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골관절염 환자의 우울과 불안 감소를 위한 자가관리중재의 효과: 메타분석
The Effect of Self-Management Intervention for Reducing Depression and Anxiety in Osteoarthritis Patients : A Meta-analysi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2, 2020년, pp.94 - 102  

이춘희 (선린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골관절염 환자의 우울과 불안 감소를 위한 자가관리중재의 효과를 메타분석한 연구로 자가관리중재의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PubMed, EMBASE, CINAHL, Ovid-MEDLINE과 Korean database에서 2019년 9월 30일까지 발표된 국내·외 문헌을 검색하였고, 자가관리중재의 효과 크기를 분석하기 위해 R version 3.5.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총 1,877편의 문헌 중 11편의 연구가 최종 분석되었고, 참가자는 총 2,751명이었다. 자가관리중재 분석결과 골관절염 환자의 우울과 불안 감소를 위한 전체 효과크기는 -0.44(95% CI: -0.66, -0.22)로 작은 정도의 유효한 차이를 보였다(p<.001). 하위분석으로 우울은 -0.37(95% CI: -0.66, -0.08)로 작은 효과크기, 불안은 -0.56(95% CI: -0.92, -0.20)으로 중간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이질성을 설명하기 위해 중재 장소, 중재 기간, 중재 제공자에 대한 meta-ANOVA를 실시하였다. 출판오류 분석은 funnel plot으로 분석하였고, 시각적으로 비교적 대칭이었으며, egger's regression test로 비대칭이 아님을 확인하였다(bias=0.19, p=.928). 본 연구의 결과는 골관절염 환자의 우울과 불안 감소를 위한 자가관리중재의 효과를 확인하여 임상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intervention for reducing the depression and anxiety of osteoarthritis patients. The research sources were PubMed, EMBASE, CINAHL, Ovid-MEDLINE and Korean databases from the Korean and foreign literature published until Septembe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료 지도자가 중재한 자가관리중재는 지속적으로 자가관리를 하는 동기를 부여하므로[24], 만성적 신체적, 심리적 문제를 가진 골관절염 환자에게 우울이나 불안을 감소시켰을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가관리 중재 적용으로 우울과 불안 감소를 위해 중재제공자 선정을 같은 질환을 가진 동료나 비전문가를 포함할 근거를 마련하였다.
  • 자가관리중재는 골관절염 대상자에게 1982년 최초로 수행되었으며[7], 자신의 질병관리를 위해 스스로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도울 수 있어[1], 현재까지 골관절염 대상자의 우울, 불안, 통증, 신체적 장애 감소를 위해 사용되어 왔다[7]. 본 연구는 골관절염 대상자에게 자가관리 중재 적용으로 우울과 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 하기 위해 2019년 9월 30일까지 발표된 11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골관절염 환자에게 우울과 불안 감소를 위한 자가관리중재를 적용하고 그 효과를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 메타분석하였다. 선정된 연구는 11편의 실험연구로 자가관리중재 적용으로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작은 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 본 연구는 골관절염 환자에게 자가관리중재 적용으로 우울과 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메타 분석한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골관절염 환자의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용된 자가관리중재의 효과를 메타분석하여 자가관리중재 전체 효과의 크기를 확인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하며, 중재를 적용한 장소, 기간, 제공자에 대한 효과 크기로 이질성을 확인하고 향후 골관절염 환자의 자가관리중재 개발 적용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관절염의 관절 특징은 무엇인가? 골관절염은 관절염의 가장 흔한 형태로 통증과 뻣뻣함을 유발하는 퇴행성 관절질환이다[1]. 골관절염의 관절 특징은 관절연골의 퇴행, 비대칭적인 관절협착, 골육종 형성으로 만성적인 통증과 신체적 장애를 가져온다[2]. 신체적 장애는 관절의 특성상 균형감 장애로 인한 비틀거림과 보폭이 넓고 천천히 걷게 되며, 일상생활 수행이 어려워져 신체적 문제와 더불어 심리적 문제를 야기한다 [3].
자기관리중재란 무엇인가? 자기관리중재는 만성질환자가 자신의 상태를 관리하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돕는 중재로, 자기관리하는 방법을 익혀 골관절염으로 인한 신체적 기능과 심리적 증상을 향상 수 있다[5]. 자가관리중재의 종류로는 관절염 환자에게 주로 적용되는 관절염 자가관리중재 (Arthritis Self- Management Program, 이하 ASMP) 와 만성질환자에게 적용되는 자가관리중재(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Program, 이하 CDSMP), 국내에서 개발된 스스로 관절 관리 프로그램(Self Arthritis Management Program, 이하 SAMP)으로 나뉜다.
골관절염 환자에게 자가 관리 중재를 적용한 연구를 분석한 결과, 가장 효과적인 중재 장소는 무엇인가? 선정된 연구는 11편의 실험연구로 자가관리중재 적용으로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작은 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하위분석으로 우울은 작은 효과, 불안은 중간정도의 효과를 보였으며, 조절효과분석으로 중재장소는 지역사회나 가정에서, 중재기간은 6주를 초과한 경우, 중재제공자는 동료가 중재를 적용한 연구에서 더 큰 효과를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CDC). (2019). Osteoarthritis [Internet]. CDC, 2019 [cited 2019 Jan].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 

