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련 꽃 에센셜 오일의 항균 및 항염증 활성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ssential Oil from the Magnolia kobus Flower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0 no.3, 2020년, pp.278 - 284  

이재열 (금오공과대학교 응용화학과) ,  지광환 (금오공과대학교 응용화학과) ,  양선아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련은 항산화효과와 진정작용과 같은 다양한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련 에센셜오일의 항균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목련 에센셜 오일증류법으로 추출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항균 활성은 S. aureus와 E. coli, P. aeruginosa에 대하여 paper disk diffusion법과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값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목련 에센셜 오일은 S. aureus 균주에 대하여 18 mm의 clear zone형성과 0.25 mg/ml의 MIC 값을 나타내는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P. aeruginosa 균주와 E. coli 균주는 clear zone 형성이 각각 14 mm와 17 mm로 나타났다. 또한, MIC값은 각각 1 mg/ml와 0.5 mg/ml로 측정되었다. 항염증 활성은 LPS 유도된 RAW264.7 세포에서 nitric oxide (NO)와 PGE2의 생성억제율을 조사하였다. 목련 에센셜 오일, 500 ㎍/ml의 농도에서 RAW264.7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은 나타내지 않았지만, NO (37.7%)와 PGE2 (24.0%)억제를 보였다. GC-MS를 이용하여 목련 에센셜 오일을 분석하였다. 목련 에센셜 오일의 3 가지 주요 방향제 성분은 3-carene (77.07%), β-elemene (6.92%) 및 caryphyllene (2.86%)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목련 에센셜 오일이 항균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화장품 기능성 물질로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gnolia kobus is known to exert various biological effects, such as antioxidant and hypnotic activ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M. kobus essential oil extracted using steam distillation. Its antimicrobial activity was tested against Staphyl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련 꽃은 한방에서 신이(辛夷)라 불리며, 모세혈관 확장[4], 항염증 작용[27], 진통[27], 항균작용[19]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줄기 부위에서는 항염증[10,24]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목련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연구보고는 거의 보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목련에서부터 추출된 에센셜 오일의 방향성 성분과 항균 및항염증 활성을 검토하여 목련 에센셜 오일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따라서 항염증 효능을 확인하는 biomarker로써 LPS에 의해 과생성된 대식세포의 NO 및 PGE2 생성 억제를측정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목련 에센셜 오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LPS로 과생산된대식세포의 NO와 PGE2 생성 억제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목련 에센셜 오일의 농도별(10, 50, 100, 250, 500 μg/ml) 처리에 대한 NO 생성은 250 μg/ml 이상의 농도 영역에서 농도의존적, 유의적으로 NO 생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00μg/ml의 농도에서 6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목련 에센셜 오일의 3 가지 주요 방향제 성분은 무엇인가? GC-MS를 이용하여 목련 에센셜 오일을 분석하였다. 목련 에센셜 오일의 3 가지 주요 방향제 성분은 3-carene (77.07%), β-elemene (6.92%) 및 caryphyllene (2.86%)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목련 에센셜 오일이 항균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화장품 기능성 물질로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에센셜 오일은 무엇인가? 에센셜 오일은 강한 향을 가진 휘발성이 있는 천연 물질로 향이 있는 식물의 2차 대사산물이며 향수, 메이크업 화장품, 천연 약재 등에 이용되고 있다[4]. 또한 에센셜 오일은 우수한 항균력을 가지며[14, 17], 오일의 유효성분은 피부에 침투하여 피부의 노폐물을 제거해주고 피부 노화방지[26], 피부 재생[12]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피부 염증을 유발시키는 원인은 무엇인가? 외부에 노출된 피부는 적합한 세균 발육환경을 조성하여 태생기에는 무균적이었던 피부도 오염원에 의해 각종 세균이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균들은 피부 염증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작용된다. 연구 보고에서 알려진 피부상재균으로 포도상구균, 대장균, 녹농균 등이 대표적이며, 생활환경과 불규칙한 생활 습관 등으로 인해 독성이 강한 물질을 방출함으로써 피부 염증을 초래하게 된다[30]. 또한 피부에 존재하는 피부상재균은 많은 피부질환을 발생시킨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unkumark, V. and Paridhavi, M. 2013. Evaluation of the compone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volatile oil from Zanthoxylumlimonella fruit. Int. J. Pharm. Bio. Sci. 4, 777-787. 

  2. Burt, S. 2004. Essential Oils: Their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potential applications in foods-a review. Int. J. Food Microbiol. 94, 223-253. 

  3. Chae, J. W., Jo, B. S., Joo, S. H., Ahn, D. H., Chun, S. S. and Cho, Y. J. 2012. Biolog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Vaccinium oldhami fruit. J. Kor. Soc. Food Sci. Nutr. 41, 1-12. 

  4. Choi, K. S., Shin, K. O., Chung, K. H., Kim, Y. H. and Huh, S. M. 2012. The effect of Goroshoe (Acer mono max.) seed oil, and Magnolia denudata seed oil on the lipid profile in serum in mice. Kor. J. Food Nutr. 25, 770-778. 

  5. Ha, Y. M., Lee, B. B., Bae, H. J., Je, K. M., Kim, S. R., Choi, J. S. and Choi, I. S.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grapefruit seed extract and processed sulfur solution against human skin pathogens. J. Life Sci. 19, 94-100. 

  6. Hoshino, K., Takeuchi, O., Kawai, T., Sanjo, H., Ogawa, T., Takeda, Y., Takeda, K. and Akira, S. 1999. Cutting edge: toll-like receptor 4 (TLR4)-deficient mice are hyporesponsive to lipopolysaccharide: evidence for TLR4 as the LPS gene product. J. Immun. 162, 3749-3752. 

