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해·인조 연간의 해인사 수다라장과 법보전 상량문 연구
A Study on the Sangryang-muns of Sudara-jang and Beopbo-jeon at H aein-sa in the Years of King Gwanghae and King Injo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9 no.1, 2020년, pp.65 - 76  

서치상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ttempts to study on the substantial characters of the sangryang-muns written for the constructions of Sudara-jang and Beopbo-jeon at Haein-sa in the years of king Gwanghae and king Injo. On that basis, it also attempts to declare the first time that the Buddhist Order firstly used long s...

주제어

표/그림 (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해 인조연간의 해인사 수다라장과 법 보전 상량문이 후대 상량문에 미친 영향은? 먼저 불교계에서 선례가 없던 ‘긴 상량문’이 임진왜란 직후 왕실이 지원한 원당사찰 조영 때 처음 사용된 점이다. 아울러서 조영불사 때 시주자 등의 이름을 적던 관례에 따라 신, 구 두 형식을 조합한 상량문이 만들어지고, 이로부터 후대의 상량문 유형들로 발전되었다는 점이다.
수다라장(1622)의 2건 중의 1건은 무엇인가? 수다라장(1622)의 2건 중의 1건은 불교계가 오래 전부터 입주, 상량, 단청 등 주요 공정 때 공사일자, 원문, 관계자이름을 부재에 적는 발원문이다. 다른 1건은 기문 장처 넣어둔 한지 묵서로, 궁실건축에 사용하던 ‘긴 상 량문’이다.
광해․인조연간의 상량문에 담긴 정보는? 이 글도 세조 때부터의 공사 추진과정을 개략적으로 간추린 것이다. 반면에 광해․인조연간의 상량문은 상량일자를 비롯해서 발원자인 왕실인물들의 면면과 공사 배경 등 여러 정보가 담겨져 있다. 특히 ‘긴 상량문’3) 2건은 불교건축에 처음 사용된 것으로, 최초 도입시점을 알게 해 줄 뿐 아니라 이후 불교계 특유의 상량문 유형으로 발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고고미술동인회, 한국고건물상량기문집, 1964 

  2. 한국미술사학회, 고고미술 상, 하권, 통문관, 1979 

  3. 문화부 문화재관리국, 상량문집 - 보수시 발견된 상량문, 1991 

  4. 한국불교연구원, 한국의 사찰 7, 해인사, 일지사, 1975 

  5. 한국불교연구원, 한국의 사찰 8, 화엄사, 일지사, 1976 

  6. 해인사.문화재청, 해인사 장경판전 실측조사보고서, 2002 

  7. 문화재청, 화엄사 각황전 실측조사보고서, 2009 

  8. 수원시사편찬위원회, 수원시사 부록 , 1999 

  9. 한국학문헌연구소, 조계산송광사사고, 아세아문화사, 1983 

  10. 이지관, 가야산 해인사지, 가야문고, 1991 

  11. 문화재관리국, 영주 부석사 보수정화 준공보고서, 1980 

  12. 부산광역시.금정구청, 범어사 대웅전 수리공사 보고서, 2004 

  13. 대한불교조계종 범어사, 범어사 보제루 해체 및 중창공사보고서, 2011 

  14. 대한불교조계종 범어사.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범어사 삼층석탑 주변정비(비로전) 수리보고서, 2014. 8 

  15. 대한불교조계종 장안사, 장안사 정비기본계획, 2013.1 11 

  16. 광해군일기 

  17. (http://www.itkc.or.kr/) 

  18. 이능화, 조선불교통사, 상권, 보련각, 1981 

  19. 박용숙, 조선조 후기의 승역에 관한 고찰, 논문집, 부산대학교, 1981 

  20. 서치상, 고려시대 궁실건축 상량문 연구, 건축역사연구, 25권, 6호, 2016 

  21. 서치상, 여말선초 목조건축 부재 묵서명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27권, 3호,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