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지천의 수생 및 수변 식물상
Aquatic and Riparian Flora of Hwangjicheon Stream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3 no.2, 2020년, pp.138 - 152  

황용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동식물조사연구실) ,  홍정기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동식물조사연구실) ,  배미정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동식물조사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강원도 태백시에 위치한 황지천의 장기모니터링을 위한 수변식물상 조사를 수행한 결과 65과 158속 203종 2아종 18변종으로 총 22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과별로 보면 국화과(30분류군), 벼과(19분류군), 장미과(15분류군), 콩과(12분류군) 순으로 높게 나타난다. 이 중 특산식물은 4분류군이다. 멸종위기 및 적색목록종은 출현하지 않았다.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은 IV등급 3분류군, III등급 4분류군, II등급 7분류군, I등급 8분류군으로 총 22분류군이다. 귀화식물은 28분류군으로 귀화율12.5%, 도시화지수 8.7%를 나타났다. 용도에 따른 분류는 식용 166종(74.4%), 약용 187종(83.8%), 향료용 9종(4.0%), 산업용 99종(44.3%), 관상용 106종(47.5%), 복원용 84종(37.6%), 사료/퇴비용 112종(50.2%), 용도 미상 5종(2.2%) 등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조사 연구를 통해 하천정화시설의 설치 전과 후의 식물상 및 식생변화에 대한 척도를 확보하고 종합적인 관리를 위한 장기 모니터링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Riparian floras in Hwangjicheon stream from April 2017 to October 2019. 223 taxa (i.e. 203 species, 2 subspecies,18 varieties from 158 genera of 65 families) of the vasclur plants were found in Hwangjicheon stream. Among 223 taxa, we found 4 endemic species, and However, rare and...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더불어 자연정화시설로 인해 감소한 중금속이 황지천의 식물상과 식생에 어떤 변화를 줄지 확인할 척도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황지천의 현존 식물상을 파악하고 보전을 위한 관리방안 제시 및 장기모니터링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지천의 유역면적은? 1 ㎞, 하천연장 27.8 ㎞, 유역면적 204.1 ㎢인 하천으로 황지동, 문곡동, 장성동, 동점동 내를 관통하여 흐른다(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3). 황지천 인근은 구(舊)연화광업소, 함태탄광, 어룡광업소 등이 위치하여 상류 방향에 광산폐수정화시설이 위치하며 하천 일부에서는 적화현상이 관찰된다(Nakdonggang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7).
황지천의 상류에서 주로 확인된 목본은? 황지천의 상류에 해당하는 NHJ001~3번 지점은 일본잎갈나무, 신갈나무, 당단풍나무, 생강나무, 고추나무, 산조팝나무 등산지에 출현하는 목본이 주로 확인되었다. 중류에 해당하는 NHJ004~6번 지점은 아까시나무, 버드나무, 물오리나무, 족제비싸리, 갈풀, 달뿌리풀 등이 확인되었다.
황지천의 양치식물은 몇 종인가? 황지천의 관속식물은 65과 158속 203종 2아종 18변종으로 총22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양치식물은 3과 3속 3종으로 3분류군(1.3%), 나자식물은 1과 1속 1종(0.4%), 피자식물은 61과 154속 199종 2아종 17변종으로 총 219분류군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quatic Vascular Plants Databas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KISTI) (2019). http://aquap.ndsl.kr, accessed on (date of access). 

  2. Chang, C.S., H. Kim, S. Son and Y.S. Kim. 2016. The Red List of Selected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Korean Plant Specialist Group, Pocheon, Korea. pp. 8-21 (in Korean). 

  3. Cho, H.J., H.S. Woo, J.W. Lee and K.H. Cho. 2008. Changes in riparian vegetation after restoration in a urban stream, Yangjae stream.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0(3):111-124 (in Korean). 

  4. Cho, Y.H., J.H. Kim and S.H. Park. 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4-527 (in Korean). 

  5. Choe, I.H., B.H. Han and K.S. Ki. 2010. The change of riverside vegetation by construction of ecological stream in Suwoncheon, Gyeonggi province. Kor. J. Env. Eco. 24(6):723-734 (in Korean). 

