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생장촉진근권세균 Bacillus subtilis YGB36을 이용한 고추 탄저병의 생물학적 방제

Control of Red Pepper Anthracnose Using Bacillus subtilis YGB36, a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6 no.1, 2020년, pp.8 - 18  

이용윤 (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  이연미 (안동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김영수 (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  김현섭 (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  전용호 (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추는 한국의 주요 경제 작물 중 하나이지만 재배과정에서 Colletotrichum acutatum에 기인한 탄저병이 많이 발생한다. 이의 방제를 위해 길항균인 Bacillus subtilis YGB36을 선발하여 16S rRNA 염기서열 및 생리·생화학적 분석을 통해 Bacillus subtilis로 동정하고 이를 생물학적 방제제로 개발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In vitro screening에서 YGB36은 Cylindrocarpon destructans에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cellulase, protease, amylase, siderophore 생산 및 phosphate solubility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 균주의 배양액(106 cfu/ml) 및 배양여액은 in vitro 실험에서 C. acutatum의 포자발아를 강하게 억제하였고, 고추 과실을 이용한 실내실험에서도 이 배양액이 탄저병 병반의 진전을 억제하였으며, 방제가는 65.7%로 나타났다. 아울러 YGB36배양액은 고추 종자의 발아 및 초기 뿌리 생장을 촉진하였고, 온실에서의 식물 생장을 촉진하였다. 기존 화학농약과의 혼용 가능성 조사 결과, YGB36은 실험에 사용한 모든 살충제에서 생존에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았으며, 살균제 21종 중 11종에서 잘 생존하였다. 따라서 YGB36균주는 고추 탄저병에 대한 생물농약으로서의 잠재적 가치가 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d pepper, one of the major economic crops in Korea, is being affected by anthracnose disease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To control this disease, an antagonistic bacterial strain, Bacillus subtilis YGB36 identified by 16S rDNA sequencing,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analyses is used as a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추탄저병을 일으키는 C. acutatum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효과가 우수한 Bacillus종을 선발하고 탄저병의 발병 억제 효과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검정하였으며, 실제 농가에서 기존 화학농약과의 혼용이 가능한 지 여부에 대하여 검토하고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생물학적 방제제를 화학농약과 혼용 혹은 교호 살포하였을 때 서로 상충작용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용화되어 있는 살균제 21종 및 살충제 14종을 제조사의 지침을 기준으로 반량, 정량 및 배량으로 제조하여 이에 대한 YGB36의 생육에의 영향을 확인하였다(Table 1).
  • 실제로 YGB36이 고추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탄저병균을 억제하고, 고추 종자 발아 및 생육촉진까지 긍정적인 효과를 보유하고 있음이 본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아울러 실제 농가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화학약제와의 혼용 가능성도 제시하였다. 한편 YGB36은 B.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보고된 고추에 발생하는 병해는 몇 종인가? 그러나 최근 기상이변과 재배 농민의 고령화등에 따라 재배의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는 연작, 소규모 재배, 노동 집약, 긴 재배 작기로 인해 여러 병해 피해가 큰 작물이기도 하다(Park 등, 2012). 우리나라에 보고된 고추에 발생하는 병해는 35종이며, 그 중 역병과 탄저병, 모자이크병 등 약 10종의 병이 매년 고추에 큰 피해를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고추탄저병과 역병이 가장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Seo 등, 2011;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9). 고추탄저병균 중 수량과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균은 C.
고추탄저병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학농약은? 탄저병 방제를 위해 사용하는 화학농약은 dithianon, carbendazium, chlorothalonill, azoxystrobin, mancozeb 등이 있지만, 생태계 파괴와 같은 문제점과 C. acutatum의 약제 내성등으로 인하여 방제에 어려움이 있다(Kwak 등, 2012).
고추에 발생하는 병해 중 가장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는 것은? 그러나 최근 기상이변과 재배 농민의 고령화등에 따라 재배의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는 연작, 소규모 재배, 노동 집약, 긴 재배 작기로 인해 여러 병해 피해가 큰 작물이기도 하다(Park 등, 2012). 우리나라에 보고된 고추에 발생하는 병해는 35종이며, 그 중 역병과 탄저병, 모자이크병 등 약 10종의 병이 매년 고추에 큰 피해를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고추탄저병과 역병이 가장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Seo 등, 2011;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9). 고추탄저병균 중 수량과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균은 C.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nnapurna, K., Kumar, A., Kumar, L. V., Govindasamy, V., Bose, P. and Ramadoss, D. 2013. PGPR-induced systemic resistance (ISR) in plant disease management. In: Bacteria in Agrobiology: Disease Management, ed. by D. K. Maheshwari, pp. 405-425. Springer, Berlin, Germany. 

