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농촌 공익형 직불제 상호준수의무 우선순위 결정
Priority Decision of Cross-Compliance of Public-Benefit Direct Payment for Agriculture and Rural Ar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4, 2020년, pp.218 - 225  

채홍기 (경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  김세혁 (부산대학교 생명산업융합연구원) ,  김태균 (경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정부는 공익형 직불제를 통해 농업의 공익적 기능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상호준수의무 세부항목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평가기준을 이용한 정량적 연구방법인 계층화 분석법퍼지 다기준 의사결정법을 이용하여 공익형 직불제 상호준수의무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평가기준은 정책의 효율성, 농가수용성, 실행가능성이고, 평가 대상은 기본형 상호준수의무 후보와 부가형 상호준수의무 후보이다. 조사대상은 사회과학계(16명), 자연과학계(15명), 정책 및 언론단체(13명), 농업인 단체(6명)의 전문가 50명이며, 2019년 7월부터 약 한 달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평가기준의 가중치는 농가수용성, 실행가능성, 정책의 효율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본형 상호준수의무의 우선순위는 PLS 기준준수, 폐비닐 및 농약병 폐기준수, 토양검정실시, 유해물질 허용 기준 준수, 교육이수 항목 등이 높게 평가되었다. 부가형 상호준수의무는 미사용지하수 관정 폐공처리, 농업부산물 공동수거 및 처리, 공동공간 관리 및 청소, 빈집 및 불량시설 정비, 휴경기 녹비작불 재배 및 토양환원 항목 등이 높은 순위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공익형 직불제의 개편과 함께 논의되고 있는 상호준수의무의 우선순위를 정량적인 방법으로 결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공익형 직불제의 상호준수의무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priorities of the cross-compliance items of public-benefit direct payment using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Fuzzy Decision Making Analysis. The valuation criteria are policy efficiency, farm acceptability, and feasibility, and the valuation targets are the basic and add...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익형 직불제는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농정의 틀을 생산성 중심에서 생산·환경의 균형발전으로 전환하고, 상호준수의무(cross-compliance)를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2].
  • 따라서 본 연구는 상호준수의무의 항목을 구성하고, 평가기준을 이용한 방법론인 계층화 분석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과 퍼지 다기준 의사결정법 (Fuzzy Decision Making Analysis; FDMA)을 이용하여 항목의 우선순위를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상호준수의무의 우선순위를 정량적인 방법으로 평가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농가의 저항과 예산 제약이 발생할 경우 정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공익형 직불제와 함께 논의되고 있는 상호 준수의무 항목을 정량적인 방법을 통해 선정하고 적용의 우선순위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선정된 상호준수의무 항목들은 객관적 타당성이 있는 정책안이라고 할 수 있으며, 향후 상호준수의무 정책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상호준수의무 항목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아직 상호준수의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개발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적합한 농업인의 상호준수의무 항목을 구성하고 AHP와 FDMA를 이용하여 상호준수의무 항목의 우선순위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합한 농업인의 상호준수의무 항목을 구성하고 AHP와 FDMA를 이용하여 상호준수의무 항목의 우선순위를 평가한 결과는? 기본형 및 부가형 상호준수의무에서 평가기준의 중요도는 AHP와 FDMA 모두에서 농가수용성과 실행가능성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정책의 효율성은 비교적 낮게 평가되었다. 이는 공익형 직불제가 시행될 때 상호준수의무 도입의 실제 적용가능성을 최우선 과제로 평가한 결과라 볼 수 있다. 기본형·부가형 상호준수의무의 항목 중 AHP와 FDMA 모두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일수록 정책의 우선순위가 높다 할 수 있으며, 실행가능성과 농가수용성이 높게 평가되어, 이와 같은 항목들을 우선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정책의 조기 정착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공익형 직불제 개편의 초기에는 상호준수의무를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들을 중심으로 도입하고, 점차 우선순위가 낮은 항목들로 확대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농업 직불제의 단점 및 한계점은? 1997년 도입된 농업 직불제는 실질 수취가격을 보전하여 농가경영안정에 크게 기여했지만, 쌀 중심의 직불제는 쌀 공급과잉과 타작목과의 형평성 등의 문제점을 드러냈다. 또한, 현행 직불제는 농업의 공익적 기능을 제고하기 위한 농업인의 적극적인 노력을 명시하지 않아 그 역할과 지속성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기존 직불제를 확대·개편하여 쌀 과잉생산을 방지하고 품목 간의 형평성과 농업의 공익적 기능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1].
공익형 직불제의 목적은? 공익형 직불제는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농정의 틀을 생산성 중심에서 생산·환경의 균형발전으로 전환하고, 상호준수의무(cross-compliance)를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2]. 따라서 정부는 기존의 직불제를 기본형과 부가형으로 구분하여 농가의 상호준수의무를 강화하는 형태로 공익형 직불제를 추진하고 있지만[3], 상호준수의무의 세부항목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T. H. Kim, C. H. Yu, M. S. Jung, N. W. Oh, J. Y. Park, Detailed plan for reform of the agricultural direct payment system: Extension reorganization of a public-purpose direct payment,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orea. pp.20-27, 2018. 

  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Public-benefit direct payment system reorganization,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c2018 [cited 2018 December 18], Available From: http://www.mafra.go.kr/2019plan/1727/subview.do (accessed Nov. 12, 2019) 

  3. T. G. Kim, K. S. Chae, J. Y. Heo, A Study on the Detailed Implementation of a Public-purpose Direct Payment Program,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orea, pp.11-19, 2010. 

  4. H. S. Oh, J. B. Yim, J. I. Kim, Operation details and inspection system of the agricultural direct payment in the EU and U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orea. pp.22, 2018. 

  5. T. Y. Kim, M. S. Bae, "Significance and Challenges of Public-purpose Direct payment", Research in Agriculture Policy, Vol.69, pp.60-106, Apr. 2019. 

  6. R. W. Saat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what it is and how it is used", Mathematical Modelling, Vol.9, No.3-5, pp.161-176, 1987. DOI: https://doi.org/10.1016/0270-0255(87)90473-8 

  7. T. W. Kim, "Priorities on Specialized Types of Agricultural Items by AHP in Hamyang", Th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53, No.2, pp.73-90, June 2012. 

  8. S. J. Kwak, J. S. Lee, "The Analysis of the House Demander's Preference on the Location Condition Factors in Cheona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ol.27, No.1, pp.69-82, Mar. 2011. 

  9. S. J. Kwak, J. S. Lee, "Deduction of Attributes' Weight for Companies' Job Creation by Applying Fuzzy Decision Making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 No.11, pp.7971-7977, Nov.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11.7971 

  10. G. T. Jo,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Donghyun Publushers, pp.3-47, 2003. 

  11. Y. K. Shin, C. G. Kim, T. Y. Kim, "An Priority Analysis of Agri-Environmental Policy Measures Using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Journal of Rural Development, Vol.28, No.2, pp.37-54, July 2005. 

  12. J. Y. Jeon, C. H. Rhew, E. S. Hwang, "A Study on Prioritizing Food Policy : Application of AHP",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Vol.43, No.1, pp.130-151, Mar. 2016. 

  13. H. K. Choi, H. J. Kang, E. H. Oh, A. J. Kwon,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ven Major Social Welfare Satisfaction Indexes on the Perspective of the Consumer,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Korea, pp.40-50,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