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사시나무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성분분석
Antioxidant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opulus Tomentiglandulosa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2 no.2, 2020년, pp.119 - 124  

최선일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식품생명공학전공) ,  황석준 (강원도 보건환경연구원) ,  이옥환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식품생명공학전공) ,  김종대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식품생명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현사시나무 추출물에 대한 일반성분, 무기질, 비타민, 유리당, 총 페놀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HPLC을 이용하여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하였으며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을 통하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일반 성분 분석결과, 탄수화물, 수분, 조단백질, 회분, 조지방은 각각 88.6, 5.11, 2.5, 2.3, 1.5%로 확인되었다. 무기질 분석결과, Ca (77.5 mg/100 g), Mg (85.0 mg/100 g), Na (23.4 mg/100 g), K (907.5 mg/100 g), P (93.8 mg/100 g), Fe (1.4 mg/100 g), Zn (2.6 mg/100 g), Cu (0.6 mg/100 g), Mn (2.9 mg/100 g)을 함유하고 있었다. 비타민의 경우, vitamin C (6.1 mg/100 g), vitamin B2 (0.3 mg/100 g), vitamin B6 (0.01 mg/100 g), nicotinic acid (3.1 mg/100 g)가 확인되었다. 유리당 조성은 glucose 1.6%, fructose 2.2%였고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15.4±0.85 mg GAE/g, 20.9±1.14 mg QE/g으로 나타났다. HPLC 분석결과 catechin (9.1±0.27 mg/g), caffeic acid (4.1±0.57 mg/g), p-coumaric acid (2.1±0.47 mg/g), chlorogenic acid (1.6±0.86 mg/g), gallic acid (1.4±0.35 mg/g)가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현사시나무 추출물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고 이는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성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 사시나무 추출물의 일반성분, 무기질, 비타민,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주요 페놀성 화합물 및 항산화활성을 평가하였지만 향후 현사시나무 추출물이 식품소재 또는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세포 및 동물모델에서의 바이오마커 평가 및 작용기전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pulus Tomentiglandulosa (PT) is known for pharmacological effects against ischemia-injury and immune activit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components,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tioxidant activities of PT extract. Among the mineral contents, the K content (907.5 mg/...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현사시나무 추출물이 식품소재로 활용 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한 식품학적 성분분석(일반성분, 무기질, 비타민, 유리당)을 실시하였고, 건강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 시 표준화를 위한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및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사시나무 추출물의 기초적인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고자 1,1-Diphenyl-2-pic-rylhydrazy (DPPH) 및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라디칼 소거능을 평가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현사시나무 추출물이 식품소재로 활용 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한 식품학적 성분분석(일반성분, 무기질, 비타민, 유리당)을 실시하였고, 건강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 시 표준화를 위한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및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사시나무 추출물의 기초적인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고자 1,1-Diphenyl-2-pic-rylhydrazy (DPPH) 및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라디칼 소거능을 평가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 사용한 현사시나무는 춘천시 동산면의 야산에서 채취하여 현사시나무의 수피 부분만 분리하여 70% 에탄올에 70°C로 24시간 3회 추출하였고 Whatman No. 1 (Whatman Ltd., Maidstone, Kent, UK)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회전진공농축기(EYELA, SN-1100, Tokyo, Japan)를 사용하여 50°C에서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추출물은 동결건조기(PVTFA 10AT, Ilsin, Dongducheon, Korea)를 이용하여 분말화한 후, 시료로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자료분석은 통계 소프트웨어 statistical analysis system (SAS) program을 이용하였고 Duncan의 다중 범위 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이용하여 실험군의 평균값 간의 유의성(α)은 0.05 유의수준에서 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사시나무 추출물의 무기질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현사시나무 추출물의 무기질 함량을 분석한 결과, Table 2와 같다. 추출물의 무기질 함량은 K (907.5 mg/100 g), P (93.8 mg/100 g), Mg (85.0 mg/100 g), Ca (77.5 mg/100 g), Na (23.4 mg/100 g), Mn (2.9 mg/100 g), Zn (2.6 mg/100 g), Fe (1.4 mg/100 g), Cu (0.6 mg/100 g) 순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성분 중에서는 K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P와 Mg 등의 순으로 함량이 높았다. 하지만 Enzmann 등(1969)의 연구에 따르면 북미사시나무(Populus tremuloides)의 무기질 분석 결과 P, K, Na, Mg에 비하여 Ca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사시나무는 무엇인가? 현사시나무(Populus Tomentiglandulosa)는 버느나무과(Salicaceae)에 속하며 은백양나무와 수원사시나무를 우리나라에서 인공 교배하여 조경수와 가로수 식재용으로 널리 보급한 수종이다. 현사시나무는 성장이 빠르며 건조한 곳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천근성으로 인해 뿌리로부터 줄기가 잘 돋아나는 특징을 갖는 낙엽교목이다.
현사시나무는 어떤 특징을 가진 낙엽교목인가? 현사시나무(Populus Tomentiglandulosa)는 버느나무과(Salicaceae)에 속하며 은백양나무와 수원사시나무를 우리나라에서 인공 교배하여 조경수와 가로수 식재용으로 널리 보급한 수종이다. 현사시나무는 성장이 빠르며 건조한 곳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천근성으로 인해 뿌리로부터 줄기가 잘 돋아나는 특징을 갖는 낙엽교목이다. 최근 버드나무과 식물추출물의 약리학적 효능으로 Populus balsamifera 추출물의 항 박테리아 활성(Simard 등, 2014), Populus nigra 추출물의 항염증과 간보호 효과(Debbache 등, 2013), Populus davidiana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Zhang 등, 2006) 및 Populus Tomentiglandulosa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Lee 등, 2019) 등이 연구된 바 있으나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교배하여 만든 현사시나무 추출물의 식품학적 성분 분석, 페놀성 성분 및 항산화성분에 대한 연구는 시도된 바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기초자료가 필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l. 14th ed. Method 879.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84) 

