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약인자의 엔트로피 기반 중첩 분석을 이용한 부산광역시의 적설재해 취약지역 등급 평가
Evaluating Vulnerability to Snowfall Disasters Using Entropy Method for Overlapping Distributions of Vulnerable Factors in Busan, Korea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6 no.2 pt.1, 2020년, pp.217 - 229  

안찬중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환경대기과학전공) ,  박용미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환경대기과학전공) ,  최원식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한반도는 지구온난화로 기상이변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그 중 우리나라에서 주로 발생하는 5대 자연재해는 호우, 태풍, 풍랑, 대설, 지진 등이 있다. 부산광역시는 광역시 이상의 도시 자연재해 피해액 중 50% 이상을 차지하고 도심 속 구릉성 산지가 다수 분포하여 적설재해에 매우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지형적 특성과 인위적 특성을 함께 고려한 적설재해 위험지역을 선정하였다. 재해취약 지역의 평가요소(표고, 경사도, 토지피복, 도로, 인구통계)에 가중치를 부과하기 위해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가중치가 부과된 평가요소 지도를 중첩하여 위험1-5등급으로 위험도를 산정하였다. 중첩된 격자별 위험등급을 정책결정이나 정보제공의 편의성을 위해 읍·면·동 단위로 평균하여 단순화된 적설재해 취약지도를 추가 분석하였다. 재해 취약지역은 산지를 중심으로 도로가 분포하는 지역 주변에 분포한다는 특징이 있으며, 도로 통제 빈도가 높았던 금정구의 산성로, 북구의 만덕터널, 수영구의 황령산로에 위험지역이 포함되어 본 분석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론은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우며 취약인자의 추가나 개선에 대한 업데이트가 용이하기 때문에 다른 재해나 환경위험도 분석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weather changes in Korea have intensified due to global warming, and the five major natural disasters that occur mostly include heavy rains, typhoons, storms, heavy snow, and earthquakes. Busan is vulnerable to snow disaster, given that the amount of natural disaster damage in Busan accoun...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경상도 지역은 적설 사례가 빈번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작물재배지역 비율과 인구밀도가 높으며, 적설재해 에 대한 대응 경험이 부족하다고 판단되어 적설재해에 취약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상도 지역 중 인구가 가장 많은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적설재해 취약지역을 선정하고자 한다.
  • 적설은 다양한 요소들이 영향을 주는 복합적인 재해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을 이용하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지형적 특성(표고, 경사도)과 인위적 특성(토지피복 현황, 주민등록상 인구통계 현황)을 함께 고려하여 각각의 평가 항목에 가중치를 부과 후 중첩함으로써 읍·면·동 단위의 상세한 부산지역 적설재해 위험 지구를 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 적설 사례가 발생한다면, 노면 결빙으로 마찰력이 감소하여 제동거리가 증가하며 결빙지역의 경사도가 증가한다면, 그 위험성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Koo et al., 2013). 산림청에 따르면 부산지역은 도심에 다수의 산지가 분포하고 있어 타 광역도시보다 산복 지형과 15° 이상의 경사지가 다수 존재한다(KFS, 2018c; Table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에서 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는 무엇이 있는가? 또한 한반도는 대설에 의한 피해 빈도가 2000년대 초반까지는 낮은 수준을 보였으나, 최근 들어 대설에 의한 피해 빈도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Lee and Chung, 2019). 한반도에서 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는 호우, 태풍, 풍랑, 대설, 지진 등이 있으며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18년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액 1,413억원 중 대설에 의한 피해액이 140억 원으로 전체 자연재해 피해액 중 약 10%를 차지하였다(MOIS, 2018). 또한, 부산지역의 자연재해 피해액은 73억 원으로 광역시 이상의 6개 도시 전체 피해액 135억 원의 54%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부산지역이 타 도시보다 도심 속 구릉성 산지가 많이 존재하고 해안이 인접한 복잡한 지형적 특성으로 적설재해에 취약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엔트로피 방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재해 취약지역은 산지를 중심으로 도로가 분포하는 지역 주변에 분포한다는 특징이 있으며, 도로 통제 빈도가 높았던 금정구의 산성로, 북구의 만덕터널, 수영구의 황령산로에 위험지역이 포함되어 본 분석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론은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우며 취약인자의 추가나 개선에 대한 업데이트가 용이하기 때문에 다른 재해나 환경위험도 분석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엔트로피 가중치 추정 방법은 무엇인가? 엔트로피 가중치 추정 방법(Shannon and Weaver, 1949) 은 각각의 평가항목(표고, 경사도, 도로, 주거 및 상업지역, 인구통계)에 가중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취약성 평가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많이 이용되는 방법이다. 엔트로피 가중치 추정 방법을 통하여 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urrough, P.A., R.A. McDonnell, and C.D. Lloyd, 1998. Principle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NY, USA. 

