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따른 잠재집단탐색 및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
Identifying the Latent Group in the Patterns of Academic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ith the Factors Affecting the Group Identifica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 2020년, pp.221 - 235  

이채연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엄정호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강한별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이상민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중심으로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잠재집단구분에 영향을 주는 개인 및 학업성취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잠재계층분석 결과, 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따른 잠재집단은 총 3개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 집단은 '학업스트레스 없는 중간수준 스마트폰 몰입집단'으로 학업 스트레스의 모든 하위영역이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하위영역에서 평균 수준의 수치를 나타냈다. 두 번째 집단은 '중간수준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몰입집단'으로 학업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상대적으로 평균보다 약간 높은 점수를 보였다. 세 번째 집단은 '중간수준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비몰입집단'으로 학업스트레스의 하위영역에서 평균보다는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은 다른 집단보다 월등히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잠재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성별과 학년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두가지 다른 요소라고 볼 수 있는 학업 관련 변인인 학업 스트레스와 정신보건 관련 변인인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융합적으로 연관시켜 분석을 통해 집단의 특성을 분류하고 차별적 개입을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d the latent groups according to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latent group identification. The best-fitting LCA solution had three classes. The first group was 'non-academic stressed group, immersed in smartphone' It was characterized low s...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적응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는 학업 스트레스 정도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사이의 관계 양상에 따른 잠재 집단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교육과 정신보건 분야에서 각각 중요하게 다뤄지는 학업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함께 연구함으로써 서로 다른 두 학문 분야에서의 융합적 함의를 도출해내고자 한다.
  • 그러나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우려가 만연하고, ‘스마트폰 중독’이라는 용어가 일상적 으로 쓰임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과몰입 현상은 아직 정신의학 분야에서는 중독으로 인정되지 않아 정신병리로 진단되고 있지 않다[3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연구의 주제로 삼고자 한다.
  • 또한 개인 및 학업 요인들이 잠재집단의 분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대학 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초점에 맞추어,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적응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는 학업 스트레스 정도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사이의 관계 양상에 따른 잠재 집단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교육과 정신보건 분야에서 각각 중요하게 다뤄지는 학업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함께 연구함으로써 서로 다른 두 학문 분야에서의 융합적 함의를 도출해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중심으로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잠재집단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집단의 주요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은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과는 달리, 본 연구와 같이 종속변수의 범주가 3개 이상일 때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어떠한 요인들이 확인된 잠재계층 유형을 구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잠재계층을 구분하는 변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출석점수와 학업성적을 학업 변인으로 선정하였 다. 학업 변인은 출석점수(30점 만점, 범위: 2-30점)와 학업성적(70점 만점, 범위: 26.
  •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간의 관계에 따른 잠재계층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에서는 잠재계층의 수를 2개에서 4개까지 하나씩 증가시켜 정보지수와 분류의 질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 이를 통해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양상에 따른 개입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의 개념적 틀을 수정‧보완하고 스마트폰 중독의 실질적인 개입 방법의 개발에 있어 보다 복합적인 접근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스마트폰을 보다 건강하게 사용하기 위한 예방 교육을 마련하는 발판으로써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따른 잠재계층 유형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요인은 성별과 학년을, 학업 요인은 출석과 성적을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양상에 따른 개입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의 개념적 틀을 수정‧보완하고 스마트폰 중독의 실질적인 개입 방법의 개발에 있어 보다 복합적인 접근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즉,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이 모두 높은 유형의 집단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나아가 이러한 유형의 집단이 정말 학업저하의 문제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유형과 패턴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잠재 계층분석을 통해 탐색하고, 분석을 통해 확인된 잠재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확인된 각 잠재 집단에 대한 개입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Wilks[46]는 학업스트레스를 “개인이 이용할 수 있는 적응적 자원을 초과하여 부과되는 학업 관련 요구의 산물” 이라 정의했고, 박병기와 박선미[47]는 “성적, 수업, 공부등 학업과 관련된 일로 부모, 교사, 자기 스스로의 압력에 의해 학생들이 고민하고 괴로워하는 것과 같은 심리상태의 불균형”으로 보았다. 이와 같은 학업스트레스의 정의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학업 스트레스를 부모, 교사, 자신과 같은 원천으로부터 성적, 수업, 공부에 대한 압력이 주어질 때 자신이 가진 자원을 초과하여 압력이 부과되 었다는 압박감에 부정적인 정서가 초래되는 것으로 정의 하고자 한다.
  • 기존의 연구들은 대학 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초점에 맞추어,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와 차별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그에 대한 대처양상인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유형화를 바탕으로 그 관계양상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 과다 사용으로 인한 역기능은 무엇인가? 이러한 스마트폰의 실용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편리 성이 불러온 스마트폰 과다 사용은 업무나 학업에 방해가 됨은 물론 다양한 역기능적 문제를 확대 재생산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1,4-7]. 이러한 역기 능적 문제는 불면증, 시력저하 목, 손목, 손가락 이상 등의 신체 건강상 문제에서부터 우울, 불안, 분노증상과 같은 정신건강 문제를 유발하며, 나아가 집중력과 같은 인지기능을 떨어뜨려 학교생활과 사회생활에서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8-14].
스마트폰 중독이란 무엇인가? 스마트폰 중독은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몰입한 나머지 스스로를 제어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는 것이다[9]. 이는 스마트폰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스마트폰 이용이 습관으로 굳어지고 사용량을 점점 조절할 수 없게 되며, 이에 따라 스마트폰 이용에 대한 자각 증상 없이 점점 더 많이 사용하게 된다는 다른 선행 연구와 맥을 같이 하는 정의이다[35,36].
스마트폰 의존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대학생들의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은 진로 및 학업 관련 스트레스이며 사회적 통념과 달리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수준이 중·고등학생들보다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8]. 스마트폰은 앞서 언급했듯이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과 게임 등의 오락을 즐길 수 있는 편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스트레스로 인한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의존이 증가하여 최근에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1]. 선행연구에 의하면 대학생들이 스트레스를 받을때 스마트폰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이용하여 사회적 지지를 추구하고 게임, 동영상 시청, 음악 감상 등을 통해 스마트폰을 정서적 대처의 도구로 사용하고 있는데 스마트폰을 활용한 스트레스 대처는 스마트폰 사용을 증가하게 하여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 불안하게 하고, 집중 곤란으로 인한 학업 저하, 문제회피 성향을 증가시키는 부작용을 낳는다고 보고 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8)