  2. Bagg, A. and Neilands, J. B. 1987. Molecular mechanism of regulation of siderophore-mediated iron assimilation. Microbiol. Rev. 51: 509-518. 

  3. Beneduzi, A., Ambrosini, A. and Passaglia, L. M. P. 2012.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PGPR): their potential as antagonists and biocontrol agents. Genet. Mol. Biol. 35(4 Suppl): 1044-1051. 

  4. Bhaskar, N., Sudeepa, E. S., Rashmi, H. N. and Selvi, A. T. 2007. Parti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tease of Bacillus proteolyticus CFR3001 isolated from fish processing waste and its antibacterial activities. Bioresour. Technol. 98: 2758-2764. 

  5. Borriss, R. 2011. Use of plant-associated Bacillus strains as biofertilizers and biocontrol agents in agriculture. In: Bacteria in Agrobiology: Plant Growth Responses, ed. by D. K. Maheshwari, pp. 41-76. Springer-Verlag, Berlin, Germany. 

  6. Dunlap, C. A., Kim, S.-J., Kwon, S.-W. and Rooney, A. P. 2016. Bacillus velezensis is not a later heterotypic synonym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Bacillus methylotrophicus, Bacillus amyloliquefaciens subsp. plantarum and 'Bacillus oryzicola' are later heterotypic synonyms of Bacillus velezensis based on phylogenomics. Int. J. Syst. Evol. Microbiol. 66: 1212-1217. 

  7. Han, J.-H., Park, G.-C., Kim, J.-O. and Kim, K. S. 2015. Biological control of Fusarium stalk rot of maize using Bacillus spp. Res. Plant Dis. 21: 280-289. (In Korean) 

  8. Han, K.-S., Park, J.-H., Han, Y.-K. and Hwang, J.-H. 2009. Pathogenicity and occurrence of pepper seedling anthracnose caused by Collectotrichum acutatum. Res. Plant Dis. 15: 88-93. (In Korean) 

  9. Kim, J. T., Park, S.-Y., Choi, W., Lee, Y.-H. and Kim, H. T. 2008. Characterization of Collectotrichum isolates causing anthracnose of pepper in Korea. Plant Pathol. J. 24: 17-23. 

  10. Kim, P. I., Ryu, J., Kim, Y. H. and Chi, Y.-T. 2010. Production of biosurfactant lipopeptides Iturin A, fengycin, and surfactin A from Bacillus subtilis CMB32 for control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J. Microbiol. Biotechnol. 20: 138-145. 

  11. Kim, S.-T. and Yun, S.-C. 2011. Biocontrol with Myxococcus sp. KYC 1126 against anthracnose in hot pepper. Plant Pathol. J. 27: 156-163. 

  12. Kloepper, J. W., Leong, J., Teintze, M. and Schroth, M. N. 1980. Enhanced plant growth by siderophores produced by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Nature 286: 885-886. 

  13. Kumar, S., Stecher, G. and Tamura, K. 2016. MEGA7: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7.0 for bigger datasets. Mol. Biol. Evol. 337: 1870-1874. 

  14. Kwak, Y.-K., Kim, I.-S., Cho, M.-C., Lee, S.-C. and Kim, S. 2012. Growth inhibition effect of environment-friendly farm materials in Collectotrichum acutatum in vitro. J. Bio-Environ. Control. 21: 127-133. 

  15. Lamsal, K., Kim, S. W., Kim, Y. S. and Lee, Y. S. 2012. Application of rhizobacteria for plant growth promotion effect and biocontrol of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on Pepper. Mycobiology 40: 244-251. 

  16. Lee, S. Y. 2010. Biological control of anthracnose (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 in pepper by Streptomyces cavourensis SY224. M.S. thesis.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41 pp. 

  17. Nakamura, A., Uozumi, T. and Beppu, T. 1987. Nucleotide sequence of a cellulase gene of Bacillus subtilis. Eur. J. Biochem. 164: 317-320. 

  18. Ongena, M. and Jacques, P. 2008. Bacillus lipopeptides: versatile weapons for plant disease biocontrol. Trends Microbiol. 16: 115-125. 

  19. Paik, S. B., Kim, D. W. and Oh, Y. S. 1996. Biocontrol for red pepper anthracnose (Collectotrichum dematium) with phyllospheral microorganisms. B.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0. Park, J.-W., Balaraju, K., Kim, J.-W., Lee, S.-W. and Park, K. 2013. Systemic resistance and growth promotion of chili pepper induced by an antibiotic producing Bacillus vallismortis strain BS07. Biol. Control 65: 246-257. 

  21. Park, S.-J., Kim, G.-H., Kim, A. H., Lee, H., Gwon, H.-W., Kim, J. et al. 2012. Controlling effect of agricultural organic materials on phytophthora blight and anthracnose in red pepper. Res. Plant Dis. 18: 1-9. (In Korean) 

  22. Park, S. M., Jung, H. J. and Yu, T. S. 2006. Screening of an antagonistic bacterium for control of red-pepper anthracnose, 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 J. Life Sci. 16: 420-426. 

  23. Qiao, J.-Q., Wu, H.-J., Huo, R., Gao, X.-W. and Borriss, R. 2014. Stimulation of plant growth and biocontrol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subsp. plantarum FZB42 engineered for improved action. Chem. Biol. Technol. Agric. 1: 12. 

  24. Rodriguez, H. and Fraga, R. 1999. Phosphate solubilizing bacteria and their role in plant growth promotion. Biotechnol. Adv. 17: 319-339. 

  25. Sazci, A., Erenler, K. and Radford, A. 1986. Detection of cellulolytic fungi by using Congo red as an indicator: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dinitrosalicyclic acid reagent method. J. Appl. Bacteriol. 61: 559-562. 

  26. Seo, J., Yi, Y., Kim, B.-S., Hwang, J. M. and Choi, S. W. 2011. Disease occurrence on red-pepper plants surveyed in northern Kyungbuk province, 2007-2008. Res. Plant Dis. 17: 205-210. (In Korean) 

  27. Spaepen, S., Vanderleyden, J. and Remans, R. 2007. Indole-3-acetic acid in microbial and microorganism-plant signaling. FEMS Microbiol. Rev. 31: 425-448. 

  28. Swain, M. R., Naskar, S. K. and Ray, R. C. 2007. Indole-3-acetic acid production and effect on sprouting of yam (Dioscorea rotundata L.) minisetts by Bacillus subtilis isolated from culturable cowdung microflora. Pol. J. Microbiol. 56: 103-110. 

  29.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9. List of Plant Disease in Korea. 5th ed.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Suwon, Korea. 859 pp. 

  30. Thippeswamy, S., Girigowda, K. and Mulimani, V. H. 201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lpha}$ -amylase producing Bacillus sp. from dhal industry waste. Indian J. Biochem. Biophys. 43: 295-298. 

  31. Wang, L.-T., Lee, F.-L., Tai, C.-J. and Kuo H.-P. 2008. Bacillus velezensis is a later heterotypic synonym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Int. J. Syst. Evol. Microbiol. 58: 671-675. 

  32. Weisburg, W. G., Barns, S. M., Pelletier, D. A. and Lane, D. J. 1991. 16S ribosomal DNA amplification for phylogenetic study. J. Bacteriol. 173: 697-703. 

  33. Zivkovic, S., Stojanovic, S., Ivanovic, Z., Gavrilovic, V., Popovic, T. and Balaz, J. 2010. Screening of antagonistic activity of microorganisms against Colletotrichum acutatum and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rch. Biol. Sci. Belgrade 63: 611-6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