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축형 사상체질 진단설문지(KS-15)의 문항 축소 연구
The Reduction of Question Items in Korea Sasang Constitutional Diagnostic Questionnaire (KS-15) 원문보기

JSCM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32 no.1, 2020년, pp.30 - 38  

김상혁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래의학부) ,  박기현 (한국한의학연구원 임상의학부 임상연구협력팀) ,  백영화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래의학부) ,  장은수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학교실) ,  이시우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래의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the question items in Korea Sasang Constitutional Diagnostic Questionnaire (KS-15) and to assess the validit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53 people who had information on body shape, personality, and symptoms among the data establish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짧은 시간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KS-15의 문항을 축소하고 타당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에 기존 KS-15 문항 검토와 전문가 논의를 통해 10문항으로 구성된 KS-10 을 구성하고, 사전에 준비한 Test group에 적용함으로 써 정확예측률을 확인하였다.
  • 이로써 유추해 볼 때, 전문가의 체질진단 과정을 지면화한 설문지 역시 보다 적은 정보, 즉 적은 문항수를 가지고도 일정 수준 이상의 체질진단 예측률을 보일 수 있을 것이라 고 예측해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KS-15의 문항을 더욱 축소하고 그 타당 도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질진단의 특징은 ? 사상의학에 있어 체질진단은 환자의 건강상태 평 가와 병증진단은 물론이고 치료, 예후평가 및 건강관 리 등 의료의 전 과정에 있어 필수적으로 전제되어야 한다1 . 이와 같은 체질진단의 중요성 때문에 객관적 이고 정량적인 체질진단 도구 개발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며, 설문을 이용한 체질진단은 가장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연구가 지속되어 온 분야 중 하나이다2 .
체질진단의 특징은 ? 사상의학에 있어 체질진단은 환자의 건강상태 평 가와 병증진단은 물론이고 치료, 예후평가 및 건강관 리 등 의료의 전 과정에 있어 필수적으로 전제되어야 한다1 . 이와 같은 체질진단의 중요성 때문에 객관적 이고 정량적인 체질진단 도구 개발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며, 설문을 이용한 체질진단은 가장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연구가 지속되어 온 분야 중 하나이다2 .
가치중립적 내용을 검토하기 위해 반려된 항목 중 하나는 ? KS-15의 문항 축소를 위한 다음 단계로는 통계적 방법을 적용하기 이전에 문항들이 응답 편향을 가져 오지 않도록 가치중립적 내용인지를 검토하고 그렇 지 않은 문항은 먼저 제외하도록 하였다. 성격 문항 중 “남성적인 편인가요? 여성적인 편인가요?”는 ‘남 성성’과 ‘여성성’이라는 사회적 성, 즉 젠더를 묻는 질문으로 해석될 수 있는데, 사회적 성은 생물학적으 로 고정화된 것이 아니라 사회와 문화, 개인에 따라 바뀔 수 있는 개념18으로 타고난 체질을 판단하는 데 적합하지 않으며 젠더 중립적이지 않은 문항으로 판 단되어 제외하였다. 또한 성격 문항 중 “가끔 흥분하 는 편인가요? 이성적인 편인가요?”는 ‘감정적’과 ‘이 성적 혹은 논리적’으로 요약되어 한 쪽 답변이 부정적 인 내용으로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제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H Kim, ES Jang, BH Koh. The Methodological Review on the Accuracy Study of Questionnaire for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J Sasang Constitut Med. 2012; 24(3):1-16. (Korean) 

  2. S Lee, ES Jang, J Lee, JY Kim. Current researches on the methods of diagnosing sasang constitution: an overview.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09; 6(S1):43-49. 

