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간의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Health Status on Child Care Teacher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4 no.1, 2020년, pp.99 - 111  

이영란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박선남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이미란 (예다솜어린이집)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model for predi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the health status of child care teachers based on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and Dahlgren and Whitehead's health determinants model.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anuary to February 2018 from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자들은 Pender(1996)의 건강증진모형과 Dahlgren과 Whitehead(1991)의 건강 결정 요인 모델을 기초로 보육교사의 건강증진행위의 영향요인을 다차원적으로 고려하여 건강 결정요인을 영향변수로 하고 보육교사의 건강 상태 관련 직·간접적 영향요인을 확인·도출하고 경로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건강 상태와 건강증진행위를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여 간호 중재 전략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A형 성격은 우울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 A형 성격은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 직무스트레스는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이란 무엇인가? 그러나 보육교사의 건강이 개인뿐만 아니라 보육 서비스의 질에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보육교사의 건강에 관한 관심과 지원 및 그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Lee, Park & Lee, 2019). 건강은 내·외적 자극에 대한 신체·정신·사회적 적응이며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기능하는 통합된 전인의 상태로서 안녕 수준을 높이고 자아실현이나 개인적 만족감을 향상시킨다(Lee, Jaegal, Moon, & Lee, 2017;Pender, 1996). 건강은 직무만족과 삶의 질에 중요한요인이며(Lee, Park, & Lee, 2016), 건강 행위에 영향을 받는다.
우리나라의 산업화와 여성 사회진출의 증가는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 우리나라의 산업화와 여성 사회진출의 증가는 가족구조와 기능에 변화를 초래하였고 시설 보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지속적인 저출산 수준은 보육의 질의 확보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시설의 확충과 보육 서비스에 대한 개선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보육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는 중요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Koo, 2007).
보육교사의 우울과 직무 스트레스 간의 매개 요인을 확인하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를 느낀 이유는? 본 연구에서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정적인 관계는 우울함이 자아 및 환경에 대한 인식과 지지와 자기 목표의 수립 및 시행과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이다(Choi 2016; Lee &Ryu, 2019). 우울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부적 상관관계는 본연구결과에서 보인 결과와 같이 보육교사에게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의 내용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차이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며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영향요인인 성격 특성이나 대처방식(Park, Lia, &An, 2015)이 중간 매개 요인으로 작용한 결과로 생각된다. 이에 보육교사의 우울과 직무 스트레스 간의 매개 요인을 확인하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성이 있다고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 M. J., & Kim, K. H. (1993).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2(3), 381-399. 

  2. Choe, H. S. (2016). Depression and teacher efficac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in Korea: focusing on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3(2), 71-90. https://doi.org/10.22155/jfece.23.4.199.216 

  3. Choi, H. J., & Yoo, J. H. (2011).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rea.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7(2), 149-155. https://doi.org/10.14370/jewnr.2011.17.2.149 

  4. Dahlgren G., & Whitehead M. (1991). Policies and strategies to promote social equity in health. Stockholm, Sweden: Institute for Futures Studies. 

  5. Jeong, I. (2003). Health-promoting life-style and related factors among teacher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2), 179-196. 

  6. Jeong, J. O., & Pyo, E. Y. (2018).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stress level and health status on burnout. Journal of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2), 347-356. https://doi.org/10.5762/KAIS.2018.19.2.347 

  7. Jeong, J. R. (2016). Correlations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traits with their job satisfaction and stress coping styl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16(4), 51-75. https://doi.org/10.21213/kjcec.2016.16.4.51 

  8. Jung, H. Y. & Lee, K. H. (2014). The path mod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with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burn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8(3), 159-181. 

  9. Kim, H. G. (2011). Child care center teacher's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 and child care quality.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7(1), 149-166. 

  10. Kim, J. H. (2000). Model construction of occupational stress in manufacturing work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1. Kim, J. I. (1994). An effect of aquatic exercise program with self-help group activities and strategies for promoting self-efficacy on pain,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having rheumatoid arthritis.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1), 1-30. 

  12. Koh, K. M., & Lee, S. K. (2016). A structural model analysis on the relation among the social support for child care teachers within and outside workplace,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20(3), 225-250. 

  13. Koo, E. M. (2007). A study on health perceptions,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n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4), 97-113. https://doi.org/10.5934/kjhe.2007.16.4.711 

  14. Kwon, S. M. (2011).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kindergarten and preschool teachers o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The Journal of Korean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6(5), 313-333. 

  15. Kwon, Y. R., & Moon, Y. K. (2016). An analysis on meditating effect between the teacher efficacy and the job stress with regard to child care teachers social support and turnover.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16(1), 99-119. https://doi.org/10.21213/kjcec.2016.16.1.99 

  16. Lalonde. M. A. (1974). A new perspective on the health of Canadians. Ottawa: Government of Canada. 

  17. Lee, C. H. & Koh, T. S. (2009).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job satisfaction, efficacy,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6(2), 49-70. 

  18. Lee, H. A. & Ryu, Y. M. (2019).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depression on burn-out: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 Care, 19(1), 1-13. http://dx.doi.org/10.21213/kjcec.2019.19.1.1 

  19. Lee, M. J. (2002). Construction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model for industrial work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0. Lee, Y. R., Jeagal, J., Moon, W. H., & Lee, S. Y. (2017). Health education(3rd ed). Paju: Soomoon-sa. 

  21. Lee, Y. R., Park, S. N., & Chu, M. S. (2014). Impact of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mong child care provider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1(1), 26-35. 

  22. Lee, Y. R., Park, S. N., & Lee, M. R. (2016). Impact of job stress, depress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n job satisfaction among child care teach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5(4), 259-267. https://doi.org/10.5807/kjohn.2016.25.4.259 

  23. Lee, Y. R., Park, S. N., & Lee, M. R. (2019).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child care teach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3(1), 123-135. https://doi.org/10.5932/JKPHN.2019.33.1.123 

  24. Park, J. H., & Ha C. S. (2018).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of teacher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2), 569-582.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569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Guideline of child care policies. Retried February 24, 2020, http://www.mohw.go.kr/react/jb/sjb0406vw.jsp?PAR_MENU_ID03&MENU_ID030406&page1&CONT_SEQ347291 

  26. Park, Y. J., Lim, M. H., & An, J. S. (2015).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on teachers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15(3), 129-148. 

  27. Pender, N. J. (1996).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3rd Ed). Appleton & Landge: Stanford, Connecticut. 

  28. Song, M. S. (2015).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and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group differences by marital statu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35(6), 377-396. http://dx.doi.org/10.18023/kjece.2015.35.6.018 

  29. Yoo, H. S., & Kwon, J. H. (2017). Structural relations among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teacher 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1(1), 113-132. 

  30. Yoon, E. J., & Kim, H. S. (2012). The relationship among types of life-style, mental health and self-perceived compet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12(4), 151-1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