  2.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l. 15th ed. Method 788.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90) 

  3. Azuma K, Nakayma M, Koshioka M, Ippoushi K, Yamaguchi Y, Kohata K, Yamaguchi Y, Ito H, Higashio H. Phenolic antioxidants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s L. J. Agric. Food Chem. 47: 3963-3966 (1999) 

  4. Block G, Langseth L. Antioxidant vitamins and disease prevention. Food Technol. 48: 80-84 (1994) 

  5. Chu YH, Chang CL, Hsu HF. Flavonoid content of several vegetable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J. Sci. Food Agric. 80: 561-566 (2000) 

  6. Debbache-Benaida N, Atmani-Kilani D, Schini-Keirth VB, Djebbli N. Pharmacological potential of Populus nigra extract a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cardiovascular and hepatoprotective agent. Asian Pac. J. Trop Biomed. 3: 697-704 (2013) 

  7. Enzmann JW, Goodrich RD, Meiske JC.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 of poplar bark. J. Anim. Sci. 29: 653-660 (1969) 

  8. Escher P, Eiblmeier M, Hetzger I, Rennenberg H.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 of carbohydrates in mistletoes (Viscum album) and the xylem sap of its hosts (Populus euamericana and Abies alba). Physiol. Plant. 120: 212-219 (2004) 

  9. Formica JV, Regelson W. Review of the biology of quercetin and related bioflavonoids. Food Chem. Toxicol. 33: 1061-1080 (1995) 

  10. Gutfinger T. Polyphenols in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981) 

  11. Gutteridge JMC, Halliwell B. Antioxidants in nutrition, health, and disease.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pp. 1-62 (1994) 

  12. Halliwell BH, Gutteridge JMC, Arouoma OI. The deoxyribose method: simple "test-tube" assay for determination of rate constants for reactions of hydroxyl radicals. Anal. Biochem. 165: 215-219 (1987) 

  13. Hertog MGL, Feskens EJM, Hollman PCH, Katan MB, Kromhouut D. Dietary antioxidant flavonoid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the Zutphen Elderly Study. Lancet 342: 1007-1011 (1993) 

  14. Hertog MGL, Hollman PCH. Potential health effects of the dietary flavonol quercetin. Eur. J. Clin. Nutr. 50: 63-71 (1996) 

  15. Hollman PCH, Trijp JMP, Buysman MNCP, Gaag MS, Mengelers MJB, Vries JHM, Katan MB. Related bioavailability of the antioxidant flavonoid quercetin from various foods in man. FEBS Letters 418: 152-156 (1997) 

  16. Igwemmar NC, Kolawole SA, Imran IA. Effect of heating on vitamin C content of some selected vegetables. Int. J. Sci. Technol. Res. 2: 209-212 (2013) 