  1. J. H. Choi. (2017). The impacts of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stress on smartphone overdependence-the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symptom.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15(2), 65-73. 

  2. KT Economic Management Rsearch Institute. (2017). 2017 Mobile Trend Outlook, DIGIECO [Online]http://www.digieco.co.kr/KTFront/board/board_view.action?board_seq11371&board_idissue_trend 

  3. KT Economic Management Rsearch Institute. (2016). 2016 First-half Mobile Trend Outlook, DIGIECO [Online]. http://www.digieco.co.kr/KTFront/board/board_view.action?board_seq11047&board_idissue_trend 

  4. N. S. Kim & K. E. Lee. (2012). Effects of self-control and life stress on smart phone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37(2), 72-83. 

  5. M. Y. Sim. D. H. Lee & E. H. Kim. (2016). A Study on Influential Relations betwee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5), 227-236. DOI : 10.5762/KAIS.2016.17.5.227 

  6. A. L. J. Lepp,, J. E. Barkley & S. Salehi-Esfahani. (2015). Explo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lege students' cell phone use, personality and leisur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43, 210-219. DOI : 10.1016/j.chb.2014.11.006 

  7. M. Samaha & N. S. Hawi. (2016).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addiction, stress, academ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lif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7, 321-325. 

  8. H. R. Kwon, S. E. Park & D. S. Park.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in college life, vulnerability to depression, and smartphone overuse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ublic health.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17(3), 87-100. DOI : 10.14408/KJEMS.2013.17.3.087 

  9. Y. M. Park. (2011). A Study on Adults' Smart Phon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Master's dissertation, Sangji University, Wonju. 

  10. J. H. Suh. (2012).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personal, parental, peer, and smart-phone usage motivation with Smart-phone addiction in high-school students. Master's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1. J. A. An. (2016). A Study on the Smart phone Use Behavior and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ed on Effect of Depression, Impulsiv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 Campus Life.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6(4), 128-162. DOI : 10.14696/jcs.2016.12.16.4.128 

  12. S. H. Jang & K. D. Cho. (2010). Effects of Depression Scale, Interaction Anxiety and School Adjustment on Cellular Phone Addiction of Teenager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11), 285-293. DOI : 10.5392/jkca.2010.10.11.285 

  13. J. O. Choi. (2015). The Impa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Academic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Impairment &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 Environment, 13(2), 43-54. 

