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일-삶 균형(WLB)이 조직몰입, 주관적 경력성공,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he Work-Life Balance (WLB) of Flight Attendan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Turnover Intention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4, 2020년, pp.211 - 219  

박혜영 (한국교통대학교 항공서비스학과) ,  김효선 (상명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형항공사에 근무하고 있는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일-삶 균형(WLB)이 조직몰입, 주관적 경력성공,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유효표본 199명을 대상으로 SPSS 20.0과 AMOS 20.0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타당성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고 제시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WLB가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고, 둘째, WLB가 객실승무원들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도 채택되었다. 셋째, 승무원들의 조직몰입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도 채택되었으며, 넷째,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도 채택되었다. 하지만, 다섯째, 주관적 경력성공이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마지막으로 WLB가 이직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가 갖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mong work-life balance(WLB), organizational commitment,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turnover intentions. The study data came from 199 respondents, as flight attendants working for large domestic airlines. The research test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일과 삶의 조화가 조직몰입, 주관적 경력성공,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조직에서의 환경을 보다 일터와 개인의 삶을 존중하는 균형 있는 문화를 창출하고 구성원이 좀 더 조직에 몰입하고 자신의 경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데 효과적인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 본 연구는 객실승무원의 일과 삶의 조화가 조직몰입, 주관적 경력성공,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규명하는 유의미한 연구이며, 이를 통해 항공사 객실승무원들의 효과적인 일터에서의 조직행동을 도울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런 의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제한점을 갖는다.
  • 본 연구는 국내 대형항공사에 근무하는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WLB가 조직몰입, 주관적 경력성공,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독립변수는 일과 삶의 균형(WLB)로 하였으며, WLB의 하위변수 요인으로 일-가정 균형, 일-성장 균형, 일여가 균형을 추출하였고, 정서적 몰입, 주관적 경력성공, 이직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객실승무원들의 일과 삶의 균형이 조직몰입, 주관적 경력성공,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 설정

  • 셋째, 조직몰입은 주관적 경력성공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넷째,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다섯째, 주관적 경력성공은 이직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 넷째,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다섯째, 주관적 경력성공은 이직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여섯째, 일과 삶의 균형은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첫째, 일과 삶의 균형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둘째, 일과 삶의 균형은 주관적 경력성공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셋째, 조직몰입은 주관적 경력성공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 둘째, 일과 삶의 균형은 주관적 경력성공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셋째, 조직몰입은 주관적 경력성공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넷째,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 다섯째, 주관적 경력성공은 이직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여섯째, 일과 삶의 균형은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1 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첫째, 일과 삶의 균형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둘째, 일과 삶의 균형은 주관적 경력성공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Jaros 외 학자들은 조직몰입을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이러한 조직몰입은 다차원적으로 보고 있으며, 이에 의거하여 조직몰입에 대해서 유형을 분류하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Jaros 외 학자들은(1993)[16] 조직 구성원이 갖는 감정적 애착으로 정서적 조직몰입, 조직에 대한 책임 및 의무감에 대한 규범적 몰입, 조직 이탈 비용에 대한 지속적 몰입으로 구분하였다. 학자들마다 용어를 다르게 하기도 하는데 지속적 몰입을 지속적 몰입을 타산적 몰입으로, 조직의 목표와 가치를 내면화하는 도덕적 몰입, 그리고 조직에 대한 소속감, 친밀감, 애착심을 느끼는 감정적 몰입으로 분류하였다[16].
스케줄에 대한 권한이 적고 해외 체류 및 장시간 근무로 인해 일과 삶의 조화가 어려워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K 국내 항공사의 경우 여성 객실승무원이 6,500명으로 91%, A항공사의 경우 3,400명(93%)이 여성으로 그중 기혼의 비율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스케줄에 대한 권한이 적고 해외 체류 및 장시간 근무로 인한 일과 삶의 조화가 어려운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이러한 간극은 자신의 업무에 대한 스트레스로 연결되며 구성원의 패턴에 따라 둘 간의 갈등이 생길 때 일을 선택하고 가정의 갈등을 초래하거나 가정을 선택하고 직장에 애착이 적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3,4]. 이에 대한 조직적 차원의 대책은 미비하며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낮은 직장 생활의 질로 인해 이직 및 퇴직을 고민하게 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경력성공이란 무엇인가? 경력성공은 일에 대한 경험의 결과로 산출되는 업무 및 개인의 심리적 만족감이라고 할 수 있다[21]. 이것은 업무라는 객관적인 경력성공과 개인의 심리적 측면에서의 주관적 경력성공으로 구분되는데, 최근에는 객관적 경력성공이 주관적 경력성공과 일치도가 다르고 경력성공이 결국 개인의 인지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이라면 주관적 경력성공이 더 적합하다고 지적하고 있다[22,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S. Y. Han, & H. C. Lee. (2015). Intention to leave versus intention to stay, are they simply opposed concept?: Focused on comparison between flight attendants of full service carrier and low cost carrier. Koreafn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24(7), 53-72. 

  2. H. Y. Ju & S. H. Hyun. (2015). The Impact of Company"s Environmental Factors on Cabin Crews" Quality of Life in The Airline Industry,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25(7), 145-158. 

  3. H. Qu & X. R. Zhao. (2012), Employees' work. family conflict moderating life & job satisfactio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5(1), 22-28. 

