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올레산 유도 비알코올성 지방간세포에서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과 속대 추출물의 지질 축적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Purple Corn 'Seakso 1' Husk and Cob Extracts on Lipid Accumulation in Oleic Acid- 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HepG2 Model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5 no.1, 2020년, pp.93 - 101  

이기연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김태희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김재은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배선화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박아름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이효영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최성진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박종열 (강원도농업기술원 옥수수연구소) ,  권순배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김희연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의 목적은 oleic acid로 지방생성이 유도된 HepG2 세포에서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이 간세포 내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것이다.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에 의한 HepG2 세포 내 지방 축적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배양된 세포에 oleic acid로 지방 축적을 유도하고 추출물에 의한 중성지방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의 지방합성 및 축적에 관련된 유전자와 단백질 발현량을 RT-PCR과 Western blot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Oil Red O와 Nile Red 염색을 통하여 추출물의 처리로 HepG2 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이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RT-PCR에 의하여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oleic acid에 의하여 지방 생성이 유도된 대조군에 비하여 모든 추출물 처리군의 SREBP-1c와 SREBP-1a 유전자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Western blot을 실시하여 p-AMPK, p-SREBP1, PPARα, FAS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간에서 지질대사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인 SREBP1 단백질의 발현은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지방산의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인 FAS의 단백질 발현향은 모든 처리 농도에서 현저하게 감소된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이 간세포 내에서 중성지방의 축적을 억제시키고 지질 합성에 관련된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간 세포 내 지질 축적을 완화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kso 1, a maize hybrid, was developed in 2008 by Gangwon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n Korea and registered in 2011. It is single-cross hybrid, semi-flint, deep-purple variety of corn, variety of are yellow, while the husks and cobs are purple. Due to the sensitivity of Seakso 1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색옥수수의 주요 기능성으로는 항산화, 항세균성, 항돌연변이, 항암활성, 항당뇨, 항비만 효과 등이 있으며 5,6) , 안토시아닌의 항산화 활성 효과 면에서 주로 활성산소 제거능, 지질과산화물 생성억제의 효과 등이 보고되었다 7,8) . 본 연구는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이 간 조직 내에서 지방산의 합성 및 산화 등 지질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와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자색옥수수 색소 1호의 비알코올성 간 보호 기능성 식품 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이 간 조직 내에서 지방산의 합성 및 산화 등 지질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와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자색옥수수 색소 1호의 비알코올성 간 보호 기능성 식품 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방축적 유발위험인자로는 무엇이 있는가? 지방간은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5% 이상인 상태로 주로 중성지방, 인지질 및 에스터형 콜레스테롤이 과량 축적된다. 지방축적 유발위험인자로는 알코올과 비만, 당뇨, 고지혈증, 고혈압 등 체내 대사이상을 들 수 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은 1980년대 음주를 하지 않은 비만한 여성 환자에게서 나타난 알콜성 간염 소견을 갖는 새로운 증후군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지방간이란? 지방간은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5% 이상인 상태로 주로 중성지방, 인지질 및 에스터형 콜레스테롤이 과량 축적된다. 지방축적 유발위험인자로는 알코올과 비만, 당뇨, 고지혈증, 고혈압 등 체내 대사이상을 들 수 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은 어떤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은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은 1980년대 음주를 하지 않은 비만한 여성 환자에게서 나타난 알콜성 간염 소견을 갖는 새로운 증후군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천천히 발생되는 만성질환으로 비만, 당뇨, 고지혈증, 고혈압 등 대사 증후군과 같은 다른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치료 약제 개발이 쉽지 않고, 현재까지 효과적인 치료 약제도 없는 실정이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등록된 간 기능개선 기능성 원료 11개 중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과로 인정받은 추출물은 댕댕이나무열매추출 분말(제2019-19호)로 비알코올성 지방간 기능성 원료의 개발은 전무한 상황으로 이와 관련된 소재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im, C.S., Cho, E.H., Choe, S.Y., Kang, M.S., Yu, R., Inhibitory effect of isorhamnetin on lipid accumulation in free fatty acid-induced steatotic hepatocytes through the $PPAR{\alpha}$ pathwa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7(7), 703-709 (2018). 

  2. Lee, K.Y., Hong, S.Y., Kim, T.H., Kim, J.E., Park, A.R., Noh, H.S., Kim, S.C., Park, J.Y., Ahn, M.S., Jeong, W.J., Kim, H.Y., Inhibition of pancreatic lipase activity and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treated with purple corn husk and cob extracts J. Food Hyg. Saf., 33(2), 131-139 (2018). 

  3. Kim, S.L., Kim, E.H., Son, Y.K., Song, J.C., Hwang, J.J., Hur, H.S.,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 pigments in black waxy corn kernels. Korean J. Breed, 31, 408-415 (1999). 

  4. Kim, S.L., Hwang, J.J., Song, J., Song, J.C., Jung, K.H., Extraction, pur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anthocyanins in colored rice, black soy bean and black xaxy corn. Korean J. Breed, 32, 146-152 (2000). 