  14. H. S. Choi. H. K. Lee & J. C. Ha. (2012).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campus life and personal relations -Focusing on K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5), 1005-1015. DOI : /10.7465/jkdi.2012.23.5.1005 

  15. E. A. Ma & E. J. Son. (2014).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need thwarting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Korean Journal of ounseling, 15(5), 2035-2051. 

  16. B. R. Lee. M. A. Kim & K. H. Lee. (2005). The Effect of Extraversion on Adjustment to College -Mediated by Social Support.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1), 99-112. 

  17.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6). Statistical yea rbook of education, Chungcheongbuk-DO :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8. Statistics Korea. (2016). 2015 Youth Statistics. Daejeon : Statistics Korea. 

  19. Y. M. Shin. (2012). (The) Relationships between Smartphone Usage Motivation and Utilization Degree and Smartphone Overuse. Master's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Yongin. 

  20. X. P. Shen & D. Y. Kim. (2013) Motives and Usage Types of Smartphone Applications among University Students. Locality & Communication, 17(4), 149-175. 

  21. H. J. Shim. Y. C. Kim. H. Y. Shon & J. Y. Lim. (2011). An Exploratory Usage Pattern Research of Smartphone and Social Media User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 Gender and Age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Usage Pattern.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5(4), 82-138. 

  22. H. K. Lee. (2008). Exploration the Predicting Variables Affecting the Addictive Mobile Phone Use. The Korean Journal Of So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2(1), 144-157. 

  23. J. Y. Kang. (2012). The effect of stress and the way of stress coping, impulsivity of employees on smart-phone addiction. Master's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24. H. S. Lee & S. Y. Bae. (2017). Influence of Stress, Self Factor and Emotional Factor on Smartphone Addiction Level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5), 326-336. DOI : 10.5392/JKCA.2017.17.05.326 

  25. B. G. Kang & H. J. Shin. (2014).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ffecting mobile phone addiction in adolescence: with a special focus on the comparison by gender.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8), 213-241. 

  26. D. Y. Kim & H. J. Yang. (2014). The effects of ecological factors on the trajectory of cellular phone dependency during the middle school years. Studies on Korean Youth, 25 (3), 169-197. DOI : 10.14816/sky.2014.08.74.169 

  27. S. Y. Kim & S. H. Hong. (2014). Estimating adolescent's changes in mobile phone dependence: Testing for the effects of ecological factors on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hanges. Studies on Korean Youth, 25(3), 101-123. DOI : 10.14816/sky.2014.08.74.101 

  28. H. S. Kim & Y. J. Choi. (2015). The Gender Difference in Predictors of Mobile Phone Dependency in Youth.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5), 340-352. DOI : 10.5392/JKCA.2015.15.05.340 

  29. D. S. Moon & E. S. Choi. (2015). The effect of parental rearing attitudes on smart 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Graduate School of Counselling Psychology Master's Degree dissertation. 

  30. E. M. Choi & M. S. Kim. (2016). The effect of Motivational Interview Oriented and Cognitive Behavioral Group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with Smartphone Addiction.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7(3), 169-185. DOI : 10.15703/kjc.17.3.201606.169 

  31. Y. S. Hwang & N. S. Park. (2011). Predictors of Adolescents' Mobile Phone Addiction and Parents' and Teachers' Role,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udies, 25(5), 309-348. 

  32. B. H. Kim, Y. J. Ann, M. Y. Jung, J. Y. Cha & K. W. Choi. (2004).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Level of Stress and Effects of Stress by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Ewha Institute of Nursing, 38, 76-89. 

  33. S. G. Park, D. L. Kim, L. N. Kim, & K. W. Han. (2011). Study on job seeking stress in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11, 61-66. 

  34. I. G. Seo. Y. S. Lee & T. G. Seo (2015).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 Focusing on Smart Phone Users. Health & Welfare 17, 7-19. DOI : 10.23948/kshw.2015.12.17.7 

  35. J. L. Han & G. H. Hur. (2004).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Mobile Phone Addiction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8(6), 138-165. 

