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Information Literacy of Adolescent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1 no.1, 2020년, pp.357 - 377  

고해숙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김성희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정보활용능력이 청소년의 건강정보이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고 이어서 청소년의 인구학적 통계 및 기타 다양한 특성이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중·고등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보활용능력은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 학년, 학업성적, 건강에 대한 관심도, 학교 외 디지털기기 사용빈도 등이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adolescent's health literacy. First, we examined whether information literacy affects adolescents' understanding of health information, and then analyzed how demographic statistics and various other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ff...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부 공공도서관에서는 소비자 건강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아직까지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정보활용 능력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적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다양한 매체를 통해 건강정보를 습득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활용 능력과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이를 밝히고자 했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정보활용능력을 중심으로 청소년의 정보추구행위, 정보활용교육 등의 요소 및 기타 청소년의 다양한 특성이 청소년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가설은 크게 2가지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첫째, 정보활용능력은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지 검증하고, 둘째, 그 외의 청소년의 다양한 특성이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조사하기 위해 총 15개의 가설(상위가설 8개, 하위가설 7개)을 확립하였으며, 본 연구의 가설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표 3>과 같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정보활용능력을 중심으로 청소년의 정보추구행위, 정보활용교육 등의 요소 및 기타 청소년의 다양한 특성이 청소년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에 바른 건강 행위 및 습관을 형성함으로써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또한 초기 청소년기에 올바르게 형성된 건강생활 습관은 일생 동안의 건강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김경희, 한창현, 권진희, 이성국 2001). 청소년기에 바른 건강 행위 및 습관을 형성하는 것은 청소년 개인의 건강뿐 아니라 가정과 미래의 청소년들이 이끌어 나가야하는 지역사회의 건강 증진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청소년의 건강 증진은 국민전체의 건강 증진과 목적을 달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최윤진, 구창모,정문성 1991).
청소년기는 교육적인 면에 있어 어떤 특징을 보이는가? 건강정보 이해능력 증진의 최적기는 청소년기이다(장병순 2017). 청소년기는 인지적으로 비약적인 발달을 이루면서 대부분을 학습에 투입하여 교육에 대한 감수성이 높다(장병순 2017). 또한 초기 청소년기에 올바르게 형성된 건강생활 습관은 일생 동안의 건강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김경희, 한창현, 권진희, 이성국 2001).
미국에서 1990년대 중반부터 건강교육지침을 위해 어떤 개발이 이뤄졌는가? 하지만 1990년대 초반까지도 이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1990년대 중반, 교육수준이 낮고 소득이 낮은 소수민족들이 문맹률이 높고 건강상태가 좋지 못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건강정보 이해능력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를 계기로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 시작했다(이태화, 강수진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Kim, Kyoung-Hee, Chang-Hyun Han, Jin-Hee Kwon, and Sung-Kook Lee. 2001. "The Related Factors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aegu Are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8(2): 65-82. 

  2. Kim, Sungeun, Jina Oh, and Yunmi Lee. 2013. "Health Literacy: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558-570. 

  3. Kim, Young Sun, Byung Hyun Park, and Hee Yun Lee. 2014. "A Study on Predicting Health Literacy of Korean Elderly Using Andersens Health Behavior Model."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65): 35-57. 

  4. Kim, Ok-sim. 2019. The Relationship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Social Support and Health Literacy of Adolescent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Ph. D. diss., The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5. Kim, Chongmin, Seong-Hun Ahn, Munsu Lee, Hyeonjeong Im, Kieun Kwon, and Han-Sung Kim. 2018. In-depth Analysis of ICT Literacy Level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2007-2016. Taegu: KERIS(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6. Kim, Ji Young and Min Hyeon Seok. 2016. Health Liter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Adolescents. M.A. thesis. The Graduate school, CHA University. 

  7. Kim, Jinhyun. 2018. "Meta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 Literacy and Health Related Variabl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5(1): 101-113. 

  8. Nam, Chang Woo and Seonghun Ahn. 2016. "The Effec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Computer Use and Information(Computer) Educational Experiences on their ICT Literacy Level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0): 18-32. 

  9. Committee on the compilation of the Gloss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10. The Gloss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0. Park, Juhyeon.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ceptualization Model for Reading, Information, ICT, and Digital Literac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2): 267-300. 

  11. Baik, Jeong-Won, Hee-Yun Lee, and Hee-Eun Nam. 2018. "Research Trend Analysis of Health and Mental Health Literacy in Korea: 2007-2017."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2(3): 95-106. 

