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십간십이지의 기원에 관한 문헌적 고찰
The Literature Study about the Origin of Sipgan-Sipiji 원문보기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산업진흥연구, v.5 no.1, 2020년, pp.117 - 124  

나혁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  김기승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음양오행이 배속되어 있는 십간십이지의 기원과 의의에 대하여 고찰해보는 것이다. 십간과 십이지가 고대 중국 역법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라는 가설과 신화적인 기록이라고 할지라도 고전문헌에 기록된 자료의 내용, 고고학적으로 갑골문자에 남겨진 기록 등을 차례로 살펴봄으로써 동양 인문사회과학에서 기필코 간과할 수 없는 십간십이지에 대한 시작점을 탐색해 나가고자 하였다. 십간십이지의 문헌적 고찰을 통해 이 부호체계는 신석기 후기 부계 씨족사회를 이끌던 황제와 그의 스승 대요에 의해 완성되었을 것이라고 본 연구자는 생각한다. 그 이유는 제순시대에 남겨진 고대 천상대 유물이 십간과 연관된 10월력의 사용을 뒷받침하고, 갑골문에 나타난 십간이 신성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역법에 사용되었음을 볼 때 시간을 기록화하고자 하였던 역법의 시대와 그 궤를 같이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명리학에 대한 이론체계의 논리성 담보, 그리고 통계적 사회과학 기법을 통한 증명 등 부단한 연구 노력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그 근간이 되는 십간십이지에 대한 이 문헌적 고찰이 향후 관련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origin and significance of Sipgan-Sipiji that Yinyang and five elements are assigned. By looking at the hypotheses that Sipgan-Sipiji may have originated from the ancient Chinese calendar, the contents of the materials recorded in the classical literat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동양의 고대 역법과 사회 전반에 녹아있는 십간십이지의 기원과 의의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십간과 십이지가 중국 상고시대부터 10월력 및 12월력에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이유 있는 가설을 제시해 보았고, 고전문헌에 남아 있는 십간십이지의 기원에 관한 기록 들을 정리함과 동시에 갑골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은나라 시대의 십간십이지 사용 모습을 재고해 봄으로써 그 기원에 대한 소결에 도달해 보았다. 그리고 십간십이지가 상하 조합으로 육십갑자를 이루고 한대에 이르러 음양오행과 결합하면서 역학과 명리학에 사용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논쟁 중에서 논자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왔던 역원(曆元)과 역수(易數)의 의의를 간략하나마 검토해 보았다.
  • 이 논문에서는 음양오행이 배속되어 있는 십간십이지의 기원과 의의에 대하여 알아볼 것이다. 십간과 십이지가 고대 중국 역법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라는 가설, 신화적인 기록이라고 할지라도 고전문헌에 기록된 자료의 내용, 고고학적으로 갑골문자에 남겨진 기록 등을 차례 로 살펴봄으로써 동양 인문사회과학에서 절대적으로 간과할 수 없는 십간십이지에 대한 시작점을 탐색해 나갈 것이다.
  • 지금까지 동양의 고대 역법과 사회 전반에 녹아있는 십간십이지의 기원과 의의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십간과 십이지가 중국 상고시대부터 10월력 및 12월력에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이유 있는 가설을 제시해 보았고, 고전문헌에 남아 있는 십간십이지의 기원에 관한 기록 들을 정리함과 동시에 갑골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은나라 시대의 십간십이지 사용 모습을 재고해 봄으로써 그 기원에 대한 소결에 도달해 보았다.

