children who conceived spontaneously Twin Res Hum Genet 2003 6 2 89 96 

  7. 7 Namdar A Naghizadeh MM Zamani M Yaghmaei F Sameni MH Quality of life and general health of infertile women Health Qual Life Outcomes 2017 15 1 139 28701163 

  8. 8 Hwang N Factors related to the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Health Soc Stud 2013 33 3 161 187 

  9. 9 Jung YJ Kim HY Factors influencing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undergo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iques: focusing on depression and resilience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17 23 2 117 125 

  10. 10 Kim M Nam H Youn M Infertility stress, depression, and resilience in women with infertility treatments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016 30 1 93 104 

  11. 11 Chi HJ Park IH Sun HG Kim JW Lee KH Psychological distress and fertility quality of life (FertiQoL) in infertile Korean women: The first validation study of Korean FertiQoL Clin Exp Reprod Med 2016 43 3 174 180 27689041 

  12. 12 Tao P Coates R Maycock B Investigating marital relationship in infertility: a systematic review of quantitative studies J Reprod Infertil 2012 13 2 71 80 23926528 

  13. 13 Lee KH A measure of marital intimacy J Korean Home Econ Assoc 1995 33 4 235 249 

  14. 14 Bakhtiyar K Beiranvand R Ardalan A Changaee F Almasian M Badrizadeh A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infertility on women's quality of life: a case-control study BMC Womens Health 2019 19 1 114 31484531 

  15. 15 Chachamovich JR Chachamovich E Ezer H Fleck MP Knauth D Passos EP Investigating quality of lif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infertility: a systematic review J Psychosom Obstet Gynecol 2010 31 2 101 110 

  16. 16 Kim M Relationship between infertility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based on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exual satisfaction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16 20 2 140 151 

  17. 17 Krupp LB LaRocca NG Muir-Nash J Steinberg AD The fatigue severity scale. Application to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a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rch Neurol 1989 46 10 1121 1123 2803071 

  18. 18 Chung KI Song CH Clinical usefulness of fatigue severity scale for patients with fatigue, and anxiety or depression Korean J Psychosom Med 2001 9 2 164 173 

  19. 19 Henry JD Crawford JR The short-form version of the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s (DASS-21): construct validity and normative data in a large non-clinical sample Br J Clin Psychol 2005 44 Pt 2 227 239 16004657 

  20. 20 Boivin J Schmidt L Infertility-related stress in men and women predicts treatment outcome 1 year later Fertil Steril 2005 83 6 1745 1752 15950646 

  21. 21 Kim JH Shin HS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J Korean Acad Nurs 2013 43 3 312 320 23893221 

  22. 22 Maroufizadeh S Hosseini M Rahimi Foroushani A Omani-Samani R Amini P The effect of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in infertile couples: an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proach Health Qual Life Outcomes 2018 16 1 73 29690877 

  23. 23 Li Y Zhang X Shi M Guo S Wang L Resilience acts as a moder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tility-related stress and fertility quality of life among women with infertility: a cross-sectional study Health Qual Life Outcomes 2019 17 1 38 30770738 

  24. 24 Hwang RH Self-esteem, body image and factors influencing on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J Digit Converg 2017 15 10 537 549 

  25. 25 Murphy S Niemiec SS Aging, fatigue, and fatigability: implications for occupational and physical therapists Current Geriatrics Reports 2014 3 3 135 141 

  26. 26 Targum SD Fava M Fatigue as a residual symptom of depression Innov Clin Neurosci 2011 8 10 40 43 

  27. 27 Cserepes RE Bugán A Korösi T Toth B Rösner S Strowitzki T Infertility specific quality of life and gender role attitudes in german and hungarian involuntary childless couples Geburtshilfe Frauenheilkd 2014 74 11 1009 1015 25484375 

  28. 28 Donarelli Z Lo Coco G Gullo S Salerno L Marino A Sammartano F The Fertility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FertiQoL) relational subscal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discriminant validity across gender Hum Reprod 2016 31 9 2061 2071 27343271 

  29. 29 Kim MO Park JS Nam HA Factors associa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of women under infertility treatments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16 20 3 228 23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