  2. A. Sharma, P. Kudesia, Q. Shi, R. Gandhi,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impact and management challenges", Open Access Rheumatology, Vol.8, pp.103-113, 2016. DOI: https://doi.org/10.2147/oarrr.s93516 

  3. D. Guglielmo, J. M. Hootman, M. A. Boring, L. B. Murphy, K. A. Theis, "Symptoms of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adults with arthritis-United States, 2015-2017",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Vol.67, No.39, pp.1081-1087, 2018. DOI: https://doi.org/10.15585/mmwr.mm6739a2 

  4. F. P. Kroon, L. R. van der Burg, R. Buchbinder, R. H. Osborne, R. V. Johnston, "Self-management education programmes for osteoarthriti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Vol.1, No.CD00896 3, pp.1-238, 2014. DOI: https://doi.org/10.1002/14651858.cd008963.pub2 

  5. N. Walsh, V. Salmon, J. Pearson, "A systematic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self-management apps for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 Cartilage, Vol.24, pp.S491-S491j, 2016. DOI: https://doi.org/10.1016/j.joca.2016.01.900 

  6. C. Y. Lee, Y. H. Cho, "Evaluation of a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self-care program for rural Korea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sing, Vol.42, No.7, pp.965-973, 2012. DOI: https://doi.org/10.4040/jkan.2012.42.7.965 

  7. G. Foster, S. J. Taylor, S. E. Eldridge, J. Ramsay, C. J. Griffiths, "Self-management education program- mes by lay leaders for people with chronic condition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No.Cd005108, 2007. DOI: https://doi.org/10.1002/14651858.cd005108.pub2 

  8. S. O. Nolte, R. H. Osborne, "A systematic review of outcomes of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interventions", Quality of Life Research, Vol.22, No.7, pp.1805-1816, 2013. DOI: https://doi.org/10.1007/s11136-012-0302-8 

  9. S. Y. Kim, J. E. Park, Y. J. Seo, B. H. Jang, H. J. Son, H. S. Suh.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p.65-78,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 

  10.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8. 

  11. J. H. Barlow, A. P. Turner, C. C. Wright,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of the arthritis self- management programme in the UK", Health Education Research, Vol.15, No.6, pp.665-680, 2000. DOI: https://doi.org/10.1093/her/15.6.665 

  12. K. L. Bennell, R. K. Nelligan, C. Rini, F. J. Keefe, J. Kasza, "Effects of internet-based pain coping skills training before home exercise for individuals with hip osteoarthritis (HOPE trial):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Pain, Vol.159, No.9, pp.1833-1842, 2018. DOI: https://doi.org/10.1097/j.pain.0000000000001281 