가설 설정

  • 간지 육십갑자(六十甲子)로 세(歲)를 표시하는 경우 60년이 지나면 다시 원점으로 되돌아간다. 간지기년(干 支紀年)의 시작은 천체의 운행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고대인들에게 있어 천문현상이 갖는 중요도를 고려할 때 가장 설득력이 있는 학설이다. 또한 회남자 (淮南子)에는 “天維建元常以寅始起有徙一歲而移十二歲 而大周天終以復始 - 하늘의 건원(建元)은 항상 寅에서 시작하여 1세(歲)씩 움직이고 12세(歲)까지 움직이면 하늘을 한 바퀴 도는 것이 끝이 나고 이내 다시 시작한다.
  •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에 일부 동의하면서 십간과 십이지가 고대 중국 역법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라는 가설 을 세워본다. 중국의 역사 속에서 십간과 십이지가 등장 하는 시기는 황제(黃帝) 시대로 추정되며 고고학적으로 는 갑골문이 기록된 은나라보다는 훨씬 이전이 분명하다.
  • 그들의 생활상은 염황 부족은 평야 지대에서 농경 생활을 하였고 구려 부족은 산림 지대에서 수렵 생활을 하였다. 이런 환경의 차이를 바탕으로 가정해 볼 때 염황 부족은 태양신을 모시고 태양의 길이에 따라 10월력을 사용하며 농사 시기를 맞추었고, 구려 부족은 지역을 자주 이동해 다니고 산림 지대에 생활하였기에 규표를 사용하기보다는 달의 변화를 두고 1년을 구분하는 12월력을 사용하였다는 가설을 세워본다. 이 부족들은 황제(黃帝)와 치우(蚩尤)의 전쟁 시기에 부족 간 세력 다툼이 생기고 정권교체가 발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의 숫자가 왜 10과 12인 지에 대한 가설은 무엇인가?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의 숫자가 왜 10과 12인 지에 대한 가설은 여러 학자들에 의해 논의가 되어왔다. 이은성(1985)은 천간이 10개로 정해진 것은 그 목적이 날짜의 순서를 알려 주기 위한 것이라고 추측하며 음력 1달을 상순, 중순, 하순으로 나누고 각 순을 십간에 배당 하였을 것이라고 보고 10진법의 원인을 손가락 10개에 서 찾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보았으며, 12는 10보다 더 여러 개의 소인수를 가지고 있으므로 십이지가 십간 보다 훨씬 앞서 쓰였을지도 모른다고 하였다. 김만태 (2011)는 사람은 열 손가락과 열 발가락을 가지고 있고 이 때문에 10진법이 만들어진 것이라고 하며 10진법이 가장 먼저 만들어졌고 가장 널리 활용되었다고 하였다.
명리학의 사상체계는? 명리학의 사상체계는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에너지가 인간의 육신(肉身)과 정신(精神)에 깃들어 있고 외부 에너지를 만날 때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피는 것에서 시작된다. 무형의 음양오행은 소프트웨어(software)이 고, 사람의 인체와 세상의 만물은 하드웨어(hardware)에 해당한다.
고대의 동양인들은 그 측정 도구를 만들고 응용하고 발전시킨 그것은 무엇인가? 그중에서 인간에게 셋업된 음양오행의 정보와 현재 의 시점을 운행하고 있는 에너지가 만나며 발생하는 작용과 변화를 어떻게 측정해 낼 수 있는가? 고대의 동양인들은 그 측정 도구를 만들고 응용하고 발전시켜 왔는데 그것이 바로 10개의 천간(天干)과 12개의 지지(地支) 이며 상하가 짝을 이루는 육십갑자(六十甲子)이다. 음양오행이라는 무형의 에너지를 규칙과 논리적 틀에 담아내고자 취용해 쓴 것이 십간십이지와 육십갑자인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기승(2016), 과학명리, 서울: 다산글방. 

  2. 김만태(2011), "민속신앙을 읽는 부호 십간십이지 (十干十二支)에 대한 근원적 고찰", 민족문화연구, (54), 259-302. 

  3. 윤창렬(1987), "간지(干支)와 운기(運氣)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윤창렬(1995),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에 대한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 논문집, 4(2), 1-19. 

  5. 윤창렬(1996), "육십갑자(六十甲子)와 음양오행(陰陽五行)에 관한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 논문집, 5(1), 1-11. 

  6. 이은성(1985), 역법(曆法)의 원리분석(原理分析), 서울: 정음사. 

  7. 전경찬(2007), "간지(干支)와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융합(融合) 및 적용(適用)에 관한 고찰", 동방대학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진위담 著, 이규갑.윤창준.김시연.김준룡 譯(2002), 갑골문도론(甲骨文導論), 서울: 학고방. 

  9. 소 길 著, 김수길.윤상철 譯(1998), 오행대의(五行大義), 서울: 대유학당. 

  10. 심규철(2002), "명리학(命理學)의 연원(淵源)과 이론체계(理論體系)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11. 홍성국(2006), 60갑자(甲子)와 시간 그리고 동양의학, 서울: 초락당. 

  12. 萬民英(1996), 三命通會, 台北: 武陵出版社. 

  13. 徐 升(2011), 淵海子平, 台北: 進源書局. 

  14. 許 愼(1996), 說文解字, 台北: 中華書局出版.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