  5. Kim, J.T., Son, Y.B., Lee, J.S., Baek, S.B., Woo, K.S., Jung, G.H., Kim, M.J., Jeong, K.H., Kwon, Y.U., Effects of particle size on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in purple corn seed powder. Korean J. Crop. Sci., 57, 353-358 (2012). 

  6. Lee, J.S., Son, B.M., Kim, J.T., Ku, J.H., Han, O.K., Baek, S.B., Moon, J.K., Hwang, J.J., Kwon, Y.U., Change of total anthocyanin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urple waxy corn inbred lines and hybrids during grain filling. Korean J. Breed Sci., 44, 290-300 (2012). 

  7. Duan, X.W., Jiang, Y.M., Zhang, Z.Q., Shi, J., Antioxidant properties of anthocyanin extracted from litchi (Litchi chinenesis Sonn.) fruit pericarp tissues in relation to their role in the pericarp browning. Food Chem., 101, 1365-1371 (2006). 

  8. Chung, M.G., Lim, J.D., Antioxidant, anticancer and immune activation of anthocyanin fraction from Rubus Coreanus miquel fruits(Bokbunj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0, 259-269 (2012). 

  9. Choi, H.Y., Kim, G.H., Inhibitory effects of Allium senescens L. methanol extracts on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and lipid accumulation during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Korea J. Food Sci. Technol., 46(4), 498-504 (2014). 

  10. Lim, H.J., Seo, J.E., Chang, Y.H., Han, B.K., Jeong, J.K., Park, S.B., Choi, H.J., Whang, J.N., Anti-obesity effects of Jeju Hallabong Tangor (Citrus kiyomi $\times$ ponkan) peel extracts in 3T3-L1 adipocy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11), 1688-1694 (2014). 

  11. Marchesini, G., Brizi, M., Bianchi, G., Tomassetti, S., Bugianesi, E., Lenzi, M., McCullough, A., Natale, S., Forlani, G., Melchionda, 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 feature of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50, 1844-1850(2001). 

  12. Rawson, R.B., Control of lipid metabolism by regulated intramembrane proteolysis of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s (SREBPs). Biochem Soc. Symp., 70, 221-231 (2003). 

  13. Shimomura, I., Bashmakov, Y., Horton, J.D., Increased levels of nuclear SREBP-1c associated with fatty livers in two mouse models of diabetes mellitus. J. Biol. Chem., 274, 30028-30032 (1999). 

  14. Foretz, M., Guichard, C., Ferre, P., Foufelle, F.,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1c is a major mediator of insulin action on the hepatic expression of glucokinase and lipogenesis-related genes. Proc. Natl. Acad. Sci. USA, 96, 12737-12742 (1999). 

  15. Halaas, J.L., Gajiwala, K.S., Maffei, M., Cohen, S.L., Chait, B.T., Rabinowitz, D., Lallone, R.L., Burley, S.K., Friedman, J.M., Weight-reducing effects of the plasma protein encoded by the obese gene. Science, 269, 543-546 (1995). 

  16. Lee, K.E., Song, J.L., Jeong, B.J., Jeong, J.S., Huh, T.G., Park, K.Y., Anti-lipogenic effect of functional cereal samples on high sucrose diet-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6), 789-796 (2016). 

  17. Hashimoto, T., Cook, W.S., Qi, C., Yeldandi, A.V., Reddy, J.K., Rao, M.S., Defect in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 -inducible fatty acid oxidation determines the severity of hepatic steatosis in response to fasting. J. Biol. Chem., 275, 28918-28928 (2000). 

  18. Lapsys, N.M., Kriketos, A.D., Lim-Fraser, M., Poynten, A.M., Lowy, A., Furler, S.M., Chisholm, D.J., Cooney, G.J.,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lipid metabolism correlate with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expression in human skeletal muscle. J. Clin. Endocrinol. Metab., 85, 4293-4297 (2000). 

  19. Rosen, E.D., Spiegelman, B.M., Molecular regulation of adipogenesis. Annu. Rev. Cell Dev. Bi., 16, 145-171 (2000). 

  20. Jang, Y.S., Seo, J.Y., Kwun, M.J., Kwon, J.M., Lee, I., Hong, J.W., Kim, S.Y., Choi, J.Y., Park, S.H., Joo, M.S., Han, C.W., Effect of Phaseolus angularis seed on experimental cellular model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7(6), 802-808 (2013). 

  21. Long, Y.C., Zierath, J.R., AMP-activated protein kinase signaling in metabolic regulation. J. Clin. Invest., 116(7), 1776-1783 (2006). 

  22. Ha, S.K., Kim, J., Chae, C., Role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nd adiponectin during development of hepatic steatosis in high-fat diet-induced obesity in rats. J. Comp Pathol., 145(1), 88-94 (2011). 

  23. Munday, M.R., Campbell, D.G., Carling, D., Hardie, D.G., Identification by amino acid sequencing of three major regulatory phosphorylation sites on rat acetyl-CoA carboxylase. Eur J. Biochem., 175(2), 331-338 (19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