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후기 노인의 근력과 보행 특성의 관계

Association between muscular strengths and gait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 aged 65 to 74 and 75 and above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2, 2020년, pp.415 - 422  

백창의 (전남대학교) ,  주지용 (전남대학교) ,  김영관 (전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상·하지 근력과 보행을 측정한 후 연령에 따른 차이와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2019년 6월~7월 사이 65세에서 85세 사이의 남녀 노인 107명이 측정을 끝까지 마쳤으며 기록된 근력(악력, 발가락력, 중둔근력, 대둔근력)과 보행 특성(보속, 보빈도, 보폭, 외발지지기, 양발지지기)으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하지 근력은 악력기, 도수근력측정기, 발가락지력기로 측정하였고 관성센서 기반 보행 측정 신발 시스템으로 보행 자료를 획득하였다. 전기 노인(65~74세)과 후기 노인(75~85세) 사이에 근력과 보행 특성은 차이가 없었다. 전·후기 노인에서 악력, 발가락력, 중둔근력, 대둔근력이 일부 보행 특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중둔근력과 대둔근력이 두 연령대에서 보행 특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악력이나 발가락력보다 많이 보였다. 보속과 악력의 회귀계수는 전·후기 노인 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전기 노인보다 후기 노인에서 근력 요인들이 보행 특성을 더 잘 설명하였다. 또한, 악력은 노인 체력를 손쉽게 측정할 수 있는 변인이지만 보속을 포함한 보행 특성을 설명하는데 중둔근력과 대둔근력이 더 유용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uscular strengths and gait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otally, 107 subjects, aged 65 to 85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earchers measured muscle strengths (grip force, toe grip force, gluteus medius, and gluteus maximus forces) and walk...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상·하지 근력인 악력, 발가락력, 중둔근력, 대둔근력을 측정하고, 전·후기 노인의 근력과 보행 특성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 기존 연구에서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신체적으로는 근육량과 근력 감소가 발생하고 일상생활의 제한 요소로 작용한다고 하였다[6-12]. 특히 나이 증가에 따른 근력 감소는 보행 기능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본 연구는 전기 노인(65~74세)과 후기 노인(75~85세)로 구분하여 근력, 보행 특성의 변화, 그리고 근력과 보속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화란 무엇인가? 노화(aging)란 나이가 들어간다는 것을 발달학적인 과정으로 신체의 구조와 기능이 이전과 달라지는 현상이다[1]. 노화는 단순한 생리적인 기능의 퇴화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나이와 관련된 모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변화들을 포함한다[2,3].
노화의 신체적 변화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노화는 단순한 생리적인 기능의 퇴화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나이와 관련된 모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변화들을 포함한다[2,3]. 신체적 변화는 근위축, 근감소등 세포 단위의 구조적 변화부터 종양이나 변종 발생 등형상학적인 변이도 포함한다. 신체 기능 가운데 동작의 정확성, 속력, 가동 범위, 지구력 등의 퇴화가 나타난다.
노인 체력 검사에서 악력이 근력을 대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노인 체력 검사에서 악력이 근력을 대표하였다[18-21]. 첫 번째 이유는 현장에서 측청하기 매우 쉽다는 것이다.둘째는 다양한 건강 예측을 신뢰성 있게 한다는 것이다.악력은 체력[19], 장애 발생[18], 질병 발생[22], 기대 수명[23]까지 예측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G. T. Baker, G. R. Martin, "Biological aging and longevity: Underlying mechanisms and potential intervention strategies",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Vol.2, No.4, pp.304-328, April 1994. DOI: https://doi.org/10.1123/japa.2.4.304 

  2. W. J. Chodzko-Zajko, R. L. Ringel, "Physiological fitness measures and sensory and motor performance inaging", Experimental Gerontology, Vol.22, No.5, pp.317-328, March 1987. DOI: https://doi.org/10.1016/0531-5565(87)90030-1 

  3. S. Colcombe, A. F. Kramer, "Fitness effects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older adults: A meta analytic study", Psychological Science, Vol.14, No.2, pp.125-130, Feb. 2003. DOI: https://doi.org/10.1111/1467-9280.t01-1-01430 

  4. Z. Milanovic, S. Pantelic, N. Trajkovic, G. Sporis, R Kostic, "Age-related decrease in physical activity and functional fitness among elderly men and women",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Vol.8, pp.549, May, 2013. DOI: https://doi.org/10.2147/CIA.S44112 

  5. T. Ikezoe, N. Mori, M. Nakamura, N. Ichihashi, "Age-related muscle atrophy in the lower extremities and daily physical activity in elderly women",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53, No.2, pp.153-157, Oct, 2011. DOI: https://doi.org/10.1016/j.archger.2010.08.003 

  6. I. Hayashida, Y. Tanimoto, Y. Takahashi, T. Kusabiraki, J. Tamaki, "Correlation between muscle strength and muscle mass, and their association with walking speed,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Japanese individuals", PloS One, Vol.9, No.11, pp.111810, Nov, 2014. DOI: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11810 

  7. K. Y. Forrest, J. M. Zmuda, J. A. Cauley,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muscle strength change with aging in older men", Aging Male, Vol.8, No.3/4, pp.151-156, Dec, 2005. 