  12. Song, Kyeong-Jin and Mikyeong Cha. 2014. "A Study on the Concept of Literacy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in Public Library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4): 215-240. 

  13. Ahn, Seonghun. 2017. "Analysis on Students Background Factors Influencing to ICT Literacy Level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0(4): 67-75. 

  14. Ahn, Eun Jung and In Soo Kwon. 2014. "Health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4): 322-331. 

  15. Korea Pharmaceutical Association News. 2019. Safety Contingency Manual "Doesn't understand more than two words out of ten." November 8. [online]. [cited 2017.12.18]. . 

  16. Lee, Su Hyun, Eun Hye Ra Choi, Min Ji Je, Heung Sik Han, Byung Kyu Park, and Sung Soo Kim. 2011. "Comparison of Two Versions of KHLAT for Improvement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3): 57-65. 

  17. Lee, Woon Jee, Sun Ah Lim, Han Sung Kim, and Hyun Sook Yi. 2019. "A Multilevel Analysis of Factors Predicti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Digital Literacy."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 46(2): 35-60. 

  18. Lee, Tae Wha and Soo Jin Kang. 2008. "Health Literacy in the Korean Elderly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4): 847-863. 

  19. Jang, Byeong Soon and Dong Hee Kim. 2015. "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 in Late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6(3): 199-208. 

  20. Jang, Byeong-soon. 2017.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 Health Literacy Scale(KHLS-Teen). Ph. D. diss., Th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21. 정보기술자격(ITQ) 소개. 2019. KPC자격. [online]. [cited 2019.6.24]. . 

  22. Jeong, Ah Young. 2017. Influence of Health Liter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Middle School Students. Ph. D. diss., The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23. Cho, Kyung Seu and Eun Joo Kim. 2016. "The Effects of Mothers' Smartphone Dependency on Problem Behavior in Children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53): 77-104. 

  24.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12th(2016).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5. Choi, Yunjin, Changmo Ku, and Munseong Jeong. 1991. "A Study on the Diagnosis of Youth Problem Behavior." Studies on Korean Youth, 5: 97-112. 

  26. Sorensen, K., S. Van den Brouck, J. Fullam, G. Doyle, J. Pelikan, Z. Slonska, and H. Brand. 2012. "Health Literacy and Public Health: A Systematic Review and Integration of Definitions and Models." BMC Public Health, 12(1): 80. . 

  27. Chisolm, D. J and L. Buchanan. 2007. "Measuring Adolescent Functional Health Literacy: A Pilot Validation of the Test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Adul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1(3): 312-314. 

  28. Collins, S. A., L. M. Currie, S. Bakken, D. K. Vawdrey, and P. W. Stone. 2012. "Health Literacy Screening Instruments for eHealth Application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Biomedical Informatics, 45(3): 598-607. 

  29. Davis, T. C. et al. 200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Rapid Estimate of Adolescent Literacy in Medicine (REALM-Teen): A Tool to Screen Adolescents for Below-Grade Reading in Health Care Settings." Pediatrics, 118(6): 707-714. 

  30. DeWalt, D. A., N. D. Berkman, S. Sheridan, K. N. Lohr, and M. P. Pignone. 2004. "Literacy and Health Outcome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9(12): 1232-1235. 

  31. Haun, J. N., M. A. Valerio, L. A. McCormack, K. Sorensen, and M. K. Paasche-Orlow. 2014. "Health Literacy Measurement: An Inventory and Descriptive Summary of 51 Instruments."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9(2): 302-333. 

  32. Kang, S. J., T. W. Lee, M. K. Paasche-Orlow, G. S. Kim, and H. K. Won. 2014.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Korean Health Literacy Instrument."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9(2): 254-266. 

  33. Lee, T. W, S. J Kang, H. J Lee, and S. I. Hyun. 2009. "Testing Health Literacy Skills in Older Korean Adult."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75: 302-307. 

  34. Li, H., P. Nykanen, R. Suomi, N. Wickramasinghe, G. Widen, and M. Zhan. 2016. Building Sustainable Health Ecosystems. New York: Springer. 

  35. Manganello, J. 2008. "Health Literacy and Adolescents: A Framework and Agenda for Future Research." Health Education Research, 23(5): 840-847. 

  36. MOS 소개. 2019. YBMIT. [online]. [cited 2019.6.24]. . 

  37. NLM. 2015. Health Literacy Tool Shed. [online]. [cited 2019.10.14]. . 

  38.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cited 2019.12.17]. . 

  39. Parker, R. M., D. W. Baker, M. V. Williams, and J. R. Nurss. 1995. "The Test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Adult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0(10): 537-5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