  17. Kawasaki M, Kanomata T, Yoshimata K. Flavonoids in the leaves of twenty-eight polygonaceous plants. Bot. Mag. Tokyo 99: 63-74 (1986) 

  18. Kim MH.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alix Koreensis Andersson branches extracts. J. Korean Soc. Food Cult. 33: 104-111 (2018) 

  19. Korea Food and Drug Adiministration. Food Standard Cordex. Method 396-398. Korean Foods Industry Association, Cheongju, Korea (2006) 

  20. Laranjiinha J, Almeida L, Maderia V. Reduction of ferrylmyoglobin by dietary phenolic acid derivatives of cinnamic acid. Free Radical Bio. Med. 19: 329-337 (1995) 

  21. Lee CH, Park JH, Ahn JH, Kim JD, Cho JH, Lee TK, Won MH. Stronger antioxidant enzyme immunoreactivity of Populus tomentiglandulosa extract than ascorbic acid in rat liver and kidney. Iran. J. Basic Med. Sci. 22: 963-967 (2019) 

  22. Lee TK, Park JH, Ahn JH, Kim H, Song M, Lee JC, Kim JD, Jeon YH, Choi JH, Lee CH, Hwang IK, Yan BC, Won MH, Kang IJ. Pretreatment of Populus tomentiglandulosa protects hippocampal CA1 pyramidal neurons from ischemia-reperfusion injury in gerbils via increasing SODs expressions and maintaining BDNF and IGF-I expressions. Chin. J. Nat. Medicines 17: 424-434 (2019) 

  23. Malik MN, Fenko MD, Shiekh AM, Wisniewski HM. Isolation of ${\alpha}$ -tocopherol (vitamin E) from garlic J. Agric. Food Chem. 45: 817-819 (1997) 

  24. Middleton EJ, Kandaswami C, Theoharides TC. The effects of plant flavonoids on mammalian cell: Implications for Inflammation, Heart Disease, and Cancer. Pharmacol. Rev. 52: 673-751 (2000) 

  25. Miean KH, Mohamed S. Flavonoid (myricetin, quercetin, kaempferol, luteolin, and apigenin) content of edible tropical plant. J. Agric. Food Chem. 49: 3106-3112 (2001) 

  26. Moreno MIN,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000) 

  27. Ness AR, Powles JW. Fruit and vegetabl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review. Int. J. Epidemiol. 26: 1-13 (1997) 

  28. Papadopoulos G, Boskou D. Antioxidant effect of natural phenols on olive oil. J. Am. Oil Chem. Soc. 68: 669-671 (1991) 

  29.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1231-1237 (1999) 

  30. Richmond ML, Brandao SCC, Gray JI, Markakis P, Stine CM. Analysis of simple sugar and sorbitol in fruit by HPLC. J. Agric. Food Chem. 29: 4-7 (1981) 

  31. Serdula MK, Byers MAH, Simoes E, Mendlein J.M, Coates RJ. The association between fruits and vegetable intake and chronic disease risk factors. Epidemiol. 7: 161-165 (1996) 

  32. Sim WS, Lee JS, Lee S, Choi SI, Cho BY, Choi SH, Han X, Jang GW, Kwon HY, Choi YE, Kim JY, Kim JD, Lee OH. Antioxidant effect of extracts from 9 species of forest plants in Korea. J. Food Hyg. Saf. 34: 404-411 (2019) 

  33. Simard F, Legault J, Lavoie S, Pichette A. Balsacones D-I, dihydrocinnamoyl flavans from Populus balsamifera buds. Phytochemistry 100: 141-149 (2014) 

  34. Xu X, Wang HJ, Murphy PA, Cook L, Hendrich S. Daidzein is a more bioavailable soymilk isolflavone than is genistein in adult women. J. Nutr. 124: 825-8332 (1994) 

  35. Yan X, Suzuki M, Ohnishi-Kameyama M, Sada Y, Nakanishi T, Nagata T.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s in roots of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J. Agric. Food Chem. 47: 4711-4713 (1999) 

  36. Zhang X, Thuong PT, Min BS, Ngoc TM, Hung TM, Lee IS, Na MK, Seong YH, Song KS, Bae KH. Phenolic glycosides with antioxidant activity from the stem bark of Populus davidiana. J. Nat. Prod. 69: 1370-1373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