  8. K. Y. Forrest, J. M. Zmuda, J. A. Cauley, "Patterns and correlates of muscle strength loss in older women", Gerontology, Vol.53, No.3, pp.140-147, 2007. DOI: https://doi.org/10.1159/000097979 

  9. T. Ikezoe, M. Nakamura, H. Shima, Y. Asakawa, N. Ichihashi, "Association between walking ability and trunk and lower-limb muscle atrophy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a longitudinal pilot study. Journal of Physiological Anthropology, Vol.34, No.1, pp.31, Aug, 2015. DOI: https://doi.org/10.1186/s40101-015-0069-z 

  10. J. E. Himann, D. A. Cunningham, P. A. Rechnitzer, D. H. Paterson, "Age-related changes in speed of walking",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20, No.2, pp.161-166, Apr, 1988. DOI: https://doi.org/10.1249/00005768-198820020-00010 

  11. M. J. Bendall, E. J. Bassey, M. B. Pearson, "Factors affecting walking speed of elderly people", Age and Ageing, Vol.18, No.5, pp.327-332, Sep, 1989. DOI: https://doi.org/10.1093/ageing/18.5.327 

  12. T. Rantanen, J. Avela, "Leg extension power and walking speed in very old people living independentl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Vol.52, NO.4, pp.225-231, Jul, 1997. DOI: https://doi.org/10.1093/gerona/52A.4.M225 

  13. S. Fritz, M. Lusardi, "White paper: walking speed: the sixth vital sign", Journal of Geriatric Physical Therapy, Vol.32, No.2, pp.2-5, 2009. DOI: https://doi.org/10.1519/00139143-200932020-00002 

  14. M. Cesari, "Role of gait speed in the assessment of older patients", Jama, Vol.305, No.1, pp.93-94, Jan, 2011. DOI: https://doi.org/10.1001/jama.2010.1970 

  15. N. T. Townsend, T. N. Robinson, "Does walking speed predict postoperative morbidity?", Advances in Surgery, Vol.48, No.1, pp.53-64, Sep, 2014. DOI: https://doi.org/10.1016/j.yasu.2014.05.013 

  16. S. Studenski, S. Perera, K. Patel, C. Rosano, K. Faulkner, "Gait speed and survival in older adults", JAMA, Vol.305, No.1, pp.50-58, Jan, 2011. DOI: https://doi.org/10.1001/jama.2010.1923 

  17. J. Verghese, R. Holtzer, R. B. Lipton, C. Wang, "Quantitative gait markers and incident fall risk in older adults", Journals of Gerontology, Vol.64A, No.8, pp.896-901. Aug, 2009. DOI: https://doi.org/10.1093/gerona/glp033 

  18. P. J. Stevens, H. E. Syddall, H. P. Patel, H. J. Martin, C. Cooper, "Is grip strength a good marker of physical performance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people?",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Vol.16, No.9, pp.769-774, Nov, 2012. DOI: https://doi.org/10.1007/s12603-012-0388-2 

  19. V. Gunasekaran, J. Banerjee, S. N. Dwivedi, A. D. Upadhyay, P. Chatterjee, "Normal gait speed, grip strength and thirty seconds chair stand test among older Indian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67, pp.171-178, Dec, 2016. DOI: https://doi.org/10.1016/j.archger.2016.08.003 

  20. T. Rantanen, J. M. Guralnik, D. Foley, K. Masaki, S. Leveille, "Midlife hand grip strength as a predictor of old age disability", Jama, Vol.281, No.6, pp.558-560, Feb, 1999. DOI: https://doi.org/10.1001/jama.281.6.558 

  21. Y. A. Kim, J. Y. Kim, W. Y. So, S. H. Shin, H. S. Kim, "The Effects of Physical Character and Frailty by the Level of Grip Strength in Elderly Men", Korea Socirty for Wellness, Vol.13, No.1, pp.433-442, Feb, 2018. DOI: https://doi.org/10.21097/ksw.2018.02.13.1.433 

  22. A. A. Sayer, T. B. Kirkwood, "Grip strength and mortality: a biomarker of ageing?", Lancet, Vol.386, No.9990, 226-227, May, 2015. DOI: https://doi.org/10.1016/S0140-6736(14)62349-7 

  23. Y. Nofuji, S. Shinkai, Y. Taniguchi, H. Amano, M. Nishi, "Associations of walking speed, grip strength, and standing balance with total and cause-specific mortality in a general population of Japanese elder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Vol.17, No.2, pp.184-e1-184-e7. Feb, 2016. DOI: https://doi.org/10.1016/j.jamda.2015.11.003 

  24. K. A. Kim, S. K. Choi,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grip strength of elderly people aged 65 to 74 years and 75 to 84 years old", Vol.28, No.4, pp.937-944, Aug, 2019. DOI: https://doi.org/10.35159/kjss.2019.08.28.4.937 

  25. National Fitness Award, Physical fitness measurement items for the elderly (13 to 8 years old), Korea Sports Promotion Foundation (KSPO) Available From: http://nfa.kspo.or.kr/front/certify/cer0303_list.do#old (accessed Nov. Dec. 14, 2019) 

  26. R. E. Rikli, C. J. Jones, Senior Fitness Test Manual, p.186, Human Kinetics, 2012. 

  27. G. Cumming, "Inference by eye: reading the overlap of independent confidence intervals", Statistics in Medicine, Vol.28, No.2, pp.205-220, Nov, 2009. DOI: https://doi.org/10.1002/sim.3471 

  28. R. T. Floyd, Manual of Structural Kinesiology, p.416, 2012. 

  29. T. Ikezoe, N. Mori, M. Nakamura, N. Ichihashi, "Age-related muscle atrophy in the lower extremities and daily physical activity in elderly women",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53, No.2, pp.153-157, Oct, 2011. DOI: https://doi.org/10.1016/j.archger.2010.08.003 

  30. M. Inacio, A. S. Ryan, W. N. Bair, M. Prettyman, B. A. Beamer, "Gluteal muscle composition differentiates fallers from non-fallers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BMC Geriatrics, Vol.14, No.1, pp.37, Mar,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