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한 나트륨 섭취량과 열량 대비 나트륨 섭취량에 대한 코호트 분석
A Cohort Analysis on Sodium and Sodium-calorie Intake with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3 no.1, 2020년, pp.98 - 104  

양성범 (단국대학교 환경자원경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ohort, age, and time effects on sodium and sodium-calorie intake using the 2007~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For analysis, we have constructed cohort panel data that combine KNHANES data in a time series. The age 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나트륨 섭취 행태를 연령, 성별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이외에 세대 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때 나트륨 섭취량 외에 열량 대비 나트륨 섭취량을 분석함으로써 식사량에 따른 편의(bias)를 줄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정보 전달, 교육 및 홍보 전략을 수립함에 도움을 주기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07년~2017년)를 이용하여 나트륨 섭취량과 열량 대비 나트륨 섭취량을 연령, 성별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이외에 세대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나트륨 섭취 행태를 연령, 성별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이외에 세대 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때 나트륨 섭취량 외에 열량 대비 나트륨 섭취량을 분석함으로써 식사량에 따른 편의(bias)를 줄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정보 전달, 교육 및 홍보 전략을 수립함에 도움을 주어 정부의 정책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인 1일 나트륨 섭취량의 연도별 변화는? 우리 국민의 1일 나트륨 섭취량은 2010년 4,831 mg, 2012년 4,583 mg, 2014년 3,755 mg, 2016년 3,339 mg, 2018년 3,274 mg으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KCDC 2020). 이는 국민의 나트륨 고섭취에 대한 위험 인식, 정부 정책 수립 및 시행, 소비자단체 등의 다양한 노력에 기인한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나트륨 섭취량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여성보다 남성이,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미혼보다는 기혼이, 외식횟수가 많을수록, 월평균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나트륨 섭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Han 등(2018)의 나트륨 고섭취자의 특성 및 섭취 영향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와 유사하다.
우리 국민의 1일 나트륨 섭취량이 꾸준히 감소한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 국민의 1일 나트륨 섭취량은 2010년 4,831 mg, 2012년 4,583 mg, 2014년 3,755 mg, 2016년 3,339 mg, 2018년 3,274 mg으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KCDC 2020). 이는 국민의 나트륨 고섭취에 대한 위험 인식, 정부 정책 수립 및 시행, 소비자단체 등의 다양한 노력에 기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량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의 권고량인 2,000 mg보다 높은 수준이다 (WHO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ristrei D, Perali F, Pieroni L. 2008. Cohort, age and time effects in alcohol consumption by Italian households: A double-hurdle approach. Empir Econ 35:29-61 

  2. Bae YJ, No SE, Seo JH, Son JH, Lee MJ, Jung DW. 2015. Study on sodium-related dietary attitude, behaviors according to practice of dietary guidelines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Nutr 28:376-386 

  3. Blisard N. 2001. Income and Food Expenditure Decomposed by Cohort, Age, and Time Effects. Economic Research Servive. USDA 

  4. Chung EJ, Shim EG. 2008.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sodium intakes of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578-588 

  5. Deaton A. 1997. The Analysis of Household Surveys: A Microeconomic Approach to Development Policy. The John Hopkins Univ. Press 

  6. Drescher LS, Roosen J. 2013. A cohort analysis of food-at-home and food-away-from-home expenditures in Germany. Ger J Agric Econ 62:39-51 

  7. Han B, Kim JY, Yang SB. 2018. An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high sodium intaker and affecting factors. Korean J Food Nutr 31:395-399 

  8. Jang JH, Jang MS, Cho KY. 2012. Investigation of safety children's favorite foods in the school zone. Korean J Food Nutr 25:398-406 

  9. Kang DH, Kim SY. 2017. An anlysis of cahnges in food expenditure using generational cohorts data. Korean J Agric Manag and Policy 44:439-468 

  1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CDC]. 2020. Korea Health Statistics 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3) 

  11. Kim SY, Lee KI. 2008. Analyzing the impacts of age, generational and time effects on urban household expenditure for food. Korean J Agric Econ 49:49-71 

  12. Lee EH, Kim KJ, Lee S, Yoo HJ, Cha KW, Lee YA, Lee JY. 2015.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ousehold economic structure between the generation. Consum Policy Educ Rev 11:197-227 

  13. Mori H, Lowe EG, Clason DL, Gorman WD. 2000. Cohort analysis of food consumption: A case of rapidly changing Japanese consumption. Int Food Agribus Manag Rev 3:189-205 

  14. Oh KS, Hu SJ, Oh JM, Shin YW, Hwang KM, Sohn SH, Kim NH, Shin D, Cho MK, Wang HW, Jeong HY. 2018. A study on the relation of nutrient intake and disease and intake of nutrient among Korean adult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15. Park S, Ahn SH, Kim JN, Kim HK. 2013. Sodium content and nutrients supply from free lunch meals served by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Gyeonggi-do. Korean J Food Nutr 26:459-469 

  16. Park YS, Son SM, Lim WJ, Kim SB, Chung YS. 2008.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intake by gender and age. Korean J Community Nutr 13:1-12 

  17. Seok DS, Yang SB. 2018. A study on introduction of new food labeling for reduction of sodium intake. Korean J Food Nutr 31:143-148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3. WHO issues new guidance on dietary salt and potassium. Available form https://www.who.int/mediacentre/news/notes/2013/salt_potassium_20130131/en/ [cited 3 February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