  7. Im, D. Y. 2012. Volatile compounds analysis of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dried Taraxacum coreanum. Kor. J. Aesthet. Cosmetol. 10, 797-801. 

  8. Jeoung, Y. J., Choi S. Y., An, C. S., Jeon, Y. H., Park, D. K. and Lim, B. O. 2009. Comparative effect on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Phellinus linteus and Phellinus linteus grown in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s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Kor. J. Med. Crop. Sci. 17, 97-101. 

  9. Ji, K. H., Kim, D. K. and Kim, Y. T. 2017.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Lisianthus (Eustoma grandiflorum) essential oil. J. Life Sci. 27, 430-434. 

  10. Kang, J. S., Lee, K. H., Lee, H., Ahn, J. M., Han, S. B. and Kim, H. M. 2008.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isolated from stem bark of Magnolia kobus. Phytother. Res. 22, 883-888. 

  11. Kim, B. R., Yoo, J. H., Jung, S. G. and Lee, S. Y. 2012. Inhibitory effect of organic acids and natural occurring antimicrobial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from various origins. J. Food Hyg. Saf. 27, 449-455. 

  12. Kim, D. Y., Won, K. J., Yoon, M. S., Hwang, D. I., Yoon, S. W., Park, J. H., Kim, B. Y. and Lee, H. M. 2015.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essential oil induces keratinocyte proliferation and skin regeneration. Nat. Prod. Res. 29, 562-564. 

  13. Kim, I. H., Kim, J. K. and Lee, J. H. 2016.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effects of functional healthy drink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coffee mixture. J. Life Sci. 26, 1225-1231. 

  14. Kim, J. H., Kim, M. J., Choi, S. K., Bae, S. H., An, S. K. and Yoon, Y. M. 2011.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lemon and Eucalyptus essential oils against skin floras. J. Soc. Cosmet. Sci. Kor. 37, 303-308. 

  15. Kim, J. Y., Park, S. J., Yun, K. J., Cho, Y. W., Park, H. J. and Lee, K. T. 2008. Isoliquiritigenin isolated from the roots of Glycyrrhiza uralensis inhibits LPS-induced iNOS and COX-2 expression via the attenuation of NF- ${\kappa}B$ in RAW 264.7 macrophages. Eur. J. Pharmacol. 584, 175-184. 

  16. Kim, K. E., Park, S. K. and Cho, I. Y. 2016. Exploring synergistic effect among essential oils in antibacterial action. Convergence 14, 547-553. 

  17. Kim, M. S. and Soon, H. J. 2012. Antimicrobial effects of essential oil on acnes strains. J. Kor. Soc. Esthe. Cosm. 7, 32-36. 

  18. Kim, S. S., Hyun, J. M., Kim, K. S., Park, K. J., Park, S. M. and Choi, Y. H. 2013. Influence of essential oil in 'Shiranuhi' immature fruit o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Kor. J. Med. Crop. Sci. 21, 493-497. 

  19. Kim, Y. G. 1999.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xtractives from Magnolia (Magnolia kobus DC. var. bor ealis Sarg.). J. Kor. Wood Sci. Technol. 27, 105-114. 

  20. Kim, Y. G., Watanabe, N., Sano, Y., Uraki, Y. and Sano, Y. 1998. Extractives of kitakobusi Magnolia kobus DC. Var. borealis sarg. III: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y of extractives. Hokkaido University Collection of Scholarly and Academic Papers 55, 63-73. 

  21. Kolundzic, M., Grozdanic, N. D., Dodevska, M., Milenkovic, M., Sisto, F., Miani, A. and Kundakovic, T. 2016. Antibacterial and cytotoxic activities of wild mushroom Fomes fomentarius (L.) Fr., Polyporaceae. Ind. Crop. Prod. 79, 110-115. 

  22. Lee, J. Y., Yoo, D. H., Jeng, Y. S., Joo, S. H. and Chae, J. W. 2018. Verification o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s of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in RAW 264.7 cells. J. Life Sci. 28, 429-434. 

  23. Lee, M. J., Kim, G. P., Kim, S. H., Choung, N. H. and Yim, M. H. 1997.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 from gall-nut and red-grape Husk. J. Kor. Soc. Food Sci. Nutr. 10, 174-179. 

  24. Lee, S. S. and Lee, H. J. 2010. Studies on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Magnoliaceae. J. Kor. Wood Sci. Technol. 38, 579-586. 

  25. Mohammed, G. J., Omran, A. M. and Hussein, H. M. 2016. Antibacterial and phytochemical analysis of Piper nigrum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um and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Int. J. Pharmacogn. Phytochem. Res. 8, 997-996. 

  26. Mori, M., Ikeda, N., Kato, Y., Minamino, M. and Watabe, K. 2002.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by essential oils in vitro. J. Cosmet. Dermatol. 1, 183-187. 

  27. Nho, J. W., Hwang, I. G., Joung, E. J., Kim, H. Y., Chang, S. J. and Jeong, H. S. 2009. Biological activities of Magnolia denudata Desr. flower extracts. J. Kor. Soc. Food Sci. Nutr. 38, 1478-1484. 

  28. Park, S. H., Kim, K. B. W. R., Kim, M. J., Choi, J. S., Cho, Y. J. and Ahn, D. H. 2017.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and essential oil from Pinus densiflora on skin pathogens. J. Life Sci. 27, 646-651. 

  29. Srinivasan, S. and Priya, V. 2019. Phytochemical screening and GC-MS analysis of Cyperus dubius, Rottb. (Cyperaceae). J. Med. Plants Stud. 7, 89-98. 

  30. Yi, M. R., Jeon, A. L., Kang, C. H. and Bu, H. J. 2016.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Erigeron annuus L. flower. Appl. Sci. Converg. Technol. 33, 717-7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