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작업치료사의 업무 특성 및 실태 조사 : 보건소 근무 작업치료사를 중심으로
Job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ist : Focus on OTs in Public Health Center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10 no.3, 2020년, pp.37 - 52  

민경철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김은희 (의왕시 보건소 치매센터팀) ,  우희순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작업치료학과, 환경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보건소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작업치료사의 업무 특성 및 실태를 파악하여, 2020년 현재 지역사회 작업치료사에 관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전국 보건소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여 응답을 수렴하였다. 수집된 응답지 77부를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을 적용하였다. 결과 : 설문응답자는 여자(77.9%), 20-30대(96.1%)가 많았고, 주로 치매 관련 팀(72.7%)에서 근무하였으며 방문, 건강, 재활 관련 다양한 팀에 소속되어 있었다. 보건소 경력은 1-2년(67.5%), 계약형태는 시간선택제 공무원(61%)이 가장 많았고, 업무 강도는 보통-매우 높음(94.8%)이, 만족도는 보통-매우 만족(85.7%)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업무 고충은 예산 행정 업무(26.7%), 업무 외 고충은 계약에 따른 불평등(27.2%)이 가장 높았다. 주로 참여하는 업무는 치매 쉼터, 방문 작업치료, 그룹 작업치료이었으며, 난이도는 예산 행정, 치매 쉼터, 방문 작업치료가 높았다. 주요 치료 목표는 인지능력 향상, 가족 지지가 많았고, 빈도는 인지능력 향상, 가족 지지, 평가가 높았다. 보건소 작업치료 대상은 치매, 일반 노인, 성인 뇌병변 순이었으며, 일반인, 정신과 질환, 아동 관련 대상도 포함되어있었다. 주로 평가를 진행하는 직군은 간호사(35.7%), 작업치료사(33.7%)였으며, MMSE-DS, SGDS, SMCQ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작업치료사의 업무 특성 및 실태를 확인하였다. 치매 관련 사업 등 일부분에 집중되어 있는 작업치료 업무를 넘어선 전문적인 분야 개발 및 참여가 필요하며, 추후 커뮤니티 케어로 확장되고 있는 지역사회 재활의 흐름에 발맞춘 지역사회 작업치료사의 전문적인 역할 정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public health centers, the characteristics and actual condition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community, and use them as basic data on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community as of 2020. Methods : 77 questionna...

주제어

참고문헌 (23)

  1. Bonsaksen, T., Dolva, A. S., Horghagen, S., Sveen, U., Hagby, C., & Arntzen, C. (2020). Characteristics of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Results of a norwegian survey.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7(1), 39-46. doi: 10.1080/11038128.2019.1609085 

  2. Carrier, A., Levasseur, M., & Mullins, G. (2010). Accessibility of occupational therapy community services: A legal, ethical, and clinical analysis. Occupational Therapy in Health Care, 24(4), 360-376. doi: 10.3109/07380577.2010.510170 

  3. Cha, Y. J., & Jeon, B. J. (2012). Job characteristics and factors affecting work orient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who take CBR based on the regional public health act: Focusing on public health centers and centers for dementia.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0(3), 41-53. 

  4. Cheng, S., Cheung, S. H., Wong, D., Pang, A., Chui, D., Chan, E., et al. (2001). Survey of performance standards of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in Hong Kong. Hong Kong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1(1), 5-9. 

  5. Cho, D. N., Kang, D. H., & Lee, T. Y.(2017). Coping strategies for job-related stres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5(1), 57-69. doi: 10.14519/jksot.2017.25.1.05 

  6. Cho, M. S., Kim, Y. H., Yang, Y. A., Oh, H. W., Hong, J. R., Noh, J. S., et al. (2006). Basic survey for revitalize of employment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community health center.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4(1), 1-11. 

  7. Choi, J. S., & Song, B. N. (2012). The Correlations between job-stress and job-relation feature in occupational therapist working in nursing home faci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2(2), 51-60. 

  8. Han, D. S., Jung, M. Y., Yoo, E. Y., & Chung, B. I. (2008). The factors of work-related stress in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Korean hospit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6(1), 109-118. 

  9. Harries, P., & Gilhooly, K. (2003). Identifying occupational therapists' referral priorities in community health.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10(2), 150-164. 

  10. Lai, W. W., Chan, J. P., Choi, P. K., Ngai, L. C., Mar, C. S., Chan, E. Y., et al, (2009). Occupational therapy in the integrated elderly and community support services for the elderly in Hong Kong. Hong Kong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9(1), 27-30. 

  11. Law, M., Majnemer, A., McColl, M. A., Bosch, J., Hanna, S., Wilkins, S., et al.(2005). Home and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and youth: A before and after study.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2(5), 289-297. 

  12. Lee, K. H., Kim, K. E., & Son, M. O. (2003). The occupational therapist's present conditions and ways of improvement of the whole community health center.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1(2), 31-42. 

  13. Lysack, C., Stadnyk, R., Paterson, M., McLeod, K., & Krefting, L. (1995). Professional expertis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community practice: Results of an Ontario survey.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2(3), 138-147. 

  14.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MOGL), (2018). En forcement regulations of the Dementia Administra tion Law. Retrieved October 25. 2020, from https://www.law.go.kr/LSW/lsSc.do?subMenuId15&menuId1&query%EC%B9%98%EB%A7%A4%EA%B4%80%EB%A6%AC%EB%B2%95#undefined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OWH). (2020a). 2019 White paper of Health and Welfare. Retrieved Oct ober 25. 2020,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OWH). (2020b). Present condition of management of public health centers and branches. Retrieved October 25. 2020, from https://kosis.kr/common/meta_onedepth.jsp?vwcdMT_OTITLE&listid117_11719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OWH). (2020c) 2020 Dementia Policy Service Information. October 25. 2020,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0&CONT_SEQ352795 

  18. Park, J. Y., & Bae, W. J. (2019). The use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by occupational therapists in long-term care hospital.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3(1), 23-31. doi: 10.34263/jsotad.2019.13.1.23 

  19. Steultjens, E. M., Dekker, J., Bouter, L. M., Jellema, S., Bakker, E. B., & Van Den Ende, C. H. (2004). Occupational therapy for community dwelling elderly people: A systematic review. Age and Ageing, 33(5), 453-460. 

  20. Stigen, L., Bjork, E., Lund, A., & Cvancarova Smastuen, M. (2018). Assessment of cl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s: A survey of Norwegian occupational therapists in municipal practice.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5(2), 88-98. doi: 10.1080/11038128.2016.1272633 

  21. Walton, H., Tombor, I., Burgess, J., Groarke, H., Swinso n, T., Wenborn, J., et al, (2019). Measuring fidelity of delivery of the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 in Dementia-UK intervention. BMC Geriatrics, 19 (1), 1-13. doi: 10.1186/s12877-019-1385-7 

  22. Yeo, H. J., & Lee, Y. J. (2020).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necessi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4(1), 49-58. doi: 10.18598/kcbot.2019.9.3.02 

  23. Yoo, E. Y., Jung, M. Y., Park, S. Y., & Choi, E. H. (2006). Current trends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by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4(3), 27-3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