  4. A. S. Wharton & R. J. Erickson. (1995). The consequences of caring, The Sociological Quarterly, 36(2), 273-296. 

  5. H. S. Kim & O. A. Cha. (2009). The effect of work-family interaction and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suppor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2(4), 515-540. 

  6. C. H. Shim & K. T. Lee. (2013). Employees' work life balance in hotel organization influencing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career commitment. Tourism Research, 28(3), 307-325. 

  7. W. Chun & S. Moon. (2008). A study on antecedents of hotel employees' perception of career plateau,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2(4), 43-67. 

  8. S. R. Marks & S. M. MacDermid. (1996). Multiple role and the self: A theory of role balan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8, 417-432. 

  9. D. E. Super. (1990).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Retrieved from http://psycnet.apa.org/psycinfo/1990-97532-007. 

  10. J. H. Greenhaus, K. M. Collins & J. D. Shaw. (2003).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3, 510-531. 

  11. D. E. Super. (1980).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6, 282-298. 

  12. H. Kim. (2018). Chapter 3. Career develoment as a social context: focusing on the highly educational women's case. the Handbook of HRD: Career Development. Seoul: ParkYoung Publisher. 

  13. N. J. Allen & J. P. Meyer.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1), 1-18. 

  14. Y. Li, S. Ryu, J. M. Lee & J. Lee. (2019). The impact of leader political skill on unethical pro organizational behavior: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 22(2), 55-70. 

  15. R M. Kanter. (1968), Commitment and Social Organization: A Study of Commitment Mechanisms in Utopian Communiti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3(4), 499-517. 

  16. S. J. Jaros, Jermier, M. John, J. W. Koehler & T. Sincich. (1993). Effects of continuance, affective, and moral commitment on the withdrawal process: An evaluation of eight structural equation model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6(5), 951-995. 

  17. M. Y. Doo & J. Kim. (2017).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female managers based on classification by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and Talent Research, 19(3), 129-156. 

  18. M. H. Lee & H. G. Moon. (2014). A Critical Review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Literature in Korea: Challenges and Future Research.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38(2), 143-221. 

  19. Y. H. Yang. (2016). The Relations of Str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Medical Technicia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7), 233-241. 

  20. J. Hahn W. Hwang & S. Park. (1997).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bases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5(2),, 95-134. 

  21. S. Seibert, M. Kraimer, & M. Crant. (2001). What do proactive people do? A longitudinal model linking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success. Personnel Psychology, 54(4), 845-874. 

  22. H. Lee & S. Park. (2006). An effect of mentoring function on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career commitment in the hotel industry. Tourism Research, 23, 141-175. 

  23. G. R. Nabi.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HRM,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among men &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22(5), 457-474. 

  24. M. B. Arthur & D. M. Rousseau. (1996). The boundaryless career. NY: Oxford University Press. 

  25. Nabi, G. R.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HRM,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among men &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22(5), 457-474. 

  26. Rode, J. C., Arthaud-Day, M. L., Mooney, C. H., Near, J. P. & Baldwin, T. T.(2008). "Ability and Personality Predictors of Salar State". International Joy, Perceived Job Success, and Perceived Career Success in the Initial Career. Journal of Selection and Assessment, 16(3): 292-299. 

  27. H. Y. Park. (2015).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protean career attitude on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Airline Flight Attendant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the Aviation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3(1), 3-23. 

  28. S. H. Bae & M. S. Kim. (2010). Th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politic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job strains, and turnover intention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34(2), 1-30. 

  29. J. H. Seo. (2008). Team change and turnover intentions: The role of tea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0(3), 1-21. 

  30. J. Lee & W. Kwak. (2017). The effect of supervisor's turnover intention on subordinate's turnover intentio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urnover intention, LMX and POS.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24(3), 117-136. 

  31. K. M .Yun & B. J. Jeon. (2015), A comparative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eacher by child care center's typ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 25-35. 

  32. J. Y .Han, D. M. Chang & J. H. Yang. (2014). A Study on Related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Employe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7), 337-348. 

  33. Graen, G. B., & Scandura, T. A. (1987). Toward a psychology of dyadic organizing.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9, 175-208. 

  34. Ruderman, R. N., Ohlott, P. J., Panzer, K., & King, S. N. (2002). Benefits of multiple roles for managerial wome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5(2), 369-386. 

  35. Wayne, J. H., Randel, A. E., & Stevens, J. (2006). The role of identity and work family support in work-family enrichment and its work-related consequenc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9, 445-461. 

  36. Lyness, K. S., & Judiesch, M. K.(2008). Can a Manager have a Life and a Career? International and Multisource Perspective on Work-Life Balance and Career Advancement Potentia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3(4): 789-805. 

  37. S. Kwak. (2007).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14, 1-23. 

  38. S. G. Park, S. W. Sim & J. A. Choi. (2013). The effects of hotel employee's perceived ethical climate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ourism Research, 37(4), 305-330. 

  39. C. W. Kim & C. H. Park.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Work-Life Balance Scale, Journal of Leisure Studies, 5(3), 53-69. 

  40. J. H. Greenhaus, S. Parasuraman & W. M. Wormley. (1990). Effects of race on organizational experienc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3(1), 225-250. 

  41. C. D. Jhonson. (2001). In Search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Career Success: What's an african american male to do?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Georgia. 

  42. C. E. Michaels & P. E. Spector. (1982). Causes of Employee Turnover: A Test of the Mobley, Griffeth, Hand and Meglino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7(1), 53-5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