  36. W. K. Park (2003). The Mobile Phone Addict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7(2), 250-281. 

  37. G. Y. Cho & Y. H. Kim. (2014).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3), 1632-1640. DOI : 10.5762/kais.2014.15.3.1632 

  38. National Imformation Society Angency. (2011). Development of Smartphone Addiction Scale, Seoul : National Imformation Society Angency. Mobile Application, Privacy Concern, and Mobile Ad Avoidance.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5(6), 105-133. DOI : 10.14377/kja.2014.8.31.105 

  3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R)). American Psychiatric Pub. 

  40. M. S. Kim. (2015). The Subjective Well-being of Korean Children and Its Policy Implications. Health.Wellfare:Policyforum, (2), 14-26. 

  41. J. Y. Nam. (2016). The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Academic Stress. Master's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2. Y. B. Kwon & M. S. Moon. (2012).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Academic Counseling Program.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2(3), 23-41. 

  43. M. K. Kim. (2008). The Effects of the Study Stress-Coping Training Program on Study Stress,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44. J. H. Kim & K. S. Lee. (2000). The Effects of Study Stress Coping Training Program on the Reduction of Study Stres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5(1), 43-5 

  45. H. S. Son (2014).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Academic Stress: Depression & Smart-Phone Addiction. Master's dissertation, Andong University, Andon. 

  46. S. E. Wilks. (2008). Resilience amid academic stress: The moderating impact of social support among social work students. Advances in social work, 9(2), 106-125. DIO : 10.18060/51 

  47. B. G. Bak & S. M. Park.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cademic Stress Scale.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Psychology, 26(2), 563-585. 

  48. S. J. Lee & J. H. Yu. (2008).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Academic and Career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Psychology, 22(3), 589-607. 

  49. M. S. Song. (2016).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Stressors with Q Methodology. Doctoral dissertation. Jeonbuk University. 

  50. C. M. Jang. (2010). A Study on Application of Mentoring to College, Journal of Women's Studies, 25, 183-202. 

  51. K. H. Kim. (2015).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Undergraduates' Smart Phone Addiction and Sociality in an IT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19(7), 1671-1679. DOI : 10.6109/jkiice.2015.19.7.1671 

  52. J. Y. Yoon. J. S. Moon. M. J. Kim. Y. J. Kim. H. A. Kim. B. L. Huh & H. J. Hong. (2011). Smart Phone Addiction and Health problem in University Student. The Korean Association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3(2), 92-104. 

  53. S. J. Kang. (2014). A study on the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smartphone use pattern, the stress, self-control and family communication of college students in Ulsan city. Master's dissertation, Ulsan University, Ulsan. 

  54. S. H. Kim & Y. N. Choi. (2017).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in healthcare related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7(1), 27-37. DOI : 10.13065/jksdh.2017.17.01.27 

  55. C. K. Enders & D. L. Bandalos. (2001). The relative performance of 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missing data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8(3), 430-457. 

  56. D. I. Kim et al. (2012). Development of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s: Self-report.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3(2), 629-644. 

  57. D. H. Jang & S. K. Cho. (2017). Is the Mid-point of a Likert-type Scale Necessary? : Comparison between the Scales With or Without the Mid-point.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18(4), 1-24. DOI : 10.20997/SR.18.4.1 

  58. L. M. Collins & S. T. Lanza. (2010). Latent class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ith applications in the social, behavioral, and health sciences.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8(3), 449-450. 

  59. K. L. Nylund, T. Asparouhov & B. O. Muthen. (2007). Deciding on the number of classes in latent class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4(4), 535-569. 

  60. H. Akaike. (1987). Factor analysis and AIC. In Selected Papers of Hirotugu Akaike (pp. 371-386). Springer, New York, NY.. 

  61. G. Schwarz. (1978). Estimating the dimension of a model. The annals of statistics, 6(2), 461-464. 

  62. S. L. Sclove. (1987). Application of model-selection criteria to some problems in multivariate analysis. Psychometrika, 52(3), 333-343. 

  63. Y. Lo, N. R. Mendell & D. B. Rubin. (2001). Test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n a normal mixture. Biometrika, 88(3), 767-778. 

  64. Y. Lo, N. R. Mendell & D. B. Rubin. (2001). Test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n a normal mixture. Biometrika, 88(3), 767-778. 