  3. BH Koh, IB Song. Study for pattern identification methodology of Sasang constitution. J Korean Med. 1987; 8(1):146-60. (Korean) 

  4. SH Kim, BH Koh, IB Song. A Validation Study of Questionnaire of Sasang Constitutional Classification (QSCC). J Sasang Constitut Med. 1993;5(1):67-85. (Korean) 

  5. SH Kim SH, BH Koh, IB Song.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QSCCII (Questionnai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 J Sasang Constitut Med. 1995;7(1):187-246. (Korean) 

  6. SB Kim SB, JH Lee, GS Park, YJ Jeong, SK Lee, IB Song. A Study on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based on of revised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 (QSCCII+). J Sasang Constitut Med. 2001;13(3):15-22. (Korean) 

  7. JH Yoo, JW Kim, KK Kim, JY Kim, BH Koh, EJ Lee. Sasangin diagnosis questionnaire: test of reliability. J Altern Complement Med. 2007;13(1): 111-22. 

  8. YK Sul, SH Jeon, SD Kwon, H Kim, JY Kim, EJ Lee, KK Kim. Importance Analysis of Questionnaire for Doctors and Questionnaire for Patients. J Sasang Constitut Med. 2006;18(3):94-123. (Korean) 

  9. YW Kim, DY Shin, JH Kim, DS Choi, MK Lim, KL Lee, JM Song. A Development of the Two Step Questionnai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TS-QSCD). J Sasang Constitut Med. 2006;18(1):75-90. (Korean) 

  10. KW Kim, SI Jung, MO Choi, KK Kim, EJ Lee, JY Kim et al. Study on golden standard for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05;19(6):1504-1512. (Korean) 

  11. JH Jeong, SH Jeon, YJ Na, SH Kang, SO Dong, S Lee et al. A Study about a Short-form of the Sasang Constitution Questionnaire for Patient (SSCQ-P). J Sasang Constitut Med. 2014;26(4):339-349. (Korean) 

  12. YH Baek, ES Jang, KH Park, JH Yoo, HJ Jin, S Le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KS-15 (Korea Sasang Constitutional Diagnostic Questionnaire) Based on Body Shape, Temperament and Symptoms. J Sasang Constitut Med. 2015;27(2):211-221. (Korean) 

  13. Whang W. Medical Decision-Making. In: Gellman M.D., Turner J.R. (eds) Encyclopedia of Behavioral Medicine. Springer, New York, NY. 2013. DOI: https://doi.org/10.1007/978-1-4419-1005-9_1295 

  14. Frank Kee, John Jenkins, Seana McIlwaine, Chris Patterson, Sloan Harper and Michael Shields. Fast and Frugal Models of Clinical Judgment in Novice and Expert Physicians. Med Decis Making 2003;23:293-300. 

  15. Julian N. Marewski, Gerd Gigerenzer. Heuristic decision making in medicine. Dialogues in Clinical Neuroscience 2012;14(1):77-89. 

  16. HJ Jin, Y Baek, HS Kim, J Ryu, S Lee. Constitutional multicenter bank linked to Sasang constitutional phenotypic data.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5;15:46. 

  17. YH Baek, S Lee. Development of Korean Medicine Data Center(KDC) Teaching Dataset to Enhance Utilization of KDC. J Sasang Constitut Med. 2017;29(3):242-247. (Korean) 

  18. KH Ma, HY Moon, SY Cho, R Kim. Hegemonic Masculinity and Changing Lives of Men. 1st ed.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7:23. 

  19. ES Jang. A Development of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Program based on Characteristics of Body Shape, Face, Physiological Symptom and Personality. Wonkwang Univ. Ph.D. thesis. 2010. (Korean) 

  20. SJ Lee, MG Kim, H Chae. Multi-facet Analysis on Validity of Sasang Type Diagnostic Test. J Korean Med. 2008;29(1):7-14. (Korean) 

  21. KJ Choi, YS Choi, JH Cha, MW Hwang, SK Lee, Koh BH et al.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of the QSCC II + (Revised Questionnai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J Sasang Constitut Med. 2006;18(1):62-74. (Korean) 

  22. JH Do, ES Jang, BC Ku, JS Jang, HG Kim, JY Kim.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method using face, body shape, voice, and questionnaire information.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2;12:85. 

  23. SH Kim. Diagnostic Accuracy of the Questionnaire for Sasang Constitution in Korean Adult Population: Systematic Review. Kyunghee Univ. Ph.D. thesis. 2012.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