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의료센터 감염예방을 위한 동선분리를 고려한 평면계획 연구
Infection Control through Emergency Room Layout 원문보기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6 no.1, 2020년, pp.7 - 15  

김중기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Uijeongbu St Mary's Hospital) ,  서현보 (Department of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Emergency room(ER) is the first place to enter a hospital where patients who might have been infected with contagious disease. Therefore, ER should be designed with infection control in mind. Researchers examined hospital ER layouts to identify layout design that support infection control. ...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국내의 권역응급의료센터와 해외의 사례에서 연구진이 도면을 확보할 수 있는 사례를 분석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그 개선 방향을 조사하였다. 국내사례 병원 네 곳의 도면을 환자의 동선을 감염 위험과 관련하여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응급의료시설에서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인가? 과거에도 그래 왔고 현재에도 응급의료시설에서 가장 큰 문제는 응급실의 과밀화이다. 응급실의 과밀화는 환자의 증가, 비응급환자의 증가, 의료진 부족, 병동 부족, 검사지연 등의 어려가지 요인들이 있는데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응급실 운영측면, 응급의료수가 조정, 응급의료법 개정 등의 대책들이 논의되어 왔으나 감염에 대한 응급실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김중기(2016)와 강지은(2019)의 연구를 제외하고는 찾아보기 힘들다.
병원 A 응급의료센터의 감염환자 공간 및 동선도에서 감염병의사환자의 동선이 교차되고 있는 곳은 어디인가? 병원 A 응급의료센터의 공간구성과 환자 및 의료진 동선 분석 과정을 통해 감염환자 공간 및 동선도[Figure 6]를 작성하였다. 감염환자 공간 및 동선도를 보면 환자분류구역, 응급 구역, 진단검사구역에서 감염병의사환자의 동선이 교차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선 사례에서 본 것처럼, 예를 들어, 응급 구역을 둘러싸는 동선이 초진 및 응급구역이 별도로 접근이 가능한 계획이 필요하나 단일의 중심 동선에서 각 구역으로 분리되어 나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응급실의 과밀화가 일어나는 원인은 무엇인가? 과거에도 그래 왔고 현재에도 응급의료시설에서 가장 큰 문제는 응급실의 과밀화이다. 응급실의 과밀화는 환자의 증가, 비응급환자의 증가, 의료진 부족, 병동 부족, 검사지연 등의 어려가지 요인들이 있는데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응급실 운영측면, 응급의료수가 조정, 응급의료법 개정 등의 대책들이 논의되어 왔으나 감염에 대한 응급실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김중기(2016)와 강지은(2019)의 연구를 제외하고는 찾아보기 힘들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i, C. H., Park, J. S. (2008)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Spatial Organization Feature in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14(2) 25-34 

  2. Facility Guidelines Institute, (2014), Guidelines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Hospitals and Outpatient Facilities 

  3. Ghang, J. E., Kwon, S. J. (2019) A Study on the Guideline of Spatial Composition and Circulation in Triages and Entrances Area in Emergency Departments for Efficient Infection Control.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25(1)41-49 

  4. Gwon, J. E., Shin. J. U. (2014) A Study on spatial configuration and circulation system of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 - Focusing on Emergency Center of the Gyeongsang region Fall Proceedings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4(2) 147-148 

  5. Gwon, Y. T., Noh, J. H. (2012)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Plan Type and Area Composition in Medical Emergency Center.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18(2) 55-64 

  6. Lee, H. J. (2014) A Spatial Syntax Study on Spatial Organization of Regional Emergency Center,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Design, Kookmin University. 

  7. Lee, H. R., (1994), Emgergency Triage and Trauma Scoring, The Korean Nurse, 33(1), pp32-36 

  8. Lee, T. G. (1995) A Study on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and the Optimum Scale of the Emergency Center in General Hospital.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1(1) 21-32 

  9. Korean Institute of Hospital Management, 2015, Monthly Brief September 

  10. Kim, J. G. (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acilities Standard for Infection Prevention in Emergency Medical Center: Focusing on the triage in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Master's thesis, College of Urban Sciences, University of Seoul 

  11. Morse SS. Factors in the emergence of infectious disease. Emerg Infect Dis. 1995; 1:7-15. 

  12.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11) Emergency Medicine, Gunja publishing. 

  13. The Korean Society of Infectious Disease, (2014) Infection, Gunja publishing. 

  14. The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Manual for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 Control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