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 평생교육의 인식 및 과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ception and Task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4, 2020년, pp.133 - 139  

최윤영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이세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평생교육의 필요성과 범주 및 내용 등 장애인 평생교육의 인식과 과제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장애인평생교육기관 관리자 4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인터뷰(FGI)를 실시하였으며, 질적자료 분석방법인 Braun과 Clarke(2006)가 제시한 주제 분석방법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장애인 평생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장애인이 사회변화를 인식하고 대응할 수 있기 위해서 지속적인 교육과 함께 장비와 편의시설이 요구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 평생교육의 범주는 일상생활을 포함한 사회생활, 직업능력향상교육, 문화예술체육, 장애인 당사자가 요구하는 것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의 어려운 점은 전문가의 부재와 평생교육 전달체계상 소통의 어려움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장애인 평생교육은 지역사회내 장애인 당사자의 자기결정에 의한 평생교육 지원서비스가 요구되며, 예산 및 서비스 전달체계 등 장애인 평생교육 시스템 구축의 현실화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s and tasks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cluding the necessity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 range and content of it for the disabled. The research method is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4 managers of lifelong educat...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장애인 평생교육의 필요성과 평생교육의 내용 등 장애인 평생교육의 인식과 현장에서의 어려움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과제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장애인 평생교육의 인식과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에 대해 몇 가지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평생교육 인식과 내용, 현장에서의 어려움 등을 파악하여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탐구하고자 하였으며, Table 1과 같이 충청남도의 장애인 평생교육 현장 전문가 4명을 대상으로 2019 년 8월 20일 FGI를 실시하였다.
  •  연구 참여자에게 인터뷰를 위한 질문지를 사전에 이메일로 발송하고 이후 현장에서 인터뷰의 녹음에 대한 동의를 구하였다. 연구자의 편견에 의한 과잉해석을 방지하기 위해 동일분야 전문가의 검토를 받았으며, 또한 공동연구자 간의 지속적인 토의와 함의과정을 거쳐 분석한 내용의 타당성과 해석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장애인평생교육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평생교육의 범주 및 내용 등 지자체내에서 발생되는 어려운 점과 함께 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언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장애인 평생교육의 필요성과 평생교육의 내용 등 장애인 평생교육의 인식과 현장에서의 어려움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과제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장애인 평생교육의 인식과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에 대해 몇 가지 논의하고자 한다.
  • 질적연구는 사회현장 가운데 비교적 적은 경험으로 인해 학문적으로 정립되지 않은 분야에 대한 이해와 함의를 제공하고, 이러한 사례를 바탕으로 새로운 결과를 도출하는 장점[11]이 있다.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경험이 아직 많지 않기 때문에 질적연구방법이 본 연구주제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 장애인평생교육이 본래의 취지에 맞게 운영되기 위한 방안을 응답자들에게 질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 평생교육의 필요성과 범주 및 내용 등 장애인 평생교육의 인식과 과제를 탐구하기 위해 어떠한 방법을 실시하였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평생교육의 필요성과 범주 및 내용 등 장애인 평생교육의 인식과 과제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장애인평생교육기관 관리자 4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인터뷰(FGI)를 실시하였으며, 질적자료 분석방법인 Braun과 Clarke(2006)가 제시한 주제 분석방법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장애인 평생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장애인이 사회변화를 인식하고 대응할 수 있기 위해서 지속적인 교육과 함께 장비와 편의시설이 요구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에게 평생교육이 필요한 이유로 인터뷰대상자들은 뭐라고 답하였는가?  인터뷰대상자들은 장애인에게 평생교육이 필요한 이유로 ‘국민이기 때문에, (비장애인에게도 당연하듯이) 사회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모든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라고 하였다.
장애인 복지의 패러다임 변화는 무엇을 강조하고 있는가? 최근 들어 장애인 복지의 패러다임 변화는 장애인 당사자의 권리를 기반으로 하는 것과 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의 실현으로 지역사회내의 자립생활뿐만 아니라 사회통합 역시 강조하고 있다[1,2]. 현대사회에서 교육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역할 뿐만 아니라 자존감 및 시민의 역할을 수행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기능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H. J. Kim, I. H. Park & Y. Y. Choi. (2019). Experience and Task of Public Guardianship Service Activity for the mentally disabled - in Perspectives of advocac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5), 228-234. DOI : 10.22156/CS4SMB.2019.9.5.228 

  2. S. H. Lee & Y. Y. Choi. (2018). A Study on Practical Recognition about Rights Advocacy of Social Workers in Disabled Welfare Center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6), 265-271. DOI : 10.22156/CS4SMB.2018.8.6.265 

  3. E. N. Rha & D. Y. Kim. (2016).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The Current Status & Future Direction.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an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3(1), 31-64. 

  4. D. S. Hong et al. (2018). An Exploratory Research about life-long Education an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5. J. M. Baik & Y. P. Kim. (2019). Status and Tasks of Related Laws and Supporting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1), 859-871. 

  6. B. S. Seo, J. K. Park & C. R. Lee. (2015). The Ways to Construction for Local Lifelong Educ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4(2), 473-499. 

  7. D. Y. Kim & W. H. Park. (2013).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48(2), 245-271. 

  8. Y. J. Kim & K. S. Kang. (2019). A Convergence Dilemma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3), 81-91. DOI : 10.15207/JKCS.2019.10.3.081 

  9. K. Y. Kim. (2018). An Exploratory Research about Developing Lifelong Education for Learner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22(2), 97-116. 

  10. D. Y. Kim & K. J. Lee. (2018).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Lifelong Education by Workers at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Geyeonggi Province.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53(1), 23-47. 

  11. I. S. Kim. (2016). Qualitative research methode and Analysis in Social Work. Jipmoondang. 

  12. V. Braun & V. Clarke.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13. J. H. Jeong, S. Y. Lim & H. J. Kang. (2018).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the Participation in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by Types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 Focusing on Chungcheongnam-do.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331-340. DOI : 10.15207/JKCS.2018.9.1.3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