  13. C. E. Blixen, K. A. Bramstedt, J. P. Hammel, B. C. Tilley, "A pilot study of health education via a nurse-run telephone self-management programme for elderly people with osteoarthritis", Journal of Telemedicine and Telecare, Vol.10, No.1, pp.44-49, 2004. DOI: https://doi.org/10.1258/135763304322764194 

  14. D. Bossen, C. Veenhof, K. E. Van Beek, P. M. Spreeuwenberg, J. Dekker, "Effectiveness of a webbased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knee and/or hip osteoarthriti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15, No.11, pp.e257, 2013. DOI: https://doi.org/10.2196/jmir.2662 

  15. M. Crotty, J. Prendergast, M. W. Battersby, D. Rowett, S. E. Graves, "Self-management and peer support among people with arthritis on a hospital joint replacement waiting list: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steoarthritis Cartilage, Vol.17, No.11, pp.1428-1433, 2009. DOI: https://doi.org/10.1016/j.joca.2009.05.010 

  16. M. V. Hurley, N. E. Walsh, H. Mitchell, J. Nicholas, A. Patel, "Long-term outcomes and costs of an integrated rehabilitation program for chronic knee pain: a pragmatic,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thritis Care Research, Vol.64, No.2, pp. 238-247, 2012. DOI: https://doi.org/10.1002/acr.20642 

  17. M. V. Hurley, N. E. Walsh, H. L. Mitchell, T. J. Pimm, E. Williamson, "Economic evaluation of a re- habilitation program integrating exercise, self-manage- ment, and active coping strategies for chronic knee pain", Arthritis Care Research, Vol.57, No.7, pp.1220 -1229, 2007. DOI: https://doi.org/10.1002/art.23011 

  18. S. A. Jessep, N. E. Walsh, J. Ratcliffe, M. V. Hurley, "Long-term clinical benefits and costs of an integrated rehabilitation programme compared with outpatient physiotherapy for chronic knee pain", Physiotherapy, Vol.95, No.2, pp.94-102, 2009. DOI: https://doi.org/10.1016/j.physio.2009.01.005 

  19. Y. I. Kim, J. S. Park,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joint health self-manag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knee osteoarthritis in communities: applying the IMB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28, No.1, pp.55-68, 2017. DOI: https://doi.org/10.12799/jkachn.2017.28.1.55 

  20. N. Y. Lim, E. Y. Lee, "Effects of short term selp-help education of pain, depressi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having chronic arthriti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ol.4, No.2, pp.249-261, 1997. 

  21. K. Lorig, M. Seleznick, D. Lubeck, E. Ung, R. L. Chastain, "The beneficial outcomes of the arthritis self-management course are not adequately explained by behavior change", Arthritis Rheumatism, Vol.32, No.1, pp.91-95, 1989. DOI: https://doi.org/10.1002/anr.1780320116 

  22. E. G. Mann, S. LeFort, E. G. Van Den Kerkhof, "Self-management interventions for chronic pain", Pain Management, Vol.3, No.3, pp.211-222, 2013. DOI: https://doi.org/10.2217/pmt.13.9 

  23. S. Du, L. Hu, J. Dong, G. Xu, X. Chen, "Self-management program for chronic low back pai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atient Education Counseling, Vol.100, No.1, pp.37-49, 2017. DOI: https://doi.org/10.1016/j.pec.2016.07.029 

  24. N. H. Jonkman, H. Westland, R. H. Groenwold, S. Agren, M. Anguita, "What are effective program characteristics of self-management interventions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n individual patient data meta-analysis", Journal of Cardiac Failure, Vol.22, No.11, pp.861-871, 2016. DOI: https://doi.org/10.1016/j.cardfail.2016.06.422 

  25. K. L. Whiteman, M. C. Lohman, S. J. Bartels, "A peer and technology-supported self-management intervention", Psychiatric Services, Vol.68, No.4, pp.420, 2017. DOI: https://doi.org/10.1176/appi.ps.6840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