  65. H. Y. Kim. (2016). Study on influence of adolescents' stress, depression factors upon smart-phone game addiction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in control of time. Master's dissertation, Joongang University, Seoul. 

  66. A. Bianchi & J. G. Phillips. (2005). Psychological predictors of problem mobile phone use. CyberPsychology & Behavior, 8(1), 39-51. 

  67. Y. J. Kwon & E. Y. Na. (2017) The Influence of Parent Communication on Smartphone Dependency in Adolescents -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Self-Control.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54(2), 80-113. 

  68. S. B. Park & H. S. Hwang. (2014). An exploratory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n smart phone addiction: Focused on the application use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8(4), 289-311. 

  69. H. J. Jang (2002).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ddictive Using Cellular Phone. Master's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70. H. J. Woo. (2007).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obile Phone Users' Self-Traits on Mobile Phone Addiction - Focusing o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1(2), 391-427. 

  71. S. S. Han & K. S. Oh. (2006). A Study on Cellular Phone Addiction Symptom Dependen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ypes and Using Inclination - Focus on the Case of Undergraduate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udies, 20(4), 371-405. 

  72. S. H. Im, S. J. Kwon, N. R. Aum, M. J. Kim, H. J. Shim & K. H. Kim. (2014). A Pilot Study on Developing Internet and Smartphones Use Index among Adults.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20(2), 549-565. DOI : 10.16881/jss.2014.04.25.2.549 

  73. M. K. Kim. (2014). A Study on Job Preparing Stress and Depression influencing on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12(2), 117-126. 

  74. S. J. Mo. (2014). The Effects of the Stresses on Smart Phone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 Esteem. Mental Health & Social Work 42(3), 5-32. 

  75. J. S. Lee & S. Y. Myung. (2007). A Study of Adolescents Peer Relation and School Life Mal Adjustment According to Their Mobile Phone use and Addictio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5(4), 67-86. 

  76. H. S. Jeon & S. O. Jang. (2014).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epression and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Gender.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8), 103-129. 

  77. H. S. Hwang, S. H. Sohn & Y. J. Choi. (2011). Exploring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Functional Attribute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5(2) : 277-313. 

  78. P. Rautiainen & E. L. Kasesniem. (2000). Mobile communication of children and teenagers: case Finland 1997-2000. In Proceedings of the Workshop on "The social consequences of mobile telephony: the proceedings from a seminar about society, mobile telephony and children", Oslo. 

  79. R. Wei & V. H. Lo. (2006). Staying connected while on the move: Cell phone use and social connectedness. New Media &Society, 8(1), 53-72. 

  80. R. E. Grinter, L. Palen & M. Eldridge. (2006). Chatting with teenagers: Considering the place of chat technologies in teen life. ACM Transactions on Computer-Human Interaction (TOCHI), 13(4), 423-447. 

  81. Y. Wu.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Interaction Anxiousness among College Students in Sweden. 

  82. M. S. Chung. (2014). The Effects of Age and Need for Cognition on Smart Phone Using Behavior : A Study of Smart Phone Dependency, Mobile Application, Privacy Concern, and Mobile Ad Avoidance.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5(6), 105-133. DOI : 10.14377/kja.2014.8.31.105 

  83. J. I. Choi & Y. J. Jang. (2015). Use form by age-based of Smart phones and Necessity of Security.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15(6), 89-97. 

  84. H. S. Lee. & N. R. Kim. (2016). The Relationships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ademic Stress,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Health Administration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0(6), 291-299. DOI : 10.21184/jkeia.2016.12.10.6.291 

  85. S. Akgun & J. Ciarrochi. (2003). Learned resourcefulnes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performance. Educational Psychology, 23(3), 287-294. 

  86. U. C. Kim, Y. S. Park, S. Y. Tak, J. H. Kim & M. S. Oh. (2012). Analysis of the selfconcept in the cyberspace, self-efficacy, relationship with friends, subjective well-being and academic grade: Comparison of adolescents who are addicted to Internet to non-addicted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9, 285-318. 

  87. S. J. Lee & H. J. Moon. (2013). Effects of Self-Control,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n Smart-phone Addic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Korea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22(6), 587-598. DOI : 10.5934/kjhe.2013.22.6.587 

  88. H. J. Han. (2015).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and physical health in college students :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friendship. Doctoral dissertation. Daegu Catholic University, Daeg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