  2. Busan metropolitan city, 2018. Busan metropolitan city urban planning ordinance, http://www.busan.go.kr/public/abregulations01/view?depth3Code001, Accessed on Feb. 15, 2020. 

  3. Ha, J., H. Park, and G. Chung, 2019. Snow vulnerability analysis in Jeolla-do, South Korea using entropy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9(5): 263-2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Hong, J., H.J. Lim, Y.H. Ham, and B.J. Lee, 2015. Grid unit based analysis of climate change driven disaster vulnerability in urban area,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3(6): 67-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eong, I.-J., K.-W. Seo, and G.-Y. Kim, 2005. Determination of grid size to extract hydrologictopographical paramet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8(3): 23-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D.H., J.M. Kim, B.C. Yoon, E.M. Chang, and Y.S. Choi, 2015. Development plan of grid system utilizing spatial information,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3(6): 43-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B.-M., 2019. Planning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ertical forecast method for complex precipi-tation in Busan, http://book.kma.go.kr/search/DetailView.ax?sid1&cid33760, Accessed on Feb. 15, 2020. 

  8. Koo, Y., S. Lee, D. Lee, and J. Jung, 2015. A study on mitigation measure by classification of areas based on risk factors of snowfal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5(2):393-3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oo, Y.S., S.H. Lee, and J. Jung, 2013. Selecting and assessing vulnerable zones of snow damage in urban areas-the case of city of Bus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3(3):1077-10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FS, 2018a. National Forest Inventory, Statistics Korea (KOSTAT), Korea Forest Service,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36&tblIdDT_5THFO002&conn_pathI2, Accessed on Feb. 15, 2020. 

  11. KFS, 2018b. National Forest Inventory, Statistics Korea (KOSTAT), Korea Forest Service,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36&tblIdDT_5THFO001&conn_pathI2, Accessed on Feb. 15, 2020. 

  12. KFS, 2018c. National Forest Inventory, Statistics Korea (KOSTAT), Korea Forest Service,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36&tblIdDT_5THFO003&conn_pathI2, Accessed on Feb. 15, 2020. 

  13. KMA, 2019.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ttps://data.kma.go.kr/data/grnd/selectAsosRltmList.do?pgmNo36, Accessed on Feb. 15. 2020. 

  14. Lee, S., J.E. Kang, H.J. Bae, and D.K. Yoon, 2015. Vulnerability assessment of the air pollution using entropy weights: focused on ozon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21(4): 751-7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H.J. and G. Chung, 2019. Mitigation of snow damage in Gangwon by analyzing snow density and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9(6): 87-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ME, 2018. Land-cover map, Ministry of Environment, https://egis.me.go.kr/intro/land.do, Accessed on Feb. 15, 2020. 

  17. MOIS, 2018. Statistical yearbook of natural disaster,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https://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12&nttId73589#none, Accessed on Feb. 15, 2020. 

  18. MOIS, 2019a. Disaster messag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http://www.safekorea.go.kr/idsiSFK/neo/sfk/cs/sfc/dis/disasterMsgList.jsp?emgPageY&menuSeq679, Accessed on Feb. 15, 2020. 

  19. MOIS, 2019b. Resident registration demographics,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http://27.101.213.4, Accessed on Feb. 14, 2020. 

  20. NGII, 2018a. Digital topographic map,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http://map.ngii.go.kr/pd/ctlsSvc/ctlsSvc.do, Accessed on Feb. 15, 2020. 

  21. NGII, 2018b. Road networks,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http://map.ngii.go.kr/pd/ctlsSvc/ctlsSvc.do, Accessed on Feb. 15, 2020. 

  22. NGII, 2019. Demographic statistics map,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http://map.ngii.go.kr/pd/ctlsSvc/ctlsSvc.do, Accessed on Feb. 15, 2020. 

  23. Oh, Y.R. and G. Chung, 2018. Snow damage vulnerability analysis for evaluation of snow damage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8(2): 347-3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Park, H.-S., S.J. Lee, I. Yu, S. Jeong, and G. Chung, 2014. Snow disaster risk index in the Ul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4(2): 97-1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IL, US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