  6. Chung, G.Y.,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3):264-288 (in Korean). 

  7. Kim, H.J., S.H. Kim and S.Y. Kim. 2006. Changes in mater quality, flora and vegetation of cheonggye Stream before, during and after its restoration. Korean J. Environ. Ecol. 20(2):235-258 (in Korean). 

  8. Kim, B.H., K.H. Kim, H.J. Kim and D.H. Kim. 2000. Plant community survey and analysis for restoration of vegetation in coal-mined Spoil lands.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3(4):33-42 (in Korean). 

  9. Kim, J.S. and T.Y. Kim. 2018. Woody Plant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ju, Korea. pp. 5-715 (in Korean). 

  10. Kim, J.S., J.H. Kim and J.H. Kim. 2018. Herbaceous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ju, Korea. pp. 5-657 (in Korean). 

  11. Korea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16-380 (in Korean). 

  12. Korea Forest Service. 2014. The Assessment for Vascular Plant Resources and the Reclassification of their Usefuless from Korea. Korea Forest Service. pp. 10-153 (in Korean). 

  13.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5-547 (in Korean). 

  14. Korea National Arboretum.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5-600 (in Korean). 

  15.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a. Illustrated Cyperaceae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5-547 (in Korean). 

  16.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b.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 p. 265 (in Korean). 

  17.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3-735 (in Korean). 

  18. Lee, C.S. and G.H. Lee. 2018. Pteridophytes of Korea: Lycophytes phytes & Ferns. Geobook, Seoul, Korea. pp. 3-471 (in Korean). 

  19. Lee, J.H., S.Y. Lee., G.C. Lee., H.J. Kim., H. Choi., H.J. Lee., K. Choi and K.S. Chang. 2016. Standard Checklist of Cultivated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2-510 (in Korean). 

  20.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munsa, Seoul, Korea. pp. 1-914 (in Korean). 

  21.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sa, Seoul, Korea. pp. 1-910 (in Korean). 

  22. Min, J. G., J. H. Lee, S. Y. Woo, J. K .Kim, and H. S. Moon. 2004. Vegetation Structure of Some Abandoned Coal Mine Lands in Taebaek Area, Gangwon Provinc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6(4):256-264 (in Korean). 

  23.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Investigation Guidelines of National Inland Wetland. Ministry of Environment. pp. 79-83 (in Korean). 

  24.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3. Hwangjicheon River Maintenance Basic Plan Report.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Sejong, Korea. p. 282 (in Korean). 

  25. Nakdonggang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7. Studies on Freshwater Biodiversity in Headwater Streams of the Nakdong river Basin(I). Nakdonggang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Sangju, Korea. p. 190. (in Korean). 

  26. Nakdonggang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8. A survey Freshwater Biodiversity in the Middle-upper watershed of Nakdong river(1). Nakdonggang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Sangju, Korea. p. 352 (in Korean). 

  27. NamGung, J., C.Y. Yoon, Y.H. Ha and J.H. Kim. 2019. The flora of Mt. Papyeong (Gyeonggi-do Prov.) in Western area of DMZ, Korea. Korean J. Plant Res. 32(4):355-378 (in Korean). 

  28.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7-29 (in Korean). 

  29.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4. Inventory and Management of Endemic Specie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2-147 (in Korean). 

  30.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in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674-710 (in Korean). 

  31.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2018.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online at http://kbr.go.kr, accessed on (date of access) 

  32. Oh, B.U., D.G. Jo, S.C. Ko, B.H. Choi, W.K. Paik, G.Y. Chung, Y.M. Lee and C.G. Jang.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491 (in Korean). 

  33.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pp. 7-575 (in Korean). 

  34. You, J.H., S.G. Jung and C.H. Lee. 2006. Analysis on the Vegetation and Flora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River. Korean J. Plant. Res. 19(